중국현대사 - 연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현대사 - 연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 설 명
중국과 소련이 1950년 2월에 모스크바에서 체결한 조약. 소련은 창춘(長春) 철도와 뤼순(旅順)·다롄(大連)을 중국에 반환하고 중국에 대한 차관을 약속하였는데, 1954년에 중소 공동 선언으로 발전하였다
1950년
10월 26일
중국인민지원군 한국전쟁 개입
상 세 설 명
1950년 6월 한국에서 내전이 폭발하였고, 10월 중국 인민지원군의 이름으로 펑떠화이(팽덕회:彭德懷)를 사령관겸 정치위원으로 임명하여 북한지원에 투입되었고, 1953년 7월 정식으로 정전협의가 타결되고 한국전쟁은 끝이 났다.
1953년
1월 일
중국, 제 1차 5개년 계획 시작
1954년
6월 25일
저우언라이(주은래:周恩來) 인도방문,
네루와 평화 5원칙 공동성명
상 세 설 명
평화적 공존의 5원칙이라고도 한다. 그 내용은 영토 ·주권의 상호존중, 불침략, 내정불간섭, 평등 ·호혜, 평화적 공존 등의 5개 원칙이다.
원래 이 5원칙은 1954년 4월에 체결된 중국-인도 양국간의 티벳에 관한 협정 전문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인데, 인도차이나전쟁 해결을 위한 제네바회의가 난항 중이었던 이 시점에서 동서간의 냉전과 식민주의전쟁 등을 종식시키고, 세계평화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국제관계 원칙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두 나라 수뇌의 희망이 재확인되고, 전세계를 향하여 제창되었다.
1954년
9월 15일
제 1기 전인대 제 1차회의 개최, 헌법제정(9. 20)
상 세 설 명
1949년 10월 1일 중국공산당은 베이징에서 중국의 성립을 선언하였고, 국민정부군을 대륙에서 몰아냄으로써 거의 중국 전 국토를 평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는 안팎에 걸쳐서 어려운 문제가 산적해 있었다. 국가조직면에서 당을 기축으로 국가를 통치한다는 방침에 변함은 없었지만, 당이 그대로 국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인민 전체를 대표하는 국가형태를 이룩해내는 노력이 필요했다. 만 18세 이상의 남녀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주어 인민대표 1226명을 선거로 선출하여 1954년 9월 베이징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헌법과 그 밖의 중요법안을 가결했으며, 국가주석에 마오쩌둥(모택동:毛澤東),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에 류사오치(유소기:劉少奇), 국무원 총리에 저우언라이(주은래:周恩來) 등을 선출하였다.
1956년
2월 27일
마오쩌둥, 최고국무회의 제 11차 확대회의.
‘백화제방(百花齊放), 백가쟁명(百家爭鳴)’제창
상 세 설 명
1956년 2월 제20회의 당대회에서 스탈린을 비판하는 흐루시초프의 비밀연설이 있기도 전에, 마오와 그 동료들은 새 중국을 건설하는 데 지식인들을 자발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사기 진작책을 검토했다. 1956년 4월말 마오쩌둥은 \'\' 백화제방정책\'\'(百花齊放政策:여러 가지 다양한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정책)을 발표해 중국에 스탈린 치하의 소련과 비슷한 탄압적인 정치 분위기가 생겨나지 않도록 했다.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탈(脫)스탈린화가 빚은 혼란을 목도하면서도 이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과감하게 밀고 나갔다. 고위급 동료들이 이 정책을 실시하지 말라고 조언했으나, 마오는 중국사회에 그때까지 존재하는 갈등사항들은 대체로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믿었다. 그결과 벌어진 \'\'백화제방과 백가쟁명(百家爭鳴)\'\'이 겉잡을 수 없는 상태로 되어가자 당노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마오는 지식계급에 의해 배신당했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그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했다
1957년
4월 27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풍운동에 관한 지시 공포
상 세 설 명
정풍은 삼풍정돈(三風整頓)의 줄임말이다. 당원을 교육하고, 당조직을 정돈하며, 당의 기풍을 쇄신하기 위한 것으로 세계의 공산당에 그 유례가 없다. 마오쩌둥은 정풍을 “사상작풍(思想作風)과 공작작풍(工作作風)을 정돈하는 것”이며, “전당(全黨)의 비판과 자기비판을 통하여 마르크스를 배우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1942년 옌안[延安]을 중심으로 처음 전개된 이후 1948·1950·1957년 대규모의 정풍운동이 벌어졌고, 1964년에는 ‘문예정풍(文藝整風)’이라는 구호까지 나타났다.
1958년
1월 일
제 2차 5개년 계획 개시
1959년
3월 10일
티벳 반란 발생
상 세 설 명
중국의무력강점에 저항하여 수도 라싸에서 대규모 저항운동이 일어났고, 중국인민해방군은 총칼로서 티베트인들의 자주독립운동의 싹을 밟아 버렷다. 그로부터 40여년 중국통치하의 티벳에서는 120만명의 티벳인들이 희생(티벳망명정부주장) 6000개가 넘는 불교사원이 페사되거나 파괴

키워드

중국,   역사,   현대사,   연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6.1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