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의 전래 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서의 전래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성서의 형성

2. 성서의 번역 과정

3. 성서의 한글 번역

본문내용

우리말 관용구를 활용하여 분명하고 정확한 한글 번역이라고 하는 신, 그약 합본인 \'표준 새번역\'이 출간 되었다. 성서는 누구에게나 필요한 생명의 말씀이기에 모든 사람이 알 수 있게 번역해야 되는 동시에 정확하고 성실하게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한글 성서의 번역 작업은 계속 적인 한국 기독교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한국의 성서전래와 번역의 역사를 대략적인 연혁으로 정리해 보았다.
1832년 화란 선교사 구쯔라프 목사를 통해서 우리나라에 한문성서가 처음 소개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 성서 번역의 시작
1887년 대영성서 공회에서 죤 로스 목사가 번역한 신약 전부를 출판.
1893년 ‘상설성서 실행위원회’가 조직되어 구약성서 번역에 착수.
1898년 피터스가 시편 중에서 62편의 시들을 골라 번역한 시편촬요란 책이 서울에서 간행. 이것이 구약성서의 한국어 번역의 첫 작품.
1893년 공인번역 위원회에서 구약성서 번역을 완전히 끝냄.
1911년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한글로 된 신구약 전서를 출판.
1936년 구약개역본이 출간.
1938년 개역본을 새 개역 맞춤법에 따라서 재 개역판 성경전서가 출판.
1953년 새 한글 맞춤법으로 고쳐서 새로 간행.
1964년 대한성서공회에서 관주 성경전서 국한문 한글판이 간행.
1989년 성경전서 개역한글판이 출판.
1977년 신구약 공동번역을 완성하여 출판.
1993년 성경전서 표준 새번역이 출판.
지금까지 성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서 부터 여러가지 언어로의 번역을 거쳐서 한글 성서가 완성되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서 알아봤다. 우리가 돈주고 사거나 예배당 뒤편에서 손쉽게 구할수 있었던 한글 성서가 이렇게 많고도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우리에게 전해 졌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다. 하지만 성서는 아직도 몇부분씩 오류가 있거나, 우리가 보기엔 이해해기 힘든 어투가 있다. 이런것들도 지금 어디에선가, 어떤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진 사람들이 열심히 번역을 하고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누군가 번역해 놓은 한글 성경이 지금 우리에게 편리하듯이, 우리가 앞으로 번역할 성경도 우리 다음 세대는 편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세대를 위해서 열심히 번역중일, 보이지 않는 그들에게 보이지 않는 박수를 보낸다.
참고 도서
구약성서 개론 (최종진. 도서출판 소망사) p.23~33, 72~84
성서와 기독교 (종교편찬위원회. 연세대학교출판부)
성서 닷컴 (문시영. 선학사) p.44~47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2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