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당뇨병의 분류
당뇨병의 원인
인슐린이란?
당뇨병의 예방법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
당뇨병의 원인
인슐린이란?
당뇨병의 예방법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
본문내용
하지 않도록 한다. 운동의 강도는 점진적으로 높이도록 한다.
4. 운동의 종류와 양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은 일관성 있고 규칙적이어야 하며,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5. 규칙적으로 평생동안 운동한다. 재미있고 쉬운 운동부터 시작한다.(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산, 수영, 맨손체조 등)
6. 오랫동안 운동할 때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한다.
7. 영양섭취와 수면시간에 주의한다.
8. 운동 중 통증이 있으면 중지한다.
9. 계획보다 많은 식사를 한 날은 많은 양의 인슐린을 주사하거나 운동량을 늘려서 균형을 맞춘다.
10. 평소보다 많은 양의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식사량을 좀 더 늘려야 한다.
11. 심·혈관장애, 신장장애, 망막증 등 합병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심한 운동은 혈당조절 및 심장에 역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삼가해야 한다.
(4) 식이요법
1. 균형된 식사를 한다.
2. 단순당분(설탕, 꿀등이 많이 든 음식, 단음식)이나 술의 섭취는 피한다.
3. 섬유소(채소, 해초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ㄱ. 칼로리가 적은 식품을 이용한다.
배고프지 않으려면 칼로리가 적은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칼로리가 적은 식품은 해초류, 버섯, 야채류, 곤약 등이 있다.
ㄴ. 싱겁게 조리하여 반찬을 많이 섭취한다.
짠 음식을 먹게 되면 밥을 더 먹게되므로 싱겁게 조리하여 반찬섭취를 늘린다. 반찬은 어육류, 야채로 나눌 수 있는데 어육류 식품은 생선, 두부, 고기, 계란 등으로 단백질이 많다. 야채류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많은데, 호르몬 등의 대사 조절 작용과 뼈나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이 있으므로 충분히 먹는다.
ㄷ. 국의 내용물을 많이 먹는다.
내용물을 적게하여 국물만 먹는다면 밥만 먹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밥으로 인한 칼로리가 상승하게 된다. 미역 등의 해초류, 버섯류, 야채를 충분하게 넣은 장국을 먹는다.
ㄹ. 잡곡밥을 먹는다.
쌀밥보다는 잡곡밥이 비타민B 복합체와 섬유소가 많하 식후의 혈당, 혈청지질을 낮추어 주며 소화흡수를 지연시켜 준다.
ㅁ. 외식을 현명하게 한다.
외식을 하면 지나친 곡류섭취와 지방이 많은 식품을 먹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음식은 짜고 맵고 달게 조리한 요리다. 탕류, 찌개백반, 면류 등은 피하고 한정식, 살코기, 회, 쌈정식 등을 택하고 반찬을 많이 먹는다. 곡류섭취를 줄인다면 외식도 즐길 수 있다.
4. 운동의 종류와 양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은 일관성 있고 규칙적이어야 하며,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5. 규칙적으로 평생동안 운동한다. 재미있고 쉬운 운동부터 시작한다.(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산, 수영, 맨손체조 등)
6. 오랫동안 운동할 때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한다.
7. 영양섭취와 수면시간에 주의한다.
8. 운동 중 통증이 있으면 중지한다.
9. 계획보다 많은 식사를 한 날은 많은 양의 인슐린을 주사하거나 운동량을 늘려서 균형을 맞춘다.
10. 평소보다 많은 양의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식사량을 좀 더 늘려야 한다.
11. 심·혈관장애, 신장장애, 망막증 등 합병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심한 운동은 혈당조절 및 심장에 역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삼가해야 한다.
(4) 식이요법
1. 균형된 식사를 한다.
2. 단순당분(설탕, 꿀등이 많이 든 음식, 단음식)이나 술의 섭취는 피한다.
3. 섬유소(채소, 해초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ㄱ. 칼로리가 적은 식품을 이용한다.
배고프지 않으려면 칼로리가 적은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칼로리가 적은 식품은 해초류, 버섯, 야채류, 곤약 등이 있다.
ㄴ. 싱겁게 조리하여 반찬을 많이 섭취한다.
짠 음식을 먹게 되면 밥을 더 먹게되므로 싱겁게 조리하여 반찬섭취를 늘린다. 반찬은 어육류, 야채로 나눌 수 있는데 어육류 식품은 생선, 두부, 고기, 계란 등으로 단백질이 많다. 야채류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많은데, 호르몬 등의 대사 조절 작용과 뼈나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이 있으므로 충분히 먹는다.
ㄷ. 국의 내용물을 많이 먹는다.
내용물을 적게하여 국물만 먹는다면 밥만 먹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밥으로 인한 칼로리가 상승하게 된다. 미역 등의 해초류, 버섯류, 야채를 충분하게 넣은 장국을 먹는다.
ㄹ. 잡곡밥을 먹는다.
쌀밥보다는 잡곡밥이 비타민B 복합체와 섬유소가 많하 식후의 혈당, 혈청지질을 낮추어 주며 소화흡수를 지연시켜 준다.
ㅁ. 외식을 현명하게 한다.
외식을 하면 지나친 곡류섭취와 지방이 많은 식품을 먹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음식은 짜고 맵고 달게 조리한 요리다. 탕류, 찌개백반, 면류 등은 피하고 한정식, 살코기, 회, 쌈정식 등을 택하고 반찬을 많이 먹는다. 곡류섭취를 줄인다면 외식도 즐길 수 있다.
추천자료
성인간호 정리
성인간호학 당뇨에 관한 모든 것.
당뇨병의 모든 것 (Standards of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당질 대사 장애 : 당뇨병
인슐린 요법
[간호학]당뇨병의 만성합병증
당뇨병 - 당뇨병의 관리, 당뇨병 예방법
인슐린-
<성인간호실습>경막하출혈 case study
치료식단-만성위염, 당뇨병, 고혈압, 만성간염, 고지혈증, 만성신부전증, 식이요법
당뇨케이스, 당뇨PPT Diabetes melitus (DM) - 당뇨 간호과정 당뇨 간호진단 당뇨 간호사정 ,...
당뇨병의 분류와 일반적인 치료중재, 사례를 통한 합병증 간호
[성인간호학]당뇨병의분류,일반적인치료중재및나타날수있는합병증과이에대한간호,당뇨병합병...
투석간호(정의, 목적, 적응증, 종류, 혈액투석, 복막투석, HD, PD, 간호중재, 간호사정,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