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어의음운론적특징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국어의음운론적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간 1) ~ 디다
② 엇지고(원간 19) ~ 엇디고
‘ㄱ\' 및 \'ㅎ\'구개음화는 그 일반화 시기가 뒤늦은 까닭으로, ‘ㄷ’ 구개음화와는 달리 어두 위치에서만 나타나며, 주로 서남, 동남, 동북 방언에서 나타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① ‘ㄱ\'구개음화 : 지름(油, 여사서언해 3-22)
② ‘ㅎ\'구개음화 : 셩뎨(兄弟, 사법어 15)
움라우트
움라우트는 ‘ㅣ’ 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음운 현상이다.
① 15세기 : 새굔(雕)
② 16세기 : 졔기(略)
③ 17세기 : 지애비, 제혀
④ 18세기 : 네기리, 귀경
⑤ 19세기 : 지이, 올ㅣ비, 욍기다
전설 모음화
전설 모음화는 치경음 ‘ㅅ, ㅆ\'과 경구개음 ’ㅈ, ㅉ, ㅊ\'뒤에서 후설 고모음인 ‘ㅡ’가 ‘ㅣ’로 변하는 현상이다.
① ㅅ-계에 의한 것 : 씻다(←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7.06.28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