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정철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강 정철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애
-유년시절
-소년시절
-수학시절
-관료시절

2. 사상
-송강의성격
-지향한 출과 처
-유교사상
-불교사상
-도교사상

본문내용

송강의 작품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유교사상과 관련하여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충과 효에 관하여 알아볼까 한다.
① 충의 사상
충의적 사상은 임금에 대한 충성이며, 이 충성은 곧 임금에 대한 거부할 수 없는 애정과도 같은 것으로 나타난다. 비유를 좋아하는 우리 선조들의 의식사고에서 님을 향한 여인네의 일편단심은 곧잘 연군의 정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송강의 작품에서도 예외는 아닌데, 성산에서 김성원의 생활 모습을 읊은 <성산별곡>을 제외한 송강의 가사 모두가 이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강호애 병이 깁퍼 죽림의 누엇더니
관동 팔백리에 방면을 맛디시니
어와 성은이야 기디록 망극다 <관동별곡>
송강이 벼슬을 떠나 생활하던 중 뜻밖에 임금의 부름을 받아 그 망극한 성은에 감격한 심정을 노래하고 있다. 감격한 심정은 조용한 감격이다. 소란스럽지 않고, 경박스럽지 않은 그러한 마음이다. 그러나 이러한 감격의 심정은 단지 그가 자신의 능력을 알아봐 주는 임금에 대한 조건적인 반응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다음을 보자.
소양강 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 말고
호신거국에 백발도 하도 할샤 <관동별곡>
위의 내용은 한강의 상류에 해당하는 소양강 물의 흐름이 궁금도 하거니와 임금님을 하직하고 서울을 떠나 외로이 있는 자기 자신을 돌아볼 때 젊어서부터 정파에 관련하여 나라 일에 다사다난한 자신의 신세를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 와서 보니 머리가 백발이 되어 늙었음을 표현하는 가운데 임금에 대한 우국충정의 발로라고 여겨진다. 결국 임금에 대한 충의는 연정으로 연정은 다시 조건 없는 충의로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② 효제
송강의 작품에서 효제를 노래한 것은 <훈민가>를 비롯한 시조 작품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훈민가> 16수는 송강이 45살 되던 선조 13년(1580)에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한 후 지은 것인데, 창작 동기 및 작자의 목적이 유교의 보편화를 위한 목민가이다.
⑵ 불교 사상
조선시대에 있어 불교는 국가의 정책적 측면에서 배제의 대상으로 간주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불교의 경우 오랜 역사를 지닌 종교이고, 토착의 민간신앙과 결부되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송강의 경우에도 불교 사상만을 전적으로 투영시킨 국문 시가는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사상과 융합하여 표출되면서 불교의 윤회 사상에 바탕을 둔 작품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송강의 작품이 불교적 색채를 띄고 있다고 해서 불교적인 사상이 전반적으로 흐르는 것은 아니다. 거의 모든 작품이 유교의 충과 효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상이 융합하여 나타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⑶ 도가 사상
도가사상은 무위자연, 은둔사상, 신선사상 등과 자연 애호의 기풍이 특징으로 우리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비현실적이고 비세간적인 이 사상은 문학에 대하여서도 진세의 초탈과 무용의 용과 상상의 자유로써 규정하게 된다.
금강대 우층의 선학이 삿기치니
춘풍 옥적성의 첫 을 ㅣ돗던디
호의현상이 반공의 소소 뜨니
서호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