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란기를 틈탄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의 아픈 상처의 또다른 이면이며, 미국의 정치야욕의 결과였다. 그러나 해방기 이후 1953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설립과 해양경찰대의 설치, 1968년 121 사태를 계기로 한 전투경찰대의 설치, 1979년 경찰대학설치법의 제정과 1981년 경찰대학의 개교와 경찰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가장 선망의 대상이 되는 직업 중 하나가 되었을 뿐 아니라 온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고, 국가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도모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한국의 경찰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발전이 활발히 진행되어 보다 우수한 경찰이 배출되고,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발전에 이바지함으로 세계의 강대국이 되는 날이 오기를 고대해 본다.
【참고문헌】
1. 경찰종합학교, 「경찰종합학교 50년사: 1945~1994」,용인:경찰대학, 1994.
2. 내무부치안국,「한국경찰사Ⅱ」,서울:내무부, 1973.
3. 이황우, 「경찰행정학」, 서울:법문사, 2003.
【참고논문】
1. 김상호, “경찰학의 정체성 및 학문적 성격에 대한 고찰”, 경찰학연구 제4호, 2003.
2. 이황우, “경찰학의 학문적발전방향”,한국공안행정학회 제12호, 2001.
3. 임재강, “한국의 경찰학 연구:주재별, 동향분석과 발전과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10호, 2000.
4. 임재강, “한국 경찰행정학 교과서의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9호, 1999.
5. 전돈수,“경찰행정학 교육의 실태 및 발전방향” 경찰연구 제 3호, 2003.
6. 최응렬, “경찰학관련학과 및 경찰대학의 발전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0호,
2000.
【참고문헌】
1. 경찰종합학교, 「경찰종합학교 50년사: 1945~1994」,용인:경찰대학, 1994.
2. 내무부치안국,「한국경찰사Ⅱ」,서울:내무부, 1973.
3. 이황우, 「경찰행정학」, 서울:법문사, 2003.
【참고논문】
1. 김상호, “경찰학의 정체성 및 학문적 성격에 대한 고찰”, 경찰학연구 제4호, 2003.
2. 이황우, “경찰학의 학문적발전방향”,한국공안행정학회 제12호, 2001.
3. 임재강, “한국의 경찰학 연구:주재별, 동향분석과 발전과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10호, 2000.
4. 임재강, “한국 경찰행정학 교과서의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9호, 1999.
5. 전돈수,“경찰행정학 교육의 실태 및 발전방향” 경찰연구 제 3호, 2003.
6. 최응렬, “경찰학관련학과 및 경찰대학의 발전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0호,
2000.
추천자료
[사회과학] 지역사회경찰활동
경찰의 범죄예방활동
[인문과학] 지역사회경찰활동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분석(도입의 필요성 및 문제점에 대한 대책, 청사진 제시)
[사회과학] 경찰인사관리
경찰공무원의 내부임용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과제와 전망에 관한 자료 입니다.
자치경찰제의 의의와 이념 도입의 필요성
자치경찰의 의의 우리나라의 자치경찰의 도입 추진 과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위법한 즉시강제의 피해사례와 구제방안
자치경찰의 의의 및 국가경찰과의 비교 도입의 필요성 및 선행과제
지방자치의 가치 자치경찰제의 목적 및 의의
자치경찰제
자치경찰제도 정부수립기 자치경찰제 추진과 그 배경 윤보선정부 이명박 정부 김대중정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