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槪 觀
2. 作 家 紹 介
3. 旅 程
1) 남도답사 일번지, 담양의 정자와 원림
2) 남도답사 일번지와 보길도,운주사
3) 예산 수덕사와 가야산 주변
4) 경주
5) 양양 낙산사와 관동지방의 폐사지
6) 문경 봉암사
7) 고창 선운사와 갑오농민전쟁의 현장
4. 感 想
2. 作 家 紹 介
3. 旅 程
1) 남도답사 일번지, 담양의 정자와 원림
2) 남도답사 일번지와 보길도,운주사
3) 예산 수덕사와 가야산 주변
4) 경주
5) 양양 낙산사와 관동지방의 폐사지
6) 문경 봉암사
7) 고창 선운사와 갑오농민전쟁의 현장
4. 感 想
본문내용
이 아닌 傳統의 本質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韓國人이라면 누구든 感動과 놀라움속에 때로는 자신의 無知에 대한 부끄러움과 함께 傳統의 價値를 새삼 깨달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歷史의 자취가 곳곳에 널린 民族치고는 文化遺産을 간직하고 스스로 가까이 하려는 우리의 努力이 남달랐다고 하기 어렵다. 戰亂으로 없어져버린 것도 많고 특유의 樂天性으로 물건 간수에 신경을 덜 쓴 까닭도 있지만 아무래도 生活이 困窮하고 세상이 너무 빨리 바뀌는 통에 공부와 살림을 제대로 못한 탓이 큰것 같다. 그러나 아직 늦지 않았으리라. 사랑의 感情으로 우리의 文化遺産을 同時代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日常속에 끌어 안으며 살아간다면 우리 歷史와 文化遺産의 寶物들은 두고두고 우리의 삶속에 살아 숨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는 歷史의 자취가 곳곳에 널린 民族치고는 文化遺産을 간직하고 스스로 가까이 하려는 우리의 努力이 남달랐다고 하기 어렵다. 戰亂으로 없어져버린 것도 많고 특유의 樂天性으로 물건 간수에 신경을 덜 쓴 까닭도 있지만 아무래도 生活이 困窮하고 세상이 너무 빨리 바뀌는 통에 공부와 살림을 제대로 못한 탓이 큰것 같다. 그러나 아직 늦지 않았으리라. 사랑의 感情으로 우리의 文化遺産을 同時代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日常속에 끌어 안으며 살아간다면 우리 歷史와 文化遺産의 寶物들은 두고두고 우리의 삶속에 살아 숨쉬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