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상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 코와 부비동
2. 인두
3. 후두
<하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 구조
1) 흉곽
2) 폐
3) 흉막
4) 횡격막
5) 종격동(mediastinum)
6) 흉곽 골격
7) 호흡 근육
8) 기도
(1) 기관
(2) 기관지
(3) 폐포
2. 기능
1) 호흡기계 방어기전
2) 폐의 기능
(1) 환기
(2) 가스교환
(3) 확산
(4) 폐신장성, 탄성 반동, 기도 저항
(5) 가스 운반
(6) 수소이온 불균형
(7) 호흡 조절
<참고문헌>
<상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 코와 부비동
2. 인두
3. 후두
<하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 구조
1) 흉곽
2) 폐
3) 흉막
4) 횡격막
5) 종격동(mediastinum)
6) 흉곽 골격
7) 호흡 근육
8) 기도
(1) 기관
(2) 기관지
(3) 폐포
2. 기능
1) 호흡기계 방어기전
2) 폐의 기능
(1) 환기
(2) 가스교환
(3) 확산
(4) 폐신장성, 탄성 반동, 기도 저항
(5) 가스 운반
(6) 수소이온 불균형
(7) 호흡 조절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황
①폐포 내의 충분한 산소 농도
②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혈색소
③혈액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폐포 내 산소의 확산
④세포에서 필요한 충분한 산화 혈색소의 운반 능력
⑤운반된 산소를 사용하는 조직의 능력
(4) 폐신장성, 탄성 반동, 기도 저항
폐: 폐의 팽창을 저해하는 탄성반동(elastic recoil), 기도 저항 등이 지속적으로 존재.
(정상적으로 탄력성이 강한 폐는 신장함)
호흡 근육이 수축하지 않아도 흉곽은 폐포면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하는 경향 있다.
→흉막강 내압은 폐포기압보다 낮아짐.
(압력의 차이: 폐를 팽창시켜서 흉강 내 압력과 같아질 때까지 신전 →폐가 완전히
신전하면 다시 돌아가려고 하는 반동의 결과 폐포 내압과 흉곽 내압이 균형을 이룸)
이 두 압력의 차이가 호흡하는 동안 폐가 팽창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다.
폐신장성(lung compliance): 폐벽에 대한 압력 차이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폐내 가스
용적의 변화. →흉강내압과 폐포압 차이의 단위 변화에 대한 폐용량의 변화.
(압력의 차이에 따른 용적 변화가 클수록 신장성 큼)
정상 성인의 폐의 신장성: 200㎖/㎝H2O
폐 팽창을 방해하는 힘을 극복하고 충분한 공기를 주기 위해 필요한 압력이 크면 클수록
폐 신장성은 낮아지고 적으면 적을수록 높아진다.
폐섬유증, 폐수종 등 억제성 폐질환을 가진 환자: 폐 신장성 낮음.
폐기종, 노인의 폐: 폐 신장성은 상승(정상 팽창압인데도 비정상적으로 큰 용적을 취함)
폐의 정상 탄성변형은 폐내의 탄성조직에 의하여 일어나지만 그 외에도 폐포내에 존재
하는 계면활성제의 역할도 신장성의 약 1/2을 담당.
기도저항: 호흡 중에 이겨내야 하는 힘으로 기도가 흡기시에는 넓어지고 호기시에는
좁아지므로 흡기시보다 호기시에 높으며 호기량이 적을수록 커짐.
→기도가 충분히 열리지 않기 때문. 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기도 저항이 높다.
(기도의 저항이 클수록 호흡 힘들어 짐)
(5) 가스 운반
혈색소는 100㎖의 혈액에 약 15gm이 있으며 혈색소 1gm은 1.34㎖의 산소와 결합.
혈색소는 산소의 분압이 높은 곳에서는 극히 짧은 시간(0.01초)내에 산소와 결합.
(산소분압이 낮은 곳에서는 쉽게 산소를 분리)
산소해리곡선(oxygen dissociation curve): 혈색소와 산소의 결합량이 산소분압 변화에
따라 변하는 모습을 그린 곡선. (S자 모양)
산소의 분리: 조직의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 산성 대사산물의 증가에 의해 상승.
탄산가스는 혈액 내에 들어오면 여러 가지 형태의 결합물로 운반
①물리적으로 물에 용해된 상태로 되는 것, 약 8%
②혈액 속에 있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carbamino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 약 27%
③적혈구내의 물과 화합하여 탄산으로 존재, 약 65%
CO₂+ H₂O → H₂CO₃
:아주 느리게 진행. (적혈구 내에서는 탄산탈수효소의 작용으로 매우 빨라짐)
→결합과 분리가 탄산가스의 분압에 따라 가역적으로 일어남. (폐포와 같이 탄산가스의
분압이 낮은 곳에서는 분리, 조직에서와 같이 분압이 높은 곳에서는 결합.)
(6) 수소이온 불균형
폐는 우리 몸의 H의 균형을 유지
H 불균형: 호흡장애 →호흡성 산독증, 호흡성 알카리중독증
(호흡성 산독증- 과잉탄산증, 호흡성 알카로시스- 탄산부족)
(7) 호흡 조절
①신경성 조절
호흡중추: 연수 (흡기와 호기 중추가 따로 있다)
근원 호흡중추(primary respiratory center) →원심신경(efferent nerve): 횡격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횡격막신경과 늑골사이근의 운동을 비배하는 흉수의 척수신경.
→구심성신경섬유(afferent nerve): 미주신경 내에 위치, 폐에서 시작하는 것이 주됨.
뇌교(pons)
.하부 2/3 영역: 지속적인 호흡운동을 시키는 apneustic center가 있음.
.상부 1/3 영역: apneustic center 억제 →호흡의 리듬을 주는 pneumotaxis center 있음.
(연수의 흡입중추가 흥분 →원심신경을 통해 바깥늑골 사이근과 횡격막을 수축 →흉곽의
용적이 커지게 됨 →흡기)
Hering-Breuer 흡기반사
.흡기가 절정에 달하면 호흡세기관지에 분포되어 있는 신장감수체가 흥분
→구심신경을 통하여 흡입 중추를 억제, 동시에 apneustic center를 억제.
.흡입중추의 흥분 →직접 pneumotaxic center를 흥분 →apneustic center를 억제
→흡입 중추를 억제 →자연히 호기가 일어남.
대뇌피질은 의식적으로 숨을 멈추거나 과호흡 할 수 있다.
.예: 말할 때, 웃을 때, 삼킬 때, 울거나 흐느낄 때, 공포에 질릴 때 호흡 멈춤.
Gamma Efferent System: 억제성 폐질환: 호흡 근육의 수축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안정시 호흡량이 적어짐 →중추신경에 의해 감지되고 호흡이 빨라짐.
②화학적 조절
중추화학감수체: 연수에 위치. 탄산가스의 농도와 척수액 속 수소이온농도에 매우 민감.
(호흡조절에서 매우 중요 →탄산가스의 농도가 증가되면 화학감수체에서 반응하여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이 빨라짐)
말초화학감수체: 대동맥소체(aortic body)와 목동맥소체(carotid body)에 위치.
→혈액속의 화학적 변화. (동맥 혈액에 산소분압이 감소될 때 반응.)
.저산소혈증: 말초화학감수체를 자극 →호흡 중추를 자극하여 환기가 증가.
(동맥혈 내에 탄산가스 농도의 증가에도 반응하지만 산소의 결핍시 더 잘 반응.)
압력 감수체(baroreceptor): 대동맥동(aortic sinus)과 목동맥동(carotid sinus)에 위치.
혈압의 급격한 상승에 반응 →호흡중추를 일시적으로 억압 →호흡 느려지고 얕아짐.
progesterone: 환기를 자극, 임신 시 과호흡이 발생.
혈액 온도가 높아지거나 혈액이 산성으로 기울어지면 호흡이 빨라짐.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Ⅱ / 서문자 외 지음 / 수문사 / 2004
인체구조와 기능Ⅱ / 최명애 외 지음 / 계축문화사 / 2003
①폐포 내의 충분한 산소 농도
②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혈색소
③혈액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폐포 내 산소의 확산
④세포에서 필요한 충분한 산화 혈색소의 운반 능력
⑤운반된 산소를 사용하는 조직의 능력
(4) 폐신장성, 탄성 반동, 기도 저항
폐: 폐의 팽창을 저해하는 탄성반동(elastic recoil), 기도 저항 등이 지속적으로 존재.
(정상적으로 탄력성이 강한 폐는 신장함)
호흡 근육이 수축하지 않아도 흉곽은 폐포면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하는 경향 있다.
→흉막강 내압은 폐포기압보다 낮아짐.
(압력의 차이: 폐를 팽창시켜서 흉강 내 압력과 같아질 때까지 신전 →폐가 완전히
신전하면 다시 돌아가려고 하는 반동의 결과 폐포 내압과 흉곽 내압이 균형을 이룸)
이 두 압력의 차이가 호흡하는 동안 폐가 팽창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다.
폐신장성(lung compliance): 폐벽에 대한 압력 차이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폐내 가스
용적의 변화. →흉강내압과 폐포압 차이의 단위 변화에 대한 폐용량의 변화.
(압력의 차이에 따른 용적 변화가 클수록 신장성 큼)
정상 성인의 폐의 신장성: 200㎖/㎝H2O
폐 팽창을 방해하는 힘을 극복하고 충분한 공기를 주기 위해 필요한 압력이 크면 클수록
폐 신장성은 낮아지고 적으면 적을수록 높아진다.
폐섬유증, 폐수종 등 억제성 폐질환을 가진 환자: 폐 신장성 낮음.
폐기종, 노인의 폐: 폐 신장성은 상승(정상 팽창압인데도 비정상적으로 큰 용적을 취함)
폐의 정상 탄성변형은 폐내의 탄성조직에 의하여 일어나지만 그 외에도 폐포내에 존재
하는 계면활성제의 역할도 신장성의 약 1/2을 담당.
기도저항: 호흡 중에 이겨내야 하는 힘으로 기도가 흡기시에는 넓어지고 호기시에는
좁아지므로 흡기시보다 호기시에 높으며 호기량이 적을수록 커짐.
→기도가 충분히 열리지 않기 때문. 천식이나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기도 저항이 높다.
(기도의 저항이 클수록 호흡 힘들어 짐)
(5) 가스 운반
혈색소는 100㎖의 혈액에 약 15gm이 있으며 혈색소 1gm은 1.34㎖의 산소와 결합.
혈색소는 산소의 분압이 높은 곳에서는 극히 짧은 시간(0.01초)내에 산소와 결합.
(산소분압이 낮은 곳에서는 쉽게 산소를 분리)
산소해리곡선(oxygen dissociation curve): 혈색소와 산소의 결합량이 산소분압 변화에
따라 변하는 모습을 그린 곡선. (S자 모양)
산소의 분리: 조직의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 산성 대사산물의 증가에 의해 상승.
탄산가스는 혈액 내에 들어오면 여러 가지 형태의 결합물로 운반
①물리적으로 물에 용해된 상태로 되는 것, 약 8%
②혈액 속에 있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carbamino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 약 27%
③적혈구내의 물과 화합하여 탄산으로 존재, 약 65%
CO₂+ H₂O → H₂CO₃
:아주 느리게 진행. (적혈구 내에서는 탄산탈수효소의 작용으로 매우 빨라짐)
→결합과 분리가 탄산가스의 분압에 따라 가역적으로 일어남. (폐포와 같이 탄산가스의
분압이 낮은 곳에서는 분리, 조직에서와 같이 분압이 높은 곳에서는 결합.)
(6) 수소이온 불균형
폐는 우리 몸의 H의 균형을 유지
H 불균형: 호흡장애 →호흡성 산독증, 호흡성 알카리중독증
(호흡성 산독증- 과잉탄산증, 호흡성 알카로시스- 탄산부족)
(7) 호흡 조절
①신경성 조절
호흡중추: 연수 (흡기와 호기 중추가 따로 있다)
근원 호흡중추(primary respiratory center) →원심신경(efferent nerve): 횡격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횡격막신경과 늑골사이근의 운동을 비배하는 흉수의 척수신경.
→구심성신경섬유(afferent nerve): 미주신경 내에 위치, 폐에서 시작하는 것이 주됨.
뇌교(pons)
.하부 2/3 영역: 지속적인 호흡운동을 시키는 apneustic center가 있음.
.상부 1/3 영역: apneustic center 억제 →호흡의 리듬을 주는 pneumotaxis center 있음.
(연수의 흡입중추가 흥분 →원심신경을 통해 바깥늑골 사이근과 횡격막을 수축 →흉곽의
용적이 커지게 됨 →흡기)
Hering-Breuer 흡기반사
.흡기가 절정에 달하면 호흡세기관지에 분포되어 있는 신장감수체가 흥분
→구심신경을 통하여 흡입 중추를 억제, 동시에 apneustic center를 억제.
.흡입중추의 흥분 →직접 pneumotaxic center를 흥분 →apneustic center를 억제
→흡입 중추를 억제 →자연히 호기가 일어남.
대뇌피질은 의식적으로 숨을 멈추거나 과호흡 할 수 있다.
.예: 말할 때, 웃을 때, 삼킬 때, 울거나 흐느낄 때, 공포에 질릴 때 호흡 멈춤.
Gamma Efferent System: 억제성 폐질환: 호흡 근육의 수축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안정시 호흡량이 적어짐 →중추신경에 의해 감지되고 호흡이 빨라짐.
②화학적 조절
중추화학감수체: 연수에 위치. 탄산가스의 농도와 척수액 속 수소이온농도에 매우 민감.
(호흡조절에서 매우 중요 →탄산가스의 농도가 증가되면 화학감수체에서 반응하여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이 빨라짐)
말초화학감수체: 대동맥소체(aortic body)와 목동맥소체(carotid body)에 위치.
→혈액속의 화학적 변화. (동맥 혈액에 산소분압이 감소될 때 반응.)
.저산소혈증: 말초화학감수체를 자극 →호흡 중추를 자극하여 환기가 증가.
(동맥혈 내에 탄산가스 농도의 증가에도 반응하지만 산소의 결핍시 더 잘 반응.)
압력 감수체(baroreceptor): 대동맥동(aortic sinus)과 목동맥동(carotid sinus)에 위치.
혈압의 급격한 상승에 반응 →호흡중추를 일시적으로 억압 →호흡 느려지고 얕아짐.
progesterone: 환기를 자극, 임신 시 과호흡이 발생.
혈액 온도가 높아지거나 혈액이 산성으로 기울어지면 호흡이 빨라짐.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Ⅱ / 서문자 외 지음 / 수문사 / 2004
인체구조와 기능Ⅱ / 최명애 외 지음 / 계축문화사 / 2003
추천자료
기계적 인공호흡
호흡부전 환자간호, 성인 호흡기 장애 증후군, 기계적 인공 호흡
하부 호흡기관 장애
성인간호학 레포트- 호흡기 구조 및 기능
하부 호흡기 장애의 수술요법과 간호
하부호흡기장애의 수술요법
성인간호학정리
성인간호학 의학용어 정리
(간호학과) 미생물 요약 총정리
상부호흡기 해부 생리, 기관절개 유형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하부기도 문제 1.크룹증후군 1) 급성후두개염 2) 급성후두기관기...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1. 크룹증후군 1) 급성후두개염 2) 급성후두기관기관지염 3) 급성...
[간호학] 호흡기 질환 및 치료 (아동기 호흡기 질환의 특징 상기도문제 및 세기관지염을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