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손상환자의간호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수손상환자의간호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 론

Ⅱ.본 론

Ⅲ.결 론

본문내용

추관 협착증(spinal cannal stenosis)이 있는 중년 또는 노인에서 경추부 과신전 손상을 당했을 경우 흔하다. 경추 5~7에 호발하고 척수의 중심부에 출혈이나 부종 등이 있으므로 운동 장애는 상지가 하지보다 더욱 심하며 특히 상지의 말단부(손가락, 손)에 마비가 심하다.
*증상 및 징후
-팔의 마비, 하지의 기능 부전, 지각 장애는 불규칙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온도 감각은 양측에서 소실될 수 있고 촉각, 진동감, 위치감 등은 부분적으로 비교적 존재한다.
*중재
-완전한 손상범위로 되지 않았다면 자연적으로 호전되나 때로는 호전되지 않고 양 상지의 말단부에 운동 장애를 남긴다.
(3) 전방 척수 증후군(Anterior Cord Syndrome)
굴곡 손상시에 발생하며 이론적으로 전척수 동맥의 차단으로 인하여 척수 전방 2/3 부분이 손상당한다. 파열된 골편이나 추간판이 후방으로 전이되어 척수 전방을 압박할 경우에도 발생한다.
*증상 및 징후
-통증과 온도에 대한 감각이 감소하지만 촉감과 자극에 대한 감응력, 진동의 감각은 변화가 없다. 또한 마비가 발생하며 운동자앵는 상지보다 하지가 더 심하다.
*중재
-골편이나 추간판 탈출로 인한 압박이 있다면 수술을 준비한다.
(4) Brown-Sequard Syndrome
척수의 한쪽반이 손상을 당한 경우이다. 손상당한 동측 하부에 운동 마비와 척수 후방을 지나가는 모든 지각 섬유의 기능(촉감, 위치감, 진동감 등) 소실이 있고 반대측 하부에는 통각과 온도 감각의 소실이 있다. 이 증후군 척수가 한쪽만 칼로 찔리거나 총상을 당하거나 회전손상으로 인하여 척수의 한쪽에만 손상을 입을 때 볼 수 있다.
*증상 및 징후
-동측마비, 촉감과 진동감, 취치감의 동측 손신, 통증 감각, 체온 감가의 대칭적 손실
(5) Cauda equina
제2요추 이하의 척수 손상으로 이완성 마비, 장과 방광의 기능 저하 및 성기능 이상을 초래한다.
2. 척수손상의 임상적 의의
척수가 외상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면 일차적으로 압박에 의해 손상이 오고 이차적으로 부종으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와 산소 결핍이 와서 조직변화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척수 손상환자의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우선적으로 신경을 압박하는 조직을 분리시키고 조직의 변형된 상태를 가능한 원위치로 환원시켜 더 이상의 신경조직이 손상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다.
경추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척수 쇼크와 호흡곤란으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3. 치료
1) 척수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의 관리
손상이 즉시 생명을 위협하는 것은 아니다. 기도폐쇄, 무호흡, 심정지와 심각한 출혈같이 급하지는 않으며 응급환자의 대처방법인 ABCs의 방법을 따른다. (ABCs: Air way/기도확보, Breating/인공호흡, Circulation or cardiac compression/심장압박 및 순환)
척추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는 움직이기 전에 완전히 고정하여야 한다. 척추고정은 구조자에 의해 주의깊에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적이고 섬세한 과정은 불능에 대한 공포나 공포에 찬 환자의 안정에 도움이 된다.
척추고정의 일반적 원칙
-모든 척추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는 움직이기 전에 고정한다.
-응급처치의 목적은 환자의 척추의 움직임을 예방하는 것이다.
-척추고정은 천천히 조심스럽고 섬세하게 수행한다.
-환자의 머리에 있는 구조자는 구조를 지시한다.
-환자가 완전 고절될때까지는 두부견인은 계속 유지한다.
-환자가 움직여야 한다면 환자를 한 단위로 유지한다.(통나무 굴리기)
-환자를 발견한 자세로 고정한다. 등으로 견인을 시도하지 않는다.
-무의식 환자의 이송시 척추고정판을 좌측으로 약간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7.2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