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림책의 개념 및 특성
1) 그림책의 개념
2) 그림책의 구성
2. 글과 그림의 관계
1) 현대 그림책에서의 그림의 비중
2) 글과 그림의 관계
3. 그림책의 문학적 요소
1) 서사적 그림책
2) 그림책의 문학적 요소
4. 그림책의 미술적 요소
1) 선
2) 모양
3) 색
4) 질감
5) 디자인
6) 매체와 기법
7) 양식
5. 그림책의 그림에 대한 평가 준거
참고문헌
1) 그림책의 개념
2) 그림책의 구성
2. 글과 그림의 관계
1) 현대 그림책에서의 그림의 비중
2) 글과 그림의 관계
3. 그림책의 문학적 요소
1) 서사적 그림책
2) 그림책의 문학적 요소
4. 그림책의 미술적 요소
1) 선
2) 모양
3) 색
4) 질감
5) 디자인
6) 매체와 기법
7) 양식
5. 그림책의 그림에 대한 평가 준거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색
- 작가는 색(color)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과 분위기, 정서를 표현
- 색은 따뜻함, 시원함, 성격적 특질, 무관심, 감정을 담고 있음
- 가령, 『고릴라』의 경우 초반의 희고 푸른색과 후반부의 노랗고 붉은 색조는 각각 한나의 심리적 위축과 소외, 따뜻하고 다정한 감정의 교류
- 또 유아가 항상 밝은 색을 좋아한다는 것은 근거가 없으며 버지니아 리 버튼의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마크 사이먼트의 『코를 킁킁』, 완다 가그의 『백만 마리 고양이』등은 흑백을 효과적으로 대비시켜 선과 모양, 공간이 효과적으로 부각
4) 질감
- 질감(texture)은 그림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느낌
- 화면 속에서 대비를 통해 실제감과 운동, 거칠음과 부드러움을 나타냄
- 질감을 통해 그림책의 실제감이 살아나고 보고 싶고 만져 보고 싶은 호기심을 유발
- 주경호의 『우리 할아버지가 꼭 나만 했을 때』김경희 『봉구야, 목욕하자』는 점토로 만든 인형과 흙담, 지푸라기 등으로 질감이 살 있고, 임선영 『나는요』는 봉제인형 특유의 부드러운 살결 질감
- 바바라 레이드의 『노아의 방주를 탄 동물들』점토기법
- 콜라쥬 기법
5) 디자인
- 디자인(design)은 작가가 의미 있는 전체로서의 통합성을 전달하기 위해 미술적 요소를 어떻게 배열하느냐의 문제
- 여기에는 구도(composition), 배치(placement), 원근법 또는 조망(perspective) 등의 요소와 관련
- 돈 우드의 『낮잠 자는 집』에서는 전체적으로 조망의 변화를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작은 집 이야기』는 원근화법을 이용하였고, 『노나 할머니』에서 토미 드 파욜라는 사각형 윤곽을 통해 무대를 연상
6) 매체와 기법
- 오늘날 그림책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매체와 기법의 다양성과 혼합이다. 기법에는 크게 채색기법과 드로잉, 판화, 콜라주, 스크래치 보드, 사진, 컴퓨터 그래픽, 점토 조각 등 다양함
- 채색기법 중 수채물감은 부드럽고 섬세한 그림에 적당하며 베아트릭스 포터의 『피터 토끼 이야기』 문정희『나들이가요』 투명하고 맑은 느낌이 전해져 옴
- 불투명 물감 / 템페라 [모리스 샌닥의 『괴물들이 사는 나라』과슈(몰리 뱅의 『소피가 화나면 - 정말, 정말 화나면…』아크릴 물감/ 빨리 마르며 색감이 잘 나타냄 오정일『우리 엄마인가요』
- 크레용/ 조 산타의 『나의 크레용』, 김영수『내 동생 싸게 팔아요』 드로잉 / 크리스 반 알스버그는 『주만지』와 『압둘 가사지의 정원』에서 연필과 콘테로, 버지니아 리버튼은 『말괄량이 기차 추추』에서 콘테(콘테란 소묘용 연필을 말하며, 찰흙과 흑연을 섞어서 만들고 18세기에 이것을 만든 자크 콩테 이름을 땀)
- 레이먼드 브릭스는 『곰』에서 색연필을 사영
- 콜라주 기법은 에즈라 잭 키츠의 『눈 오는 날』 레오 리오니의 『새앙쥐와 태엽쥐』
- 그 외에 사진기법도 가끔 등장하는데 보통 다른 기법들과 혼합할 때가 많음.『구름 나라』에서 존 버닝햄은 사진과 콜라주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고, 『고래들의 노래』에서 사진에 유화를 함께 사용하였음
- 2008년 칼데콧 아너 상을 받은 모윌렘스 『내 토끼 어디있어』에서 사진에 만화기법을 혼용한 경우, 모윌렘스는 세서미스트리트의 작가이기도 함
- 현대 그림책의 경향은 갈수록 매체와 기법에서의 혼합이 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화선지와 염료 등 새로운 매체를 개발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음. 유애로의 『쪽빛을 찾아서』의 경우 천에 염료와 아크릴 물감으로 그렸고, 이영경의 『아씨방 일곱 동무』는 화선지에 아교와 백반을 바른 뒤 작업. 『세모야 어디가니』배경을 한지 사용, 색종이로 꼴라쥬 기법
7) 양식
- 양식(style)은 화가의 예술적인 개성을 반영하는데 다양한 그림책 양식을 통해 유아들은 폭넓은 예술 양식을 경험
- 그림책에 많이 등장하는 몇 가지 양식
(1) 재현주의
- 재현주의(representationalism)란 사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작가는 등장인물이 실제인 것처럼 믿어지기를 원함
- 이태수의 『심심해서 그랬어』, 이억배의 『솔이의 추석 이야기』, 베아트릭스 포터의 『피터 토끼 이야기』 등의 그림책이 여기에 속함
(2) 표현주의
- 표현주의(expressionism)란 정밀한 사실주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으며 사물을 본 대로 정확하게 묘사하기보다는 작가가 자신이 느낀 대로 표현하는 방법
- 표현주의적 그림에서는 의도적인 비틀기와 과장이 포함
- 이는 선, 공간, 색, 형태, 질감, 구도와 같은 미술적 요소에서 다양한 실험을 거쳐 이뤄짐. 예> 루드비히 베멀먼즈의 『씩씩한 마들린느』에서 과장된 선과 변형된 형태, 모든 것을 아이같은 단순함으로 화풍
- 표현주의의 극단은 추상주의인데 너무 모호해서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에서는 보기 드묾. 그림이 무얼 말하는지 알 수 없으면 이야기를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
(3) 인상주의
- 인상주의(impressionism)적 그림은 빛과 색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실제에 대한 인상을 창조해 냄
- 존 버닝햄의 『점피 아저씨의 뱃놀이』, 존 쇤헤르의 『부엉이와 보름달』은 인삼주의적 그림의 특성인 마술적이고 꿈같은 특성을 되살려내고 있음(Russel, 1994, p.41)
- 에드 영의 『론포포』 역시 인상주의적 특성이 강한 그림책
(4) 초현실주의
- 초현실주의(surrealism) 그림에는 놀랄 만한 이미지와 부조화가 포함되어 있고 이는 관습에 대한 풍자적 태도
- 초현실적 그림은 종종 꿈이나 환상 속에서 경험한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음(Culliman & Galda, 2002)
- 크리스 반 알스버그의 『주만지』앤서니브라운의 『고릴라』
(5) 만화
- 만화(cartoon)은 표현주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서 선을 강조하고 유머의 효과를 위해 형태를 단순화시키거나 과장
- 만화는 상업 광고나 인쇄 영상 매체를 통해 친숙한 기법이어서 유아에게 설득력이 큼, 윌리엄 사타이그의 『실베스터와 조약돌』, 데이빗 셰논의 『안 돼, 데이빗!』
(6) 민속 그림
- 민속 그림(folk art)은 고유한 문화가 있는 민족이면 갖고 있는 전통적인 상징과 기법,
- 작가는 색(color)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과 분위기, 정서를 표현
- 색은 따뜻함, 시원함, 성격적 특질, 무관심, 감정을 담고 있음
- 가령, 『고릴라』의 경우 초반의 희고 푸른색과 후반부의 노랗고 붉은 색조는 각각 한나의 심리적 위축과 소외, 따뜻하고 다정한 감정의 교류
- 또 유아가 항상 밝은 색을 좋아한다는 것은 근거가 없으며 버지니아 리 버튼의 『말괄량이 기관차 치치』, 마크 사이먼트의 『코를 킁킁』, 완다 가그의 『백만 마리 고양이』등은 흑백을 효과적으로 대비시켜 선과 모양, 공간이 효과적으로 부각
4) 질감
- 질감(texture)은 그림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느낌
- 화면 속에서 대비를 통해 실제감과 운동, 거칠음과 부드러움을 나타냄
- 질감을 통해 그림책의 실제감이 살아나고 보고 싶고 만져 보고 싶은 호기심을 유발
- 주경호의 『우리 할아버지가 꼭 나만 했을 때』김경희 『봉구야, 목욕하자』는 점토로 만든 인형과 흙담, 지푸라기 등으로 질감이 살 있고, 임선영 『나는요』는 봉제인형 특유의 부드러운 살결 질감
- 바바라 레이드의 『노아의 방주를 탄 동물들』점토기법
- 콜라쥬 기법
5) 디자인
- 디자인(design)은 작가가 의미 있는 전체로서의 통합성을 전달하기 위해 미술적 요소를 어떻게 배열하느냐의 문제
- 여기에는 구도(composition), 배치(placement), 원근법 또는 조망(perspective) 등의 요소와 관련
- 돈 우드의 『낮잠 자는 집』에서는 전체적으로 조망의 변화를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작은 집 이야기』는 원근화법을 이용하였고, 『노나 할머니』에서 토미 드 파욜라는 사각형 윤곽을 통해 무대를 연상
6) 매체와 기법
- 오늘날 그림책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매체와 기법의 다양성과 혼합이다. 기법에는 크게 채색기법과 드로잉, 판화, 콜라주, 스크래치 보드, 사진, 컴퓨터 그래픽, 점토 조각 등 다양함
- 채색기법 중 수채물감은 부드럽고 섬세한 그림에 적당하며 베아트릭스 포터의 『피터 토끼 이야기』 문정희『나들이가요』 투명하고 맑은 느낌이 전해져 옴
- 불투명 물감 / 템페라 [모리스 샌닥의 『괴물들이 사는 나라』과슈(몰리 뱅의 『소피가 화나면 - 정말, 정말 화나면…』아크릴 물감/ 빨리 마르며 색감이 잘 나타냄 오정일『우리 엄마인가요』
- 크레용/ 조 산타의 『나의 크레용』, 김영수『내 동생 싸게 팔아요』 드로잉 / 크리스 반 알스버그는 『주만지』와 『압둘 가사지의 정원』에서 연필과 콘테로, 버지니아 리버튼은 『말괄량이 기차 추추』에서 콘테(콘테란 소묘용 연필을 말하며, 찰흙과 흑연을 섞어서 만들고 18세기에 이것을 만든 자크 콩테 이름을 땀)
- 레이먼드 브릭스는 『곰』에서 색연필을 사영
- 콜라주 기법은 에즈라 잭 키츠의 『눈 오는 날』 레오 리오니의 『새앙쥐와 태엽쥐』
- 그 외에 사진기법도 가끔 등장하는데 보통 다른 기법들과 혼합할 때가 많음.『구름 나라』에서 존 버닝햄은 사진과 콜라주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고, 『고래들의 노래』에서 사진에 유화를 함께 사용하였음
- 2008년 칼데콧 아너 상을 받은 모윌렘스 『내 토끼 어디있어』에서 사진에 만화기법을 혼용한 경우, 모윌렘스는 세서미스트리트의 작가이기도 함
- 현대 그림책의 경향은 갈수록 매체와 기법에서의 혼합이 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화선지와 염료 등 새로운 매체를 개발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음. 유애로의 『쪽빛을 찾아서』의 경우 천에 염료와 아크릴 물감으로 그렸고, 이영경의 『아씨방 일곱 동무』는 화선지에 아교와 백반을 바른 뒤 작업. 『세모야 어디가니』배경을 한지 사용, 색종이로 꼴라쥬 기법
7) 양식
- 양식(style)은 화가의 예술적인 개성을 반영하는데 다양한 그림책 양식을 통해 유아들은 폭넓은 예술 양식을 경험
- 그림책에 많이 등장하는 몇 가지 양식
(1) 재현주의
- 재현주의(representationalism)란 사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작가는 등장인물이 실제인 것처럼 믿어지기를 원함
- 이태수의 『심심해서 그랬어』, 이억배의 『솔이의 추석 이야기』, 베아트릭스 포터의 『피터 토끼 이야기』 등의 그림책이 여기에 속함
(2) 표현주의
- 표현주의(expressionism)란 정밀한 사실주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으며 사물을 본 대로 정확하게 묘사하기보다는 작가가 자신이 느낀 대로 표현하는 방법
- 표현주의적 그림에서는 의도적인 비틀기와 과장이 포함
- 이는 선, 공간, 색, 형태, 질감, 구도와 같은 미술적 요소에서 다양한 실험을 거쳐 이뤄짐. 예> 루드비히 베멀먼즈의 『씩씩한 마들린느』에서 과장된 선과 변형된 형태, 모든 것을 아이같은 단순함으로 화풍
- 표현주의의 극단은 추상주의인데 너무 모호해서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에서는 보기 드묾. 그림이 무얼 말하는지 알 수 없으면 이야기를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
(3) 인상주의
- 인상주의(impressionism)적 그림은 빛과 색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실제에 대한 인상을 창조해 냄
- 존 버닝햄의 『점피 아저씨의 뱃놀이』, 존 쇤헤르의 『부엉이와 보름달』은 인삼주의적 그림의 특성인 마술적이고 꿈같은 특성을 되살려내고 있음(Russel, 1994, p.41)
- 에드 영의 『론포포』 역시 인상주의적 특성이 강한 그림책
(4) 초현실주의
- 초현실주의(surrealism) 그림에는 놀랄 만한 이미지와 부조화가 포함되어 있고 이는 관습에 대한 풍자적 태도
- 초현실적 그림은 종종 꿈이나 환상 속에서 경험한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음(Culliman & Galda, 2002)
- 크리스 반 알스버그의 『주만지』앤서니브라운의 『고릴라』
(5) 만화
- 만화(cartoon)은 표현주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서 선을 강조하고 유머의 효과를 위해 형태를 단순화시키거나 과장
- 만화는 상업 광고나 인쇄 영상 매체를 통해 친숙한 기법이어서 유아에게 설득력이 큼, 윌리엄 사타이그의 『실베스터와 조약돌』, 데이빗 셰논의 『안 돼, 데이빗!』
(6) 민속 그림
- 민속 그림(folk art)은 고유한 문화가 있는 민족이면 갖고 있는 전통적인 상징과 기법,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문학]아동문학_수업에서_제시된_그림책이나_칼데콧상_케이트그린어웨이상_등_세계우수도...
유아에게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그림책 3권을 선정한 후 그림책 내용 소개와 함...
[언어지도] 그림책의 예술성(선, 공간, 모양, 색)과 작가들의 그림 스타일 및 연령에 따른 그...
만1세) <어린이집 보육일지> 12월 1주 - 주제 : 좋아하는 놀이가 있어요 Ⅰ / 소주제 : 그림책...
만1세) <어린이집 보육일지> 12월 2주 - 주제 : 좋아하는 놀이가 있어요 Ⅰ / 소주제 : 그림책...
[아동문학] 다문화 그림책 5권 선정과 각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기술 - <강 너머 저쪽에서>, ...
주인공의 캐릭터(character) 분석기준에 맞춰 어떠한 그림책이든 한권을 선정한 후 그림책의 ...
그림책을 3권이상 읽고 글과 그림의 특징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작가의 의도와 그 책이 주는 ...
[아동문학] 연령별 특성(0-2세, 2-4세, 4-6세)에 맞는 그림책 1권씩 내용 정리 및 영유아들에...
아동문학 강의와 교재를 통해 소개된 다양한 아동문학 책 중에 한 권의 책을 본인이 읽고 유...
영유아기 중 특정 연령대를 선택한 뒤 그 연령대에 맞는 그림책 한 권을 찾아 소개하고 이 그...
아동문학-영아의 연령대(0~4세 중)를 정하고 연령대에 맞는 언어 발달단계를 정리하고, 영아 ...
[영유아기 중 특정 연령대를 선택한 뒤 그 연령대에 맞는 그림책 한 권을 찾아 소개하고, 이 ...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도울 수 있는 그림책을 각각 1권씩 소개하고 그림책 중심의 통합적 활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