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호흡작용
ㆍ호흡과정
Ⅰ. 호흡기계의 구조 (해부)
ⅰ. 상기도(upper airways)
1. nose (코)
(1) nose 의 구조
nos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
(2) nose 의 기능
ㆍ호흡과정
Ⅰ. 호흡기계의 구조 (해부)
ⅰ. 상기도(upper airways)
1. nose (코)
(1) nose 의 구조
nos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
(2) nose 의 기능
본문내용
ㆍ호흡작용
ㆍ호흡과정
Ⅰ. 호흡기계의 구조 (해부)
ⅰ. 상기도(upper airways)
1. nose (코)
(1) nose 의 구조
nos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
(2) nose 의 기능
2. pharynx (인두)
(1) 모양
(2) 위치
(3) 구분
비인두(nasopharynx)
구인두(oropharynx)
후인두(laryngopharynx)
(4) 기능
3. larynx (후두)
(1) 기능
(2) 구조
(3) 기능
ⅱ. 하기도(lower airways)
1. trachea (기관)
2. bronchus (기관지) & bronchiole (세기관지)
ㆍ기관지(bronchus)
ㆍ 세기관지(bronchiole)
3. alveolus (폐포)
4. Lung (폐)
폐엽(우폐3엽, 좌폐2엽)
신경(자율신경계)
혈관(폐동맥,기관지동맥)
(1) pleura
(2) mediastinum
(3) 흉곽 골격
(4) 호흡근육
Ⅱ . 호흡기계 기능 (생리)
ⅰ. 호흡기계의 구성
ⅱ. 폐환기
(1) inspiration
(2) expiration
(3) 폐 공기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4) 표면 장력과 폐의 표면 활성 물질
(5) 폐용적(Lung volume)과 폐용량(Lung capacity)
ⅲ. 가스교환 (Gas Exchange)
(1) 가스 분압(Partial pressure)
(2) 폐포와 혈액사이의 가스 교환(Alvoelar-blood gas exchange)
(3) 환기와 관류 비율
(4)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의 가스교환
ⅳ. 가스운반(Transport of gases in the blood)
(1) 혈액 중의 산소 운반
(2) 혈액 중의 이산화탄소의 운반
(3) 가스운반의 문제점
ⅴ. 호흡조절
(1) 신경성 조절(Neural control)
(2) 화학적 조절(chemical control)
(3)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ⅵ. 호흡의 이상
* 참고문헌 *
- 생리학 / 김종규편저 / 정문각
- 인체해부학 / 김덕훈외 / 정문각
- Mosby / 현문사
ㆍ호흡작용 : 공기 중으로부터 산소를 취해서 이것을 혈액에 주고 혈액 중의 탄산가스를
공기 중으로 내보내는 작용
호흡의 첫 번째 단계를 외호흡이라고 하며 ① 외기와 폐포 사이의 공기가 교환되는 환기(Ventilation) ② 폐포공기와 폐모세혈관 사이에서의 O₂와 CO₂의 확산에 의해 교환의 두 과정을 지킨다.
호흡의 두 번째 단계를 내호흡이라 하고, 모세혈관을 통해서 혈액과 조직 사이의 확산에 의해 O2가 CO2가 교환되는 것을 말한다.
ㆍ호흡과정 : external nose → (상부) nasal cavity → pharynx (소화기와 호흡기의 공통통로)→ larynx → (하부) trachea → bronchus → bronchiole → lung (alveolar)
Ⅰ. 호흡기계의 구조 (해부)
ⅰ. 상기도(upper airways)
1. nose (코)
(1) nose 의 구조
nose : 외관상 비근(코끝, root of nase), 비배(코등, dorsum of nose), 비침(코뿌리, apex of nose) 및 양측으로 융기된 비익(콧방울, wing of nose)으로 구분되며, 아래쪽에는 외비공(콧구멍, nares)이 있어 비강(nasal cavity)과 통한다.
nasal cavity : 비강은 사골(ehtmoid bone), 접형골(sphenoid bone), 비골(nasal bone)등에 감싸인 넓은 공간으로서 정중단면에서는 거의 대칭을 이루고 있다. nasal septum에 의해 좌우 nasal cavity 으로 나뉘고, 앞쪽은 외비공(nares)에서 시작하며, 뒤쪽으로 후비공(choanae)으로서 인두로 열란다. 비강상부의 일부는 후신경이 포함된 점막으로 이루어진 후각부분으로서 후각기관으로 작용한다.
좌우의 비강은 비익에 둘러싸인 내강 즉, 비전정(vestibule)과 그 안쪽으로 넓어지는 고유비강(nasal cavity proper)으로 나뉜다. 비전정은 비익에 이어지는 피부로 덮여 있다. 여기에는 짧고 굵은 코털이 있고, 피부에는 피지선과 아포크린 한선(전정선)이 있다. 비전정에서 비강으로 들어가는 경계부분의 바깥쪽은 조금 높은데, 여기를 비한이라 한다. 비전정의 후반부에서는 코털도 땀샘도 없어진다. 비강의 내면은 혈관이 많이 분포해 있는 두꺼운 점막으로 덮여 있다. 비중격의 앞면 아래쪽인 점막 아래에는 코피(Epistaxsis)를 일으키기 쉬운 부위인 키젤바흐부위가 있다.
비강 외측벽에는 내강을 향해 3개의 돌출물이 차양처럼 내밀고 있어 각각 상/중/하 비갑개 (superior/middle/inferior concha)라 하는데 3개 가운데 상비갑개가 제일 작다. 각 갑개 아래의 통로인 상/중/하 비도(superior/middle/inferior meatus)는 총비도(common nasal meatus)에서 비인도(nasopharyngeus meatus)로 연결된다.
paranasal sinus : 부비동은 비강을 형성하고 있는 뼈 속 (maxilla bone, frontal bone, ethmoid bone, sphenoid bone) 내에 공기가 차있는 빈 공간이다.
ㆍfrontal sinus(전두동) : 전두골 중앙부에 있는 한 쌍의 공동으로 그 범위가 다양하다. 중 간비도 상악동구멍 앞쪽에 개구되어 있다.
ㆍethmoidal sinus(사골동) : 사골 내부에 있는 3~18개의 벌집같은 작은 공동이다. 앞ㆍ중 간부분은 중간비도에, 뒷부분은 위비도에 개구한다.
ㆍsphenoidal sinus(접형동) : 접형골체의 터어키안 하방에 한쌍이 있다. 위벽은 엷은 골판 으로 사이에 두고 바로 뇌하수체와 접하고 있으므로 뇌하수체 또는 그 바로 앞의 시신경교차(optic chiasm)와의 관계가 임상적으로 중요시 된다. 개구부는 위비갑개 위쪽 비강천정 가장 뒷부분에 있다.
ㆍmaxillary sinus(상악동) : 상악골몸통 내에 있는 가장 큰 부비동이며 중간비도로 개구한 다. 상악동의 밑면이 개구부
ㆍ호흡과정
Ⅰ. 호흡기계의 구조 (해부)
ⅰ. 상기도(upper airways)
1. nose (코)
(1) nose 의 구조
nos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
(2) nose 의 기능
2. pharynx (인두)
(1) 모양
(2) 위치
(3) 구분
비인두(nasopharynx)
구인두(oropharynx)
후인두(laryngopharynx)
(4) 기능
3. larynx (후두)
(1) 기능
(2) 구조
(3) 기능
ⅱ. 하기도(lower airways)
1. trachea (기관)
2. bronchus (기관지) & bronchiole (세기관지)
ㆍ기관지(bronchus)
ㆍ 세기관지(bronchiole)
3. alveolus (폐포)
4. Lung (폐)
폐엽(우폐3엽, 좌폐2엽)
신경(자율신경계)
혈관(폐동맥,기관지동맥)
(1) pleura
(2) mediastinum
(3) 흉곽 골격
(4) 호흡근육
Ⅱ . 호흡기계 기능 (생리)
ⅰ. 호흡기계의 구성
ⅱ. 폐환기
(1) inspiration
(2) expiration
(3) 폐 공기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4) 표면 장력과 폐의 표면 활성 물질
(5) 폐용적(Lung volume)과 폐용량(Lung capacity)
ⅲ. 가스교환 (Gas Exchange)
(1) 가스 분압(Partial pressure)
(2) 폐포와 혈액사이의 가스 교환(Alvoelar-blood gas exchange)
(3) 환기와 관류 비율
(4)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의 가스교환
ⅳ. 가스운반(Transport of gases in the blood)
(1) 혈액 중의 산소 운반
(2) 혈액 중의 이산화탄소의 운반
(3) 가스운반의 문제점
ⅴ. 호흡조절
(1) 신경성 조절(Neural control)
(2) 화학적 조절(chemical control)
(3)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ⅵ. 호흡의 이상
* 참고문헌 *
- 생리학 / 김종규편저 / 정문각
- 인체해부학 / 김덕훈외 / 정문각
- Mosby / 현문사
ㆍ호흡작용 : 공기 중으로부터 산소를 취해서 이것을 혈액에 주고 혈액 중의 탄산가스를
공기 중으로 내보내는 작용
호흡의 첫 번째 단계를 외호흡이라고 하며 ① 외기와 폐포 사이의 공기가 교환되는 환기(Ventilation) ② 폐포공기와 폐모세혈관 사이에서의 O₂와 CO₂의 확산에 의해 교환의 두 과정을 지킨다.
호흡의 두 번째 단계를 내호흡이라 하고, 모세혈관을 통해서 혈액과 조직 사이의 확산에 의해 O2가 CO2가 교환되는 것을 말한다.
ㆍ호흡과정 : external nose → (상부) nasal cavity → pharynx (소화기와 호흡기의 공통통로)→ larynx → (하부) trachea → bronchus → bronchiole → lung (alveolar)
Ⅰ. 호흡기계의 구조 (해부)
ⅰ. 상기도(upper airways)
1. nose (코)
(1) nose 의 구조
nose : 외관상 비근(코끝, root of nase), 비배(코등, dorsum of nose), 비침(코뿌리, apex of nose) 및 양측으로 융기된 비익(콧방울, wing of nose)으로 구분되며, 아래쪽에는 외비공(콧구멍, nares)이 있어 비강(nasal cavity)과 통한다.
nasal cavity : 비강은 사골(ehtmoid bone), 접형골(sphenoid bone), 비골(nasal bone)등에 감싸인 넓은 공간으로서 정중단면에서는 거의 대칭을 이루고 있다. nasal septum에 의해 좌우 nasal cavity 으로 나뉘고, 앞쪽은 외비공(nares)에서 시작하며, 뒤쪽으로 후비공(choanae)으로서 인두로 열란다. 비강상부의 일부는 후신경이 포함된 점막으로 이루어진 후각부분으로서 후각기관으로 작용한다.
좌우의 비강은 비익에 둘러싸인 내강 즉, 비전정(vestibule)과 그 안쪽으로 넓어지는 고유비강(nasal cavity proper)으로 나뉜다. 비전정은 비익에 이어지는 피부로 덮여 있다. 여기에는 짧고 굵은 코털이 있고, 피부에는 피지선과 아포크린 한선(전정선)이 있다. 비전정에서 비강으로 들어가는 경계부분의 바깥쪽은 조금 높은데, 여기를 비한이라 한다. 비전정의 후반부에서는 코털도 땀샘도 없어진다. 비강의 내면은 혈관이 많이 분포해 있는 두꺼운 점막으로 덮여 있다. 비중격의 앞면 아래쪽인 점막 아래에는 코피(Epistaxsis)를 일으키기 쉬운 부위인 키젤바흐부위가 있다.
비강 외측벽에는 내강을 향해 3개의 돌출물이 차양처럼 내밀고 있어 각각 상/중/하 비갑개 (superior/middle/inferior concha)라 하는데 3개 가운데 상비갑개가 제일 작다. 각 갑개 아래의 통로인 상/중/하 비도(superior/middle/inferior meatus)는 총비도(common nasal meatus)에서 비인도(nasopharyngeus meatus)로 연결된다.
paranasal sinus : 부비동은 비강을 형성하고 있는 뼈 속 (maxilla bone, frontal bone, ethmoid bone, sphenoid bone) 내에 공기가 차있는 빈 공간이다.
ㆍfrontal sinus(전두동) : 전두골 중앙부에 있는 한 쌍의 공동으로 그 범위가 다양하다. 중 간비도 상악동구멍 앞쪽에 개구되어 있다.
ㆍethmoidal sinus(사골동) : 사골 내부에 있는 3~18개의 벌집같은 작은 공동이다. 앞ㆍ중 간부분은 중간비도에, 뒷부분은 위비도에 개구한다.
ㆍsphenoidal sinus(접형동) : 접형골체의 터어키안 하방에 한쌍이 있다. 위벽은 엷은 골판 으로 사이에 두고 바로 뇌하수체와 접하고 있으므로 뇌하수체 또는 그 바로 앞의 시신경교차(optic chiasm)와의 관계가 임상적으로 중요시 된다. 개구부는 위비갑개 위쪽 비강천정 가장 뒷부분에 있다.
ㆍmaxillary sinus(상악동) : 상악골몸통 내에 있는 가장 큰 부비동이며 중간비도로 개구한 다. 상악동의 밑면이 개구부
추천자료
인공호흡기 하용하는 환자의 간호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호흡장애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폐렴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호흡
[간호][환자][환자간호][중환자][중환자실]간호의 정의, 간호 메타패러다임, 환자상태의 평가...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간호시 사용되는 용어
하부 호흡기 장애의 수술요법과 간호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성인호흡곤란증후군(ARDS) A+간호사례연구
[고위험모아 간호학 3학년 공통] 중환아 간호단위, 중환아실 간호사 역할, 정서충족 간호중재...
ICU 에서 주로 쓰이는 진단명, 약물, 기계에 관하여 (복막염 (Peritonitis), 호흡 부전증(Res...
ventilator(인공호흡기 간호) {정의와 적응증, 종류, setting, mode, 간호, 생리적 변화와 합...
[노인건강문제관리] 활력징후 이상환자의 간호중재 (혈액, 맥박, 체온, 호흡이상환자의 간호...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 상기도 문제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