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하는 글
-특수 교육의 정의
2.교육 심리를 통한 특수 교육
-다중지능 이론
3. 특수교육의 현 실태
3-1 현 특수 교육의 시책
3-2 특수교육 현황
4. 외국의 사례
5. 개선점
5-1 시책 개선
5-2 통합교육
6. 맺는 말
7. 참고문헌
-특수 교육의 정의
2.교육 심리를 통한 특수 교육
-다중지능 이론
3. 특수교육의 현 실태
3-1 현 특수 교육의 시책
3-2 특수교육 현황
4. 외국의 사례
5. 개선점
5-1 시책 개선
5-2 통합교육
6. 맺는 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생수
교원수
1학습당
학생수
교사1인당학생수
1학급당
교사수
특수학교
국립
3
96
1,025
196
10.68
5.23
2.04
공립
33
714
7,016
1,249
9.83
5.26
1.75
사립
72
1,248
13,528
1,977
10.84
6.84
1.58
합계
108
2,058
21,569
3,442
10.48
6.30
1.66
특수학급
공립
2,732
3,475
27,079
3,475
7.79
7.79
1.00
합 계
2,840
5,533
48,648
6,897
8.79
7.05
1.25
맹, 농 및 양호학교수(일본의 특수학교 증가 현황)
구분(년도)
1950
1960
1970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1988
1993
학교수
161
255
417
577
635
638
837
860
877
931
964
장애 영역 별 통급에 의한 지도를 받고 있는 아동 생도수 변화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언어장애
9,654
11,183
19,488
16,638
19,217
20,461
정서장애
1,337
1,611
1,858
1,934
2,158
2,320
약 시
108
106
132
144
155
152
난 청
1,141
1,137
1,206
1,275
1,389
1,403
기 타
19
31
18
15
9
6
합 계
12,259
14,069
16,700
20,006
22,928
24,342
3) 일본의 특수교육 교과서 개발
특수학교용 교과서는 문부성 저작 교과서(우리나라의 1종 교과서에 해당)로 되어 있고, 현재 모두 24종 161책이 개발되어 있으며, ‘의무교육 제학교 교과용 도서의 무상에 관한 법률’(1962년 3월 31일 공포, 동년 4월 1일 시행) 및 ‘의무교육 제학교의 교과서 도서 무상조치에 관한 법률’(1963년 12월 21일 공포시행)에 근거하여 의무교육 교과서 무상급여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장래를 담당할 아동 학생에 대한 국민전체의 기대에 부응하여 국민의 부담으로 실시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의 특수교육 제학교 교과서 개발 현황
학교종별
종류수(종)
점수(점)
수요책수(책)
맹 학 교
농 학 교
양호학교
16
3
6
146
16
13
11,086
6,009
53,256
합 계
25
175
70,351
2. 일본 맹학교 현황
1) 일본 맹학교의 현황
맹학교 총 71교 그 중 68개교가 국립
유치부 272명, 초등부 639명, 중등부 508명 전공과 2,463명
총 3,882명 (수치 소개 71개교)
2) 일본의 맹학교 직업교육
일본의 맹학교 직업교육은 안마마사지지압사를 양성하는 보건이료과(3년과정)와 별과(2년과정), 그리고 안마마사지지압사, 침사, 구사를 양성하는 전공 이료과(고등부 졸업후 3년과정)의 세 과정이 있다
일본의 시각장애인 진출분야
-일본의 취업 장애인 68,000명 중
안마마사지침구
39.8%
농림어업
12.5%
기능공채굴제조건설노무
8.5%
전문직기술직 직업
7.8%
판매
5.7%
서비스업
4.5%
사무
4.0%
관리직
2.2%
기타 직업
15.2%
5. 개선점
5-1 시책 개선
-특수교육의 개선점
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선정배치 신청시 학부모, 담임교사의 과다한 구비서류를 요구하여 민원 발생 유의
나. 특수교육(급)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학생의 교육성과 최대화 도모
다. 순회교육은 학교 교육제공을 위한 일시적인 조치이므로 통학 지원 등 가능한 지원을 확대하여 특수학교(급)와 통합학급 등에 출석토록 권장
라. 유초중고등학교에서 학교당 학기별 1회 이상 장애이해 교육, 장애 체험 활동 및 장애인 시설 봉사활동을 실시하도록 조치
1. 교육 주체면
1. 학생측면
특수아동의 교육기회확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양적, 질적 차원에서 논의 될 수 있다. 양적 확대란 교육기회균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급 학교 취학을 제고시킨는 것이며, 질적 문제는 교육 결과의 균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불균등한 투입을 필요로 한다. 특수아동의 교육적 조치의 최근 경향은 최소로 제한된 환경의 제공, 적절한 공교육의 보장, 그리고 교육기회균등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특수아동 개인별로 적절한 공교육을 보장하고 교육기회를 균등화하려면, 우선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기관 내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해야 하며, 이러한 터전에서 아동 및 환경적 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아동의 조기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장애인 능력개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장애인의 직업능력 정책연구,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의 종류, 자격제도 등을 개발하고 장애인 직업 교육과정 및 직업 교육 개발보급 등이 필요하다. 정확하고 신중한 특수아동의 심사와 이에 따른 적절한 교육조치롤 통해 더 많은 교육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2. 교사측면
양성제도 유형에 있어 현행의 4년제 대학과정에 의한 기초형을 위주로 하면서 교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양성기관을 5년으로 연장하든가. 이수학점 기준을 현재보다 강화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또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 전공과정을 통해 현직형 양성체제를 활용하는 방안은 시도되고 있다. 또한 대학마다 자체의 양성 능력에 따라 특수교사 양성을 제조정하여 양성대학의 현실적 여건과 특수교사의 국가적 수급 전망 등에 비추어 양성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특수학교 교사자격증을 맹농정신치제지체부자유 등의 4개 영역으로 분화되고 있는데, 장애영역에 따른 특수학교 교사 자격증은 기존의 맹농정신치제지체부자유 외에 앞으로 최소한 정서장애와 언어장애 영역이 새로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 실습 기간의 연장 및 운영의 효율화 도모로 본 실습을 4학년 1학기 때 실시하여 필요한 경우 수시로 개별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양성기관과 실습학교간의 유기적 관계설정이 필요하다.
교직은 평생을 바쳐 일해야 할 전문직이므로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으로서의 현직 재교육이 제도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연수체제의 다양화 및 연수기회의 확대로 교육 공학 및 원격 교육 체제 확립등을 활용하는 연수가 필
교원수
1학습당
학생수
교사1인당학생수
1학급당
교사수
특수학교
국립
3
96
1,025
196
10.68
5.23
2.04
공립
33
714
7,016
1,249
9.83
5.26
1.75
사립
72
1,248
13,528
1,977
10.84
6.84
1.58
합계
108
2,058
21,569
3,442
10.48
6.30
1.66
특수학급
공립
2,732
3,475
27,079
3,475
7.79
7.79
1.00
합 계
2,840
5,533
48,648
6,897
8.79
7.05
1.25
맹, 농 및 양호학교수(일본의 특수학교 증가 현황)
구분(년도)
1950
1960
1970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1988
1993
학교수
161
255
417
577
635
638
837
860
877
931
964
장애 영역 별 통급에 의한 지도를 받고 있는 아동 생도수 변화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언어장애
9,654
11,183
19,488
16,638
19,217
20,461
정서장애
1,337
1,611
1,858
1,934
2,158
2,320
약 시
108
106
132
144
155
152
난 청
1,141
1,137
1,206
1,275
1,389
1,403
기 타
19
31
18
15
9
6
합 계
12,259
14,069
16,700
20,006
22,928
24,342
3) 일본의 특수교육 교과서 개발
특수학교용 교과서는 문부성 저작 교과서(우리나라의 1종 교과서에 해당)로 되어 있고, 현재 모두 24종 161책이 개발되어 있으며, ‘의무교육 제학교 교과용 도서의 무상에 관한 법률’(1962년 3월 31일 공포, 동년 4월 1일 시행) 및 ‘의무교육 제학교의 교과서 도서 무상조치에 관한 법률’(1963년 12월 21일 공포시행)에 근거하여 의무교육 교과서 무상급여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장래를 담당할 아동 학생에 대한 국민전체의 기대에 부응하여 국민의 부담으로 실시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의 특수교육 제학교 교과서 개발 현황
학교종별
종류수(종)
점수(점)
수요책수(책)
맹 학 교
농 학 교
양호학교
16
3
6
146
16
13
11,086
6,009
53,256
합 계
25
175
70,351
2. 일본 맹학교 현황
1) 일본 맹학교의 현황
맹학교 총 71교 그 중 68개교가 국립
유치부 272명, 초등부 639명, 중등부 508명 전공과 2,463명
총 3,882명 (수치 소개 71개교)
2) 일본의 맹학교 직업교육
일본의 맹학교 직업교육은 안마마사지지압사를 양성하는 보건이료과(3년과정)와 별과(2년과정), 그리고 안마마사지지압사, 침사, 구사를 양성하는 전공 이료과(고등부 졸업후 3년과정)의 세 과정이 있다
일본의 시각장애인 진출분야
-일본의 취업 장애인 68,000명 중
안마마사지침구
39.8%
농림어업
12.5%
기능공채굴제조건설노무
8.5%
전문직기술직 직업
7.8%
판매
5.7%
서비스업
4.5%
사무
4.0%
관리직
2.2%
기타 직업
15.2%
5. 개선점
5-1 시책 개선
-특수교육의 개선점
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선정배치 신청시 학부모, 담임교사의 과다한 구비서류를 요구하여 민원 발생 유의
나. 특수교육(급)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학생의 교육성과 최대화 도모
다. 순회교육은 학교 교육제공을 위한 일시적인 조치이므로 통학 지원 등 가능한 지원을 확대하여 특수학교(급)와 통합학급 등에 출석토록 권장
라. 유초중고등학교에서 학교당 학기별 1회 이상 장애이해 교육, 장애 체험 활동 및 장애인 시설 봉사활동을 실시하도록 조치
1. 교육 주체면
1. 학생측면
특수아동의 교육기회확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양적, 질적 차원에서 논의 될 수 있다. 양적 확대란 교육기회균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급 학교 취학을 제고시킨는 것이며, 질적 문제는 교육 결과의 균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불균등한 투입을 필요로 한다. 특수아동의 교육적 조치의 최근 경향은 최소로 제한된 환경의 제공, 적절한 공교육의 보장, 그리고 교육기회균등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특수아동 개인별로 적절한 공교육을 보장하고 교육기회를 균등화하려면, 우선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기관 내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해야 하며, 이러한 터전에서 아동 및 환경적 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아동의 조기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장애인 능력개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장애인의 직업능력 정책연구,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의 종류, 자격제도 등을 개발하고 장애인 직업 교육과정 및 직업 교육 개발보급 등이 필요하다. 정확하고 신중한 특수아동의 심사와 이에 따른 적절한 교육조치롤 통해 더 많은 교육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2. 교사측면
양성제도 유형에 있어 현행의 4년제 대학과정에 의한 기초형을 위주로 하면서 교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양성기관을 5년으로 연장하든가. 이수학점 기준을 현재보다 강화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또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 전공과정을 통해 현직형 양성체제를 활용하는 방안은 시도되고 있다. 또한 대학마다 자체의 양성 능력에 따라 특수교사 양성을 제조정하여 양성대학의 현실적 여건과 특수교사의 국가적 수급 전망 등에 비추어 양성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특수학교 교사자격증을 맹농정신치제지체부자유 등의 4개 영역으로 분화되고 있는데, 장애영역에 따른 특수학교 교사 자격증은 기존의 맹농정신치제지체부자유 외에 앞으로 최소한 정서장애와 언어장애 영역이 새로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 실습 기간의 연장 및 운영의 효율화 도모로 본 실습을 4학년 1학기 때 실시하여 필요한 경우 수시로 개별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양성기관과 실습학교간의 유기적 관계설정이 필요하다.
교직은 평생을 바쳐 일해야 할 전문직이므로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으로서의 현직 재교육이 제도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연수체제의 다양화 및 연수기회의 확대로 교육 공학 및 원격 교육 체제 확립등을 활용하는 연수가 필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학생 특수교육에 대한 레포트
[특수교육]장애아동(특수아동)의 분류, 장애아동(특수아동)의 특성과 장애아동(특수아동)의 ...
특수학교(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교육이론과 편성운영, 특수학교(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교...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개념, 연혁, 형태, 특수교육(장애인교육)과 언어교육, 특수교육(장애...
[특수교육]특수아동(장애아동)의 교육환경 결정과 교육환경 조성기준, 특수학교(장애인학교)...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보화, 특수교육(장애인교육)과 정보화교육, 특수교육(장애인교육)...
[특수교육]특수아동(장애아동)의 이해,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유형,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개념과 목적,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대상과 관점, 특수교육(장애인...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개념,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특성과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역사,...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의의,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목표,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제도, ...
전환교육(특수교육, 직업)의 의의와 선행연구, 전환교육(특수교육, 직업)의 동향과 운영현황,...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 개념과 의의,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 실제, 전환교육(장애, 특...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권리,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기회와 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관련 ...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유아특수교육의 개념, 필요성,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