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및 실시사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및 실시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사회복지관 운영지침의 변화
Ⅰ. 사회복지관 운영
1. 사회복지관의 정의
2. 사회복지관의 목표
3. 사회복지관의 연혁
4.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원칙

Ⅱ. 사회복지관 사업
-1. 가족복지사업
-2. 지역사회보호사업
-3. 지역사회조직사업
-4. 교육․문화사업
- 5. 자활사업
▣ 변경된 2004년 운영 지침의 쟁점평가

Ⅲ. 사회복지관 세부 운영사항
1. 시설 운영개선 시행
2. 종사자 근로환경 개선

본문내용

종합지역복지 서비스기관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론
▣ 사회복지관 운영지침의 변화
2003년도까지 사회복지관에서는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내용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되 보건복지부에서 예시하는 분야별 단위사업중(가정복지,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지역복지 등의 6개 사업분야의 31개 단위사업 보건복지부, 사회복지관 설치운영 규정, 1998, 별표1 참조
)에서 해당 사회복지관의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10개 이상 선정하여 수행하여야 하며 운영규정에서 예시된 사업중에서 분야별로 각 1개를 포함하여 8개 이상의 단위사업을 반드시 실시해야 했다. 보건복지부, 사회복지관 설치운영규정-제2장 제6조-, 1998
이렇게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백화점식의 운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며 지역적 특성과 지역 주민의 욕구에 부합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지적받아왔다. 그리하여 2004년도부터는 사회복지관의 사업을 종래의 대상 중심의 단일서비스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업지침이 제시되었다
2004년 현재 시도별 사회복지관 현황 (단위 : 개소)
구분
시도별
사회복지관
총계
유 형 별
운 영 주 체 별
소 재 지 별
가형*
나형**
다형***
사회복지법인
비영리법인
학교
법인
자치
단체
미정




360
116
188
56
260
64
17
19
130
16
214
서울
92
35
51
6
65
16
11
92
부산
47
23
17
7
37
8
2
1
46
대구
25
13
11
1
23
2
1
24
* 가형 : 600평이상, ** 나형 : 300~600평 미만, *** 다형 : 300평미만
Ⅰ. 사회복지관 운영
1. 사회복지관의 정의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 내에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사회복지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시설이다. :
2. 사회복지관의 목표
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는 모든 지역사회주민을 대상으로 보호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자립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훈련 등 그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족기능 강화 및 주민상호간 연대감 조성을 통한 각종 지역사회문제를 예방치료하는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전달기구로서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3. 사회복지관의 연혁
1906년 : 원산 인보관운동에서 사회복지관사업 태동
1921년 : 서울에 최초로 태화 여자관 설립
1926년 : 원산에 보혜여자관 설립
1930년 : 서울에 인보관 설치
1975년 : 국제사회복지관연합회 회원국 가입
1976년 : 한국사회복지관연합회 설립(22개 사회복지관)
1983년 :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관 운영 국고보조
1988년 : 사회복지관 운영국고보조사업지침 수립
1989년 : 주택건설촉진법 등에 의해 저소득층 영구임대아파트
건립시 일정규모의 사회복지관 건립을 의무화
1989년 :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설립
2001년 : 전국 350개소 설치 운영
2003년 : 전국 360개소 설치 운영
4.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원칙
가. 지역성의 원칙 : 참여
나. 전문성의 원칙 :
다. 책임성의 원칙 : 평가 csq,
라. 자율성의 원칙 - 지역성
마. 통합성의 원칙
바. 자원활용의 원칙
사. 중립성의 원칙
아. 투명성의 원칙
Ⅱ. 사회복지관 사업
○ 사회복지관의 제반 사업은 저소득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에 대한 실질적인 사회복지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 사회복지관 사업의 대상
- 사회복지관 사업의 대상은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는 모든 지역주민으로 한다.
- 다만, 다음 각호의 주민을 우선적인 사업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 사회복지관 사업의 내용
-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내용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되, 아래 분야별 단위사업 중에서 해당 사회복지관의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수행한다.
- 다만, 위의 우선사업대상자들을 위해 우선사업으로 지정된 아래 프로그램 중에서 분야별로 각 1개 이상을 포함한 8개 이상을 선정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역적 특성을 감안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사업분야 및 단위사업을 조정하거나 별도의 사업을 개발추진할 수 있다.
2003년도 보건복지부, 2003년도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안내, 2003, pp. 5-12
와 2004년도 보건복지부, 2004년도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안내, 2004, p.6
사회복지관 사업의 구성 비교
분 야
단 위 사 업
분 야
단 위 사 업
가정
복지사업
- 가정문제 종합상담
- 직업부업 기능훈련
- 취업안내
- 보건의료서비스
- 선의봉사실 운영
- 생활안정자금 지원
- 주민 교양교육 및 취미교실 운영
가족
복지사업
- 가족관계증진
- 가족기능 보완
- 가정문제 해결치료
- 부양가족지원
아동
복지사업
- 아동상담 및 사회교육
- 어린이 공부방
- 어린이 기능교실
- 부모상담 및 교육
- 유아보육
지역사회
보호사업
- 급식서비스
- 보건의료서비스
- 경제적 지원
- 일상생활지원
- 정서서비스
- 일시보호서비스
청소년
복지사업
- 청소년 상담 및 사회교육
- 청소년 독서실
- 근로청소년 사회교육
- 청소년 기능교실
지역사회
조직사업
- 주민조직화 및 교육
- 복지네트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9.1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