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빈도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합병증
8. 예후
Ⅲ. 본론
1. 간호사정
2. 활력징후
3. 진단검사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Ⅳ. 결론
1. 실습을 마치며.
2.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빈도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합병증
8. 예후
Ⅲ. 본론
1. 간호사정
2. 활력징후
3. 진단검사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Ⅳ. 결론
1. 실습을 마치며.
2.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B.U.N
5~20 mg/dl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 위해 요소싸이클을 통해 배출 되는 것으로서, 섭취단백량, 요소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이다.
Creatine
0.5~1.5mg/dl
간, 신장에서 형성되어 근육에 분배되어 고에너지 합성물로 변화
Albumine
3.0~4.5 g/dl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기능을 갖는다.
▶전해질 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Na
Random:135~145mEq/L
24hr:40~220mEq/L
혈액농축, 신염, 유문부 협착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Random:3.5~5.5mEq/L
24hr:25~120mEq/L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당뇨성 산증, 설사, 구토
Cl
Random:98~110mEq/L
24hr:110~250mEq/L
신염, 요관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협착, 열성상태
4. 대상자의 약물치료현황
[S/D 1:4]
●효능/ 효과
탈수증, 수분전해질 보급, 수술전후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
●용법/ 용량
1회 500~1000ml를 점적정주, 투여속도 성인 300~500ml/hr(80~130적/min)
소아 50~100ml/hr, 신생아 미숙아 급속주입(100ml/hr이상)금지
●부작용
1. 대량 급속투여하면 뇌부종, 폐수종, 말초의 부종, 아시도시스, 수중독에 나타날 수 있다.
2. 신생아, 미숙아에 급속 투여(시간당 100ml이상)하면 수중독이 나타날 수 있다.
3. 주입정맥에 혈전증이 나타날 수 있다.
[H/S]
●효능/ 효과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아시도시스의 보정
●용법/ 용량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주, 투여속도는 300~500ml/hr (약80~130drops/min)
●금기
젖산혈증 환자
●부작용
대량 급속투여시 뇌부종, 폐부종, 말초의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Tylenol]
●효능/ 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동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관절통, 류마티야 동통
●용법/ 용량
다음 1회 용량을 1일 3~4회, 11~14세: 200~400mg(6.3~12.5ml),
7~10세:150~300mg(4.7~9.4ml), 3~6세: 100~200mg(3.1~6.3ml),
1~2세: 60~120mg(1.9~3.8ml), 3개월~1세 미만: 30~60mg(0.9~1.9ml)
●금기
본제 과민증자, 소화성 궤양, 중증 혈액 이상, 중증 간신장애, 중증 심기능 부전, 아스피린 천식 또는 기와력자.
●부작용
1. 쇽: 쇽 및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전신조홍, 혈관부종,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여, 이사잉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본제는 천식 발작을 유발 할 수 있다.
2. 혈액: 드물게 혈소판 감소, 과립구 감소, 용혈성 빈혈, 메트헤모글로빈혈증, 혈소판 기능 저하(출혈시간 연장)등이 나타날 수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과민증: 과민증상(안면부종, 호흡곤란, 발한, 저혈압, 쇽)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augmentin]
●효능/ 효과
급만성기관지염, 대엽성 및 기관지 폐렴, 농흉, 폐농양, 편도염, 부비동염, 중이염,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패형성 유산, 산욕기 패혈증, 골반감염, 연성하감 ,임질, 종기 및 농양, 연조직염, 상처감염, 복막염, 골수염, 복수내 패혈증, 패혈증, 치과감염
●용법/ 용량
재발성 편도염 등 상기도 감염, 하기도 감염, 요로감염, 피부 연조직 감염 등 경중등도 감염: 20mg/5mg/kg/day, 3회분복
●금기
베타락탐계 과민증 기왕력자, 동반감염 바이러스질환 특히 전염담핵구증 및 림프성백혈병, 페니실린에 의한 황달 및 간기능 장애 기왕력자, 페닐케톤뇨증
●부작용
1. 설사, 위막성 대자염, 소화불량, 구역, 구토, 구내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때때로 AST, ALT, AL-P의 상승, 드물게 간염, 울체성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3. 부부발진 (두드러기 및 홍반성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4. 다른 β-lactam계 항생제와 같이 드물게 가역성 백혈구 감소증, 가역성 혈소판 감소증 및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호산구 증가증, 백혈병, 무과립구증이 보고되고 있다.
[Aspirin]
●효능/ 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두통, 치통, 월경통, 근육통,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열, 섬유조직증식증, 수술후 동통, 인후통, 염좌, 좌골신경통.
●용법/ 용량
성인 : 본제로서 1회 0.5~1.5g(1~3정), 1일 2~3회 경구투여한다.
연령, 질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금기
1. 본제 또는 다른 살리실산제제에 관민증의 기왕력자
2. 소화성 궤양 환자
3. 아스피린 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에 의한 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그 기왕력자
4. 혈우병 환자
5. 심한 간장애 환자
6. 심한 신기능 환자
7.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부작용
피로감, 불면증, 신경과민, 정신장해, 착란, 현기증, 두통, 기면, 뇌부종, 고체온증, 혼수
저혈압, 빈맥, 부정맥, 부종-피부발진, 혈관부종, 두드러기-산성증, 고칼륨혈증, 탈수, 저혈당증(어린이), 과혈당증, 고나트륨혈증-오심, 그토, 소화불량, 상복구 불쾌감, 가슴앓이, 위통, 위장관 궤양(6~31%), 미란성 위염, 위장관 홍반, 식도궤양-빈혈, prothrombin time연장, 혈액응고 장애,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출혈, 철결핍성빈혈-간독성, transaminase증가, 간염(가역적)-허약감, 관골구(비구)파괴-난청, 이명-간질성 신장염, 세포괴사, 단백뇨, 신부전, BUN증가, serum creatinine증가-천식,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후두부조으 과호흡, 호흡성 알
B.U.N
5~20 mg/dl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 위해 요소싸이클을 통해 배출 되는 것으로서, 섭취단백량, 요소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이다.
Creatine
0.5~1.5mg/dl
간, 신장에서 형성되어 근육에 분배되어 고에너지 합성물로 변화
Albumine
3.0~4.5 g/dl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기능을 갖는다.
▶전해질 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Na
Random:135~145mEq/L
24hr:40~220mEq/L
혈액농축, 신염, 유문부 협착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Random:3.5~5.5mEq/L
24hr:25~120mEq/L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당뇨성 산증, 설사, 구토
Cl
Random:98~110mEq/L
24hr:110~250mEq/L
신염, 요관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협착, 열성상태
4. 대상자의 약물치료현황
[S/D 1:4]
●효능/ 효과
탈수증, 수분전해질 보급, 수술전후의 수분 및 전해질 보급
●용법/ 용량
1회 500~1000ml를 점적정주, 투여속도 성인 300~500ml/hr(80~130적/min)
소아 50~100ml/hr, 신생아 미숙아 급속주입(100ml/hr이상)금지
●부작용
1. 대량 급속투여하면 뇌부종, 폐수종, 말초의 부종, 아시도시스, 수중독에 나타날 수 있다.
2. 신생아, 미숙아에 급속 투여(시간당 100ml이상)하면 수중독이 나타날 수 있다.
3. 주입정맥에 혈전증이 나타날 수 있다.
[H/S]
●효능/ 효과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아시도시스의 보정
●용법/ 용량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 정주, 투여속도는 300~500ml/hr (약80~130drops/min)
●금기
젖산혈증 환자
●부작용
대량 급속투여시 뇌부종, 폐부종, 말초의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Tylenol]
●효능/ 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동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관절통, 류마티야 동통
●용법/ 용량
다음 1회 용량을 1일 3~4회, 11~14세: 200~400mg(6.3~12.5ml),
7~10세:150~300mg(4.7~9.4ml), 3~6세: 100~200mg(3.1~6.3ml),
1~2세: 60~120mg(1.9~3.8ml), 3개월~1세 미만: 30~60mg(0.9~1.9ml)
●금기
본제 과민증자, 소화성 궤양, 중증 혈액 이상, 중증 간신장애, 중증 심기능 부전, 아스피린 천식 또는 기와력자.
●부작용
1. 쇽: 쇽 및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전신조홍, 혈관부종,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여, 이사잉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본제는 천식 발작을 유발 할 수 있다.
2. 혈액: 드물게 혈소판 감소, 과립구 감소, 용혈성 빈혈, 메트헤모글로빈혈증, 혈소판 기능 저하(출혈시간 연장)등이 나타날 수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과민증: 과민증상(안면부종, 호흡곤란, 발한, 저혈압, 쇽)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augmentin]
●효능/ 효과
급만성기관지염, 대엽성 및 기관지 폐렴, 농흉, 폐농양, 편도염, 부비동염, 중이염,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패형성 유산, 산욕기 패혈증, 골반감염, 연성하감 ,임질, 종기 및 농양, 연조직염, 상처감염, 복막염, 골수염, 복수내 패혈증, 패혈증, 치과감염
●용법/ 용량
재발성 편도염 등 상기도 감염, 하기도 감염, 요로감염, 피부 연조직 감염 등 경중등도 감염: 20mg/5mg/kg/day, 3회분복
●금기
베타락탐계 과민증 기왕력자, 동반감염 바이러스질환 특히 전염담핵구증 및 림프성백혈병, 페니실린에 의한 황달 및 간기능 장애 기왕력자, 페닐케톤뇨증
●부작용
1. 설사, 위막성 대자염, 소화불량, 구역, 구토, 구내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때때로 AST, ALT, AL-P의 상승, 드물게 간염, 울체성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3. 부부발진 (두드러기 및 홍반성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4. 다른 β-lactam계 항생제와 같이 드물게 가역성 백혈구 감소증, 가역성 혈소판 감소증 및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호산구 증가증, 백혈병, 무과립구증이 보고되고 있다.
[Aspirin]
●효능/ 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두통, 치통, 월경통, 근육통,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열, 섬유조직증식증, 수술후 동통, 인후통, 염좌, 좌골신경통.
●용법/ 용량
성인 : 본제로서 1회 0.5~1.5g(1~3정), 1일 2~3회 경구투여한다.
연령, 질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금기
1. 본제 또는 다른 살리실산제제에 관민증의 기왕력자
2. 소화성 궤양 환자
3. 아스피린 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에 의한 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그 기왕력자
4. 혈우병 환자
5. 심한 간장애 환자
6. 심한 신기능 환자
7.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부작용
피로감, 불면증, 신경과민, 정신장해, 착란, 현기증, 두통, 기면, 뇌부종, 고체온증, 혼수
저혈압, 빈맥, 부정맥, 부종-피부발진, 혈관부종, 두드러기-산성증, 고칼륨혈증, 탈수, 저혈당증(어린이), 과혈당증, 고나트륨혈증-오심, 그토, 소화불량, 상복구 불쾌감, 가슴앓이, 위통, 위장관 궤양(6~31%), 미란성 위염, 위장관 홍반, 식도궤양-빈혈, prothrombin time연장, 혈액응고 장애,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출혈, 철결핍성빈혈-간독성, transaminase증가, 간염(가역적)-허약감, 관골구(비구)파괴-난청, 이명-간질성 신장염, 세포괴사, 단백뇨, 신부전, BUN증가, serum creatinine증가-천식,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후두부조으 과호흡, 호흡성 알
추천자료
지주막하출혈에 대한 사례연구
SAH(지주막하출혈)
발에 합병증이 있으신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
[자연과학] 당뇨병 CASE
당뇨병 케이스스터디(간호학과 내과병동실습 )
지주막하출혈 케이스(중환자실)
지주막하출혈 SAH CASE 입니다.
'신부전증'에 관하여
[폐렴][폐렴의 분류][폐렴의 병태생리][폐렴의 진단][폐렴의 치료][폐렴의 예방법]폐렴의 분...
MED(내과)-DiabetesMellitus(당뇨병)
Liver cirrhosis(간경화) Case Study
지주막하출혈 문헌고찰
지주막하출혈 케이스스터디
type 2 DM case study 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