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DHL의 기업분석과 SWOT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 DHL의 기업분석과 SWOT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해당 기업에 대한 일반적 이해 비교분석
1. 경영 이념
2. 주요 연혁
3. 미션
4. 비젼
5. 주요사업 및 제품

Ⅱ. 해당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 비교분석
1. 주주
2. 종업원
3. 고객
4. 납품업자
5. 경쟁자
6. 환경
7. 지역사회

Ⅲ. 외부환경분석 : 외부 환경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기회와 위협요소 도출
1. 거시적 외부 환경 분석
2. 산업구조분석
3. 기회요소와 위협요소 도출

Ⅳ. 내부여건분석 : 내부여건의 분석을 통하여 강점과 약점 도출
1. 내부여건분석
2. 강점과 약점 도출


Ⅴ. SWOT분석 및 전략적 과제 도출
1. SWOT 분석
2. 전략적 방향
3. 전략적 과제

Ⅵ. 분석의 시사점 종합 : 분석의 시사점 종합

Ⅶ. 프로젝트 참고 자료

본문내용

직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직원들 개개의 생각을 중시하는 만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DHL은 통신비 및 전산활동에 필요한 경비 모두를 지급한다. 또한 직원들의 개성을 중요시하려면 그만큼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일도 중요하다. 이에 DHL은 다양한 교육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교육비에 있어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 있으며 유통사업이니 만큼 어학능력향상을 위해 부단히 애쓰고 있다.
6) DHL의 물류정보시스템
DHL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는 3개의 Infomix사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싱가포르, 버밍엄, 칼리프, 브리쉘의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One control IT 시스템을 구축하여 프로그램 개발 등의 활동을 하고 있는 DHL의 서비스 네트워크는 단일체제로 운영하면서, 일상업무와 조직구성은 각 현지 국가 및 지역의 환경에 따라 독자적으로 관리, 집행하고 있다. 이런 체제하에서 DHL이 현재 개발하여 사용 및 보급하고 있는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살펴보자.
(1) EasyShip
DHL을 통해 발송한 해외 발송물에 대한 정보를 고객이 직접 편리하고 손쉽게 종합적 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첨단 발송물 정보관리 시스템으로써 발송물의 위치추적 및 배달결과까지도 직접 확인이 가능한 최첨단 정보시스템이다.
EasyShip은 DHL 발송업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항공운송장, 상업운송장, 운송라벨의 자동 인쇄기능, 발송물에 대한 다양한 리포트 작성, 발송물 소재파악 및 배달결과 확인, 수취인 목록 및 특별 코드 부여의 기능을 제공한다.
(2) EasyCall
국내 기술로 개발되 EasyCall은 액정화면으로 구성된 정교한 단말기로서 DHL로 직접 전화하지 않고도 EasyCall을 통해 발송물을 조회, 발송 예약 및 DHL 정보안내를 받을 수 있다. 간단한 전화버튼 작동으로 DHL 발송 예약은 물론, 항공운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소형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통해 DHL 발송물의 운송과정 및 배달결과까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3) GlobalTrack
고객의 컴퓨터에 DHL이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 고객이 직접 DHL 발송물에 대한 배달결과를 24시간 조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한 장의 디스켓으로 된 윈도우용 소프트웨어이다.
(4) e-TRACK
1999년 1월부터 DHL에서는 전세계 어디서나 시간에 관계없이 가장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e-mail 발송물 추적/조회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 추가 시행하게 되었다. e-mail 사용이 가능한 어떤 고객이라도 DHL의 이 서비스를 이용해 해당 발송물의 DHL 항공운송장 번호만 입력하면 단 몇 초 내에 정확한 발송물의 추적/조회 결과를 e-mail로 직접 확인할 수가 있다. e-TRACK 서비스는 부대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으며, 자신의 메일 주소란에 track@dhl.com을 입력하고 제목 또는 메시지 작성란에 발송물의 DHL 항공운송장번호만 입력하면 DHL의 자체 전용 전산망(DHLnet)과 즉시 연결되어 단 몇 초안에 자동으로 발송물의 취급과정, 배달결과 등 모든 운송과정별 결과를 무료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한번 e-mail을 보낼 때 항공운송장 번호는 30개까지 확인 가능하며 문의한 화물 추적조회 결과 중 98%가 5초 이내에 자동 피드백 된다. 또한 추적/조회 결과는 자신뿐만 아니라 동시에 발송물 수취인에게도 전송되며 그 결과를 e-mail에 저장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e-mail을 소지하고 있으나 웹 브라우저에 접근할 수 없어 인터넷 사용이 불편한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주기위해 개발되었으며 고객이 DHL에 대하여 발송물 추적/조회 의뢰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첨단시스템이다.
2. 강점과 약점 도출
1) 강점
(1) 가장 높은 브랜드 인지도
(2) 가장 경쟁력 있는 인프라 구축
(3) 높은 종업원 만족도
(4)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
2) 약점
(1) 경쟁사에 비해 높은 운임료
(2) 북미 지역에서의 저조한 실적
(3) e-business 시장의 진출미흡
Ⅴ. SWOT분석 및 전략적 과제 도출
1. SWOT분석
2. 전략적 방향
DHL은 물류허브지역의 선점을 통해 타 경쟁사에 비해 가격이나 인지도면에서 앞서야 할 것 이다. 이에 앞서 아시아 지역의 불안한 환율에 대비한 환율헷지 전략으로 기업의 안정성을 높인다. DHL의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는 점유율을 높이는데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다. 또 아시아지역의 파트너와의 아웃소싱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허브를 이용한 중심축 물류 서비스를 구축한다면 미래 핵심 물류지역으로 떠오르는 아시아에서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지역의 점유율을 확대 하기 위한 기업의 핵심경쟁력 발휘. 핵심경쟁력은 다음과 같이 \'SHIFT\'로 요약된다.
- Service : 고급 물류 서비스를 제공
· 정보망을 활용한 수송의 정확성 제고, 화물 무료 장치기간 제공, 자동화 장비를 활용한 높은 하역 생산성 등.
- High value : 고부가가치 물류를 지향
· 물류와 연관된 부가적 산업 활동을 육성하여 부가가치 창출.
- Infra : 우수한 항만·공항 시설 및 배후 물류시설 완비
· 물류관련 시설을 한 곳에 집적하여 시너지 효과를 도모.
- Free trade zone : 자유무역지대를 적극 활용
· 주요 물류 거점을 자유무역지대화하여 기본적인 물류 기능 이외에도 금융·보험·법률 등 의 부수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
- Third party logistics : 전문 물류기업과의 제휴
· 파트너와의 제휴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개발.
기업의 투자환경 및 인프라·업계구조·해외물류체계 등을 개선하여 SHIFT 경쟁력을 갗추고, 물류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한 물류클러스터의 중심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3. 전략적 과제
DHL이 아시아지역의 허브를 선점하고 물류크러스터의 중심에 있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물류 전문 인력의 양성
-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물류클러스터 진입
- 글로벌 스탠드에 입각한 경영
- 노동의 유연성 확보
- 항만·공항등의 물류단지 확충 및 선점
- 최종단계에서

키워드

DHL,   fedex,   디에이치엘,   특송회사,   물류회사,   택배,   ups,   페덱스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7.10.2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