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체계 개편의 배경, 추진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시 교통체계 개편의 배경, 추진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정책결정 ※
1. 서울시 교통정책의 의의
2. 서울시 교통체계 개편에 대한 배경
3. 서울시 교통정책의 구성요소
(1) 정책 목표
(2) 정책수단
(3) 정책대상집단 및 정책대상자
4. 서울시 교통정책의 분류
※ 정책 집행 ※
1. 정책 체계도
2. 서울시 교통정책 추진 현황
(1) 버스노선변화
(2) 버스전용차로 확대(중앙버스전용차로)
(3) 과학적 운행관리
(4) 버스의 고급화
(5) 편리한 환승시설
(6) 운영체제 개편
(7) 합리적인 요금체계
※ 정책평가 ※
1. 서울시 교통체계 개편에 대한 문제점
- 기사인용 -
- 설문조사 -
2. 개선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운영
29. 지하철 정기권 확대 시행
1-7 버스관리 시스템 재구축
30. 버스운영체계 개선
31. 버스업체 재정지원
32. 버스 운행성과 평가체계 구축
33. 버스 경영성과 평가시스템 구축
34. 버스업체개편에 따른 상설점검반 편성운영
35. 운수종사자 자질향상 교육
36. 버스근로자 복지향상
1-8 홍보 및 성과관리
37. 대중교통체계개편 성과평가 및 국제홍보
38. 대중교통체계개편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39. 체계적인 버스노선 안내홈페이지 운영
전 략 목 표
성 과 목 표
주 요 사 업
2. 합리적인 교통수요 관리로 도시 경쟁력 강화
2-1 교통수요 관리강화를 통한 승용차 통행량 저감
40. 기업체 교통수요관리 활성화 추진
41. 혼잡통행료 징수 확대 검토
3. 택시 경쟁력 강화로 시민 이용편의 증대
3-1 제도 및 운영 개선을 통한 택시 서비스 수준 향상
42. 교통문화교육원 운영 합리화
43. 택시 요금체계 개선
44. 콜서비스 기반조성과 이용확대
45. 택시업체 서비스 평가 추진
4. 교통소통 원활화 및 교통안전 확보와 녹색교통 강화
4-1 교통시설 확충 및 개선으로 통행 속도 향상과 교통사고 최소화
46.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 설치
47. 불법주정차 무인단속시스템 설치
48. 교통상황실 운영
49. 민간교통정보 구매 및 활용
50. 버스전용차로 무인단속카메라 구축
51. 교통통합전산시스템 구축 추진
52. 불법주정차 단속
53. 상습교통정체지점 개선사업
54. 도로부속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55. 도로점용공사장 교통관리
56.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57. 어린이 보호구역 정비공사
58. 자동차정비업 관리강화
59. 무단방치차량 등 불법차량 정비
전 략 목 표
성 과 목 표
주 요 사 업
4-2 사람중심의 교통환경 개선
60. 자전거이용시설 정비사업
61. 보행자 안내표지 정비
5. 주차장 건설 및 지원을 통한 주거와 보행 환경개선
5-1 다양한 방식의 사업추진을 통한 주택가 주차면수 증대
62. Green Parking 2006
63. 내집주차장 갖기운동 적극 추진
64. 주택가 공동주차장 건설
65. 공공용지활용 주차장 건설
66. 공영주차장 입체화사업
67. 기존 주차시설 관리강화
68. 시영주차장 무인화시스템 시범 구축
6. 물류시스템 선진화로 기업 경쟁력 강화
6-1 도시물류체계 개선을 통한 물류비용저감
69. 물류정보시스템 유지관리
70. 화물자동차 통행관리
2. 서울시 교통정책 추진 현황
(1) 버스노선변화
1) 추진방향
승용차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도로 정체와 후진적인 버스 경영 구조의 문제로 인하여 시만의 발인 버스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이에 노선체계 개편을 통해 버스의 간선기능 회복과 버스의 접근성, 신속성, 효율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서울의 가장 편리하고 신속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재도약한다.
2) 추진내용
① 새로운 버스노선 - 간선버스(파랑): 시외곽, 도심, 부도심의 주요 축 연결
지선버스(초록): 버스와 지하철간 환승 및 교통권 역내 연계
광역버스(빨강): 수도권과 서울의 도심, 부도심 연결
순환버스(노랑): 도심, 부도심에서 지선버스 역할
② 노선번호 개편 - 간선: 3자리번호→출발지권역+도착지권역+1자리 일련번호
지선: 4자리번호→출발지권역+도착지권역+2자리 일련번호
광역: 4자리번호→9+경기도 출발권역+2자리 일련번호
순환: 2자리번호→권역번호+일련번호
③ 유형별노선설계 - 간선: 지역간 중, 장거리 통행수요를 처리하는 버스노선으로 신속한 이동성과 정시성 및 서비스향상을 목적으로 공공관리되는 노선으로 서울전역을 체계적으로 연계함
지선: 기존노선을 최대한 수용하여 간선버스, 지하철 연계 및 지역내 통행 편의를 제고하고 기존 노선의 서비스 취약구간 지선을 확충
3) 기대효과
① 노선의 직선화로 버스간 중복도 감소 : 버스 운행 시간 단축
② 버스이용자 13.0% 증가 : 일 597만 통행 → 675만 통행(77만 증가)
③ 버스속도 20% 증가 : 평균 18km/h → 21.6km/h
④ 버스운행비용 절감 : 총 운행거리감축 - 261만km →177만 km(32%감소)
운행 경비 절감액 - 연간 616억원
(2) 버스전용차로 확대(중앙버스전용차로)
1) 추진방향
기존 정류소는 가로 시설물로 버스 식별이 곤란하고, 대기공간이 부족하여 대기승객과 보행자, 자전거와의 마찰로 사고 위험이 크다. 안정성을 확보, 이용편의성 향상, 버스통행 속도 향상을 통해 버스 승객만을 위한 분리된 대기공간과 완전 독립된 버스 전용차로 정확하고 빠른 운행이 가능하다.
2) 추진내용
시외곽 주요도시와 도심 및 부도심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고밀도 개발지를 경유하는 주요 간선도로, 지하철 서비스가 열악하고 버스 이용수요가 많은 도로, 편도 3차로 이상 확보가 가능한 도로가 대상도로로 선정되며, 일반 차량 진입의 제한을 위해 실선 및 표지병 설치, 정류장에 버스 정차 구획표시 설치로 승객 안전확보, 유색포장으로 일반차로와의 구분을 명확히 한다.
3) 기대효과
① 버스가 일반차량과 분리되어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
② 정체영향을 적게 받아 정확한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
③ 대기 및 승하차 공간의 별도 제공으로 안전함
④ 정해진 버스 정차 구획선에서 승하차하므로 버스 이용 편리
(3) 과학적 운행관리
1) 추진방향
인공위성을 버스의 실시간 운행정보를 파악하여 버스의 정확한 배차간격 및 정시성을 개선한 실시간 버스 운행정보 시스템(Bus Management System)으로 시민에게는 버스노선 정보, 도착 예정시간 등을 제공하고 운전자에게는 운행간격, 진행상황, 도로상황 등을 제공한다.
2) 추진내용
① 1단계(2004년): 버스종합사령실구축, 확대구축(간선,지선,순환,광역)및 범위확대
② 2단계(2005년): 버스정보시스템확대, 수도권 버스운행관리 통합/연계
③ 3단계(2006년): 비즈니스모델 발굴통한 부가가치증대, 정보안내서비스 확대구축
3) 기대효과
버스이용만족도 향상, 버스운송사업 수지개선, 정시운행 서비스 제공, 대중교통의 활성화 실현, 버스안전 운행관리 등으로 “버스 경쟁력 향상”
(4) 버스의 고급화
1) 추진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11.0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