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상과 우열이라고 하는 동일자의 폭력에 대한 비판의 틀을 제공하였지만,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비판의 틀을 모든 영역에 적용하려 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사조는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그 파생의 결과로서 지향해야 할 목표조차도 진리의 해체라는 이름으로 모든 지식과 지향점을 동등한 위치에서 사고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지향하는 지식에 대한 엄격성의 해체는 지식과 정보의 민주화를 앞당길 것이라 주장하지만, 이러한 엄격성의 해체는 학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었고, 방향성을 잃고 파편화된 지식들이 어떠한 위계질서의 구속도 받지 않게 만들었다. 이렇게 탈 학문화된 지식들이 지식의 민주화를 지향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포스트-모던의 독단은 지나친 일반론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은 많은 의미 있는 것들을 제공한다. 물론 데카르트의 근대적 형이상학은 매우 근대적인,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굉장히 불합리한 것이다. 그러나 데카라트가 제시한 학문으로서의 방법론은 현대의 학문적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그의 방법론은 오늘날 우리의 학문적 방법론과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의미에서 데카르트의 방법에 대한 규칙들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이 지향하는 지식에 대한 엄격성의 해체는 지식과 정보의 민주화를 앞당길 것이라 주장하지만, 이러한 엄격성의 해체는 학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었고, 방향성을 잃고 파편화된 지식들이 어떠한 위계질서의 구속도 받지 않게 만들었다. 이렇게 탈 학문화된 지식들이 지식의 민주화를 지향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포스트-모던의 독단은 지나친 일반론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은 많은 의미 있는 것들을 제공한다. 물론 데카르트의 근대적 형이상학은 매우 근대적인,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굉장히 불합리한 것이다. 그러나 데카라트가 제시한 학문으로서의 방법론은 현대의 학문적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그의 방법론은 오늘날 우리의 학문적 방법론과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의미에서 데카르트의 방법에 대한 규칙들을 이해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