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중국 음식 문화 비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일본 중국 음식 문화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국
1 ) 한국의 문화 특징
2) 음식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3) 일반적인 식사 예절
4) 한국의 대표 음식 몇 가지
2. 일본
1 ) 일본의 문화 특징
2) 음식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3) 일본의 일반적인 식사예절
4)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
3. 중국
1 ) 중국의 문화 특징
2) 음식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3) 중국의 식사예절
4. 중국의 8대 요리
4. 한․일․중 음식문화
1 ) 공통점 및 차이점
2) 젓가락 문화 비교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및 인터넷 주소

본문내용

1회용 나무젓가락을 내놓는 것이 보통이다. 1회용이므로 청결할 뿐만 아니라 설거지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식사 중에 젓가락을 잠시 내려놓을 경우 젓가락 받침대에 젓가락 아래쪽 부분을 올려놓는다. 젓가락을 놓는 방법도 한국과는 달리 가로로 놓는다. 또한, 남이 젓가락으로 들어 올린 음식을 자신의 젓가락으로 받지 않고, 젓가락을 밥 위에 꽂아서는 안 된다. 이는 죽은 조상을 공양할 때의 관습이다. 숟가락은 젓가락으로 집을 수 없는 죽이나 오므라이스, 카레, 볶음밥을 먹을 때 사용한다.
③ 젓가락을 처음과 같이 상의 제자리에 놓고 두 손으로 밥그릇을 놓는다. 국그릇을 두 손으로 들어 앞에서와 같이 젓가락을 들고 건더기를 먹고 국물을 한 모금 마신다. 이 때 젓가락으로 건더기를 누르고 마신 후에 놓는다.
: 한국인들처럼 밥상 위에 놓고 먹으면 게으른 사람으로 인식된다. 또한 국을 마실 때도 후루룩 큰 소리를 내며 먹어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된장국그릇은 나무로 되어있으므로 이것은 왼손에 들고 먹는다. 국을 먹을 때 역시 숟가락은 사용하지 않는다. 국을 마실 때에는 국그릇을 입에 갖다 대고 마신다. 향기나 열을 보존하기 위해서 국그릇은 뚜껑을 덮어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 뚜껑을 열 때에는 왼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잡은 후 자기 쪽에서 반대방향으로 살짝 열도록 한다. 식사가 끝난 후에는 원래대로 다시 뚜껑을 덮어놓는다.
④ 다음에 밥이나 조림을 먹으며, 조림은 그릇째로 들어서 먹어도 좋고, 국물이 없는 것은 뚜껑에 덜어서 먹는다.
⑤ 회는 나눔 젓가락으로 접시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차례로 작은 접시에 덜어 와사비를 곁들인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⑥ 생선은 머리 쪽의 등살에서부터 꼬리 쪽으로 먹는다.
⑦ 달걀찜(자왕무시)은 젓가락으로 젓지 않고 앞에서부터 떼어 먹고 뜨거울 때에는 그릇 밑의 종지를 받쳐 들고 먹는다.
⑧ 어느 것을 먹을까 망설이며 젓가락이 왔다 갔다 한다든가, 젓가락에 붙어 있는 음식을 빨아 먹거나, 접시에 있는 음식을 뒤섞어 놓거나 젓가락으로 음식을 찔러 먹는 것은 금물이다.
⑨ 고노모노는 식사 후에 더운 물을 먹을 때 입속을 개운하게 하기 위해 먹는 것이므로 그 때까지 손을 대지 않는다. 밥이나 국은 세 번까지 받아도 되고, 다 먹었으면 물을 밥공기에 붓는다. 젓가락 끝은 물에 씻어 제자리에 놓는다.
차를 마실 때에는 찻잔을 두 손으로 들어 왼손은 찻잔 밑에 받치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쥐고 마신 다음 뚜껑을 도로 덮는다.
상을 물린 뒤에는 과일이나 생과자를 먹고 차를 마신다.
술을 마실 때는 상대방이 다 비울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술잔에 술이 줄어들면 첨잔을 한다.
: 첨잔은 한국에서는 금기이지만 일본에서는 오히려 미덕으로 여기고 있다. 손님의 잔이 1/3 이하로 줄어 있는데도 주인이 권하지 않으면 자리를 끝내자라는 의사표시로 이해하기 때문에 초대받을 경우 수시로 권유할 것이다.
4.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
① 스키야키(すきやき)
- 테이블위에 놓인 전용의 철냄비 안에, 얇게 여민 쇠고기를 여러 가지 야채나 두부와 함께 약간 달게 간을 한 전골요리.
② 덴푸라(天ぷら)
- 새우, 오징어, 생선등의 어패류나, 여러 가지 야채 등을 밀가루에 입혀서 기름에 튀긴 요리.
③ 스시(すし)
- 식초 등으로 간을 한 밥을 작게 주물러, 한입 크기로 썬 신선한 어패류(참치, 새우, 오징어 등)나 달게 맛을 들여 두껍게 말은 계 란말이 등을 얹어서 만든 것을 니기리스시(握りすし)라고 한다. 또, 오이나 절인 야채등을 중심부에 놓고 말아 만든 김밥을 마키즈 시(眷きずし)라고 한다.
④ 사시미(刺身)
- 한 입 크기로 썰은 신선한 어패류를 와사비를 넣은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⑤ 야키도리(燒き鳥)
- 닭이나 닭의 껍질, 혹은 닭의 내장을 꼬치에 꽂아, 달고 짭짤한 소스나 소금으로 간을 해 불에 구어내는 음식. 야키도리와 함께 야채나 버섯을 꽂은 것도 있다.
⑥ 돈카쓰(トンカツ)
- 돼지고기에 빵가루를 입혀 기름에 튀겨낸 음식.
⑦ 샤부샤부(しゃぶしゃぶ)
- 아주 얇게 썰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여러가지 야채나 두부등과 함 께 끓는 물속에서 살짝 익혀 먹는다.
⑧ 면류(소바 (そば)·우동(うどん)·라면(ラ-メン)
- 서민에게 사랑받는 요리. 스프속에 넣어서 끓이기도 하고 차가운 스프에 담궈서 먹기도 한다.
중국
1. 중국의 문화 특징
중국의 국토는 우리나라 남북한 전체 면적의 약 44배로 매우 넓어서 생산하는 식품재료가 다양하고 풍부하다. 특히 기후가 남부지방을 열대다우, 중부지방은 양쯔강 하류는 온대습윤, 서부지방은 온대몬순, 북부지방은 냉대 하계습윤으로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지역마다 지형, 기후, 풍토가 크게 달라 지역에 따른 독특한 식문화가 형성되었다.
2. 음식문화의 특징
옛날 중국의 음식이 불로장수의 사상과 연결되어 발전해왔기 때문에, 음식은 사람에게 양분을 주는 것이라는 인식을 명확히 하고 먹는 것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약 600종의 음식재료를 사용하고, 48종의 조리법을 사용한다. 거의 모든 동물과 식물을 사용하여 음식을 만드는 특징이 있다.
중국에서는 이미 5천 년 전부터 건강을 지켜주는 음식 섭취방법으로 한 가지 식품을 전부 먹는 식생활을 실천해왔다.
중국의 음식문화는 음양오행과 중용이라는 철학적 기초 위에서 오랜 역사를 거치며 형성 되었다. 국토가 광활하여 각 지방마다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각 지역마다 특색이 있는 음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① 재료의 선택이 매우 자유롭고 광범위하다.
: 중국음식에는 거의 모든 일반적인 식품을 재료로 한다. 상용되는 재료의 수만 약 3000여종에 이르고, 총 재료의 수는 10000여종이 넘을 것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또한 단맛짠맛쓴맛신맛매운맛 등 5가지 맛을 잘 소화시켜 다양한 음식을 발전시켜 왔다. 한 재료를 가지고도 각 부위에 맞는 새로운 요리를 만들기도 하였는데, 닭고기와 같은 경우 살뿐만 아니라 껍질날개 끝벼슬발까지 사용한다.
② 맛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 간(단맛), 센(짠맛),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1.1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