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기존 연구의 검토

III. 경기체가의 변천과정
1) 악장계 경기체가
2) 비악장계 경기체가

본문내용

않는 완전한 화해의 상태에 있다. 이는 시적 자아가 실재하는 현실 세계와 그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세계가 현재 일치하고 있거나 혹은 그 둘의 거리를 심리적으로 매우 가깝게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시적 자아는 이러한 자신의 고양된 감정과 만족감을 어떠한 절제나 여과도 가하지 않은 채 그대로 밝고 자신있게 표출하고 있다. 경기체가의 이러한 향락적, 자기 과시적 성격은 고려 후기 신흥 사대부들의 의욕적인 성격과 맞물려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에 걸쳐 크게 유행하였고 특히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악장문학으로서의 큰 몫을 무리없이 담당해 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로 접어 들면서는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특히 사림들에 의해 많은 비판을 받게 된다. 이황의 평이 가장 대표적인 예로 그는 翰林別曲類는 '矜豪放蕩 褻慢戱押' 하여 군자들이 숭상할 바가 아니라고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음악과 춤과 술과 기생이 동반되는 연행상황과 윤창, 집단창으로 불리는 가창 방식, 자신의 고양된 감정을 표출해 내는 표현 양식, 자기 과시적, 과장적 가사 내용이 모두 修己와 眞의 문학을 추구했던 사림의 문학관과는 맞지 않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교훈적인 내용과 연행 방식의 일신으로 경기체가를 새롭게 자리매김하고자 했던 주세붕의 노력에도, 修己와 성정도야의 문학으로의 전환을 꾀했던 권호문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경기체가는 결국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 삶에 대한 만족과 기쁨을 노래하는 자기 과시의 유흥 문학으로 출발한 경기체가는 그 견고한 틀속에 이러한 시대 변화를 담아내지 못하고 결국 우리 시가사에서 영원히 모습을 감추고 만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10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1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