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논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사논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미술치료 6
1) 미술치료의 개념 6
2) 집단미술치료 7
3) 집단미술치료의 방법 및 장점 8
2. 학교부적응 9
1) 학교부적응의 개념 9
2) 학교부적응 발생원인 10
3)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행동특성 12
3. 자아존중감 12
1) 자아존중감의 개념 12
2) 자아존중감의 형성 13
4. 선행연구의 개관 15
5. 연구가설 1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8
1. 연구 대상 18
2. 연구 설계 18
3. 프로그램 구성 19
4. 측정 도구 24
5. 연구 절차 26
6. 자료처리방법 27

Ⅳ. 연구 결과 28
1.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28
2.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증진에 미치는 효과 33
3.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지속적인 효과 38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증진에 미치는 지속적인 효과39
5. 프로그램 경험보고서 41
6.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결과 42

Ⅴ. 논의 48

Ⅵ. 요약 및 결론 52
1. 요약 52
2. 결론 53

참고문헌 57
ABSTRACT 61
부 록 64

표 목차
<표Ⅲ-1> 사전-사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 18
<표Ⅲ-2>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및 목적과 효과 21
<표Ⅲ-3> 학교부적응 척도의 문항 구성과 내적일관성 신뢰도 25
<표Ⅲ-4> 자아존중감 척도의 문항 구성과 내적일관성 신뢰도 26
<표Ⅳ-1>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부적응 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29
<표Ⅳ-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부적응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0
<표Ⅳ-3> 실험집단의 학교부적응 사후-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0
<표Ⅳ-4> 통제집단의 학교부적응 사후-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1
<표Ⅳ-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부적응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2
<표Ⅳ-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3
<표Ⅳ-7>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4
<표Ⅳ-8>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5
<표Ⅳ-9>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사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6
<표Ⅳ-10>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37
<표Ⅳ-1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생활적응 추후-사전검사 결과차이검증 39
<표Ⅳ-1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추후-사전검사 결과차이검증 40
<표Ⅳ-13> 최종 소감문을 통한 개인별 반응 41
<표Ⅳ-14> 전체 프로그램의 만족도 42
<표Ⅳ-15> 전체 프로그램의 유익도 43
<표Ⅳ-16> 전체 프로그램 참여 희망도 44
<표Ⅳ-17> 전체 프로그램 회기별 만족도 45

본문내용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우관계(2.46), 학교규칙(0.47)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학교수업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했다(t=1.693, p>.05).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지속적으로 학교생활적응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라는 가설 3은 대체로 긍정되었다. 검증결과는 <표 Ⅳ-11> 과 같다.
<표 Ⅳ-11>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교생활적응 사전, 추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구분
실험 집단
(n=15)
추후-사전
통제 집단 (n=15)
추후-사전
t
p
사전
추후
사전
추후
M
(SD)
M
(SD)
M
(SD)
M
(SD)
교사관계
22.33
(3.06)
24.26
(2.71)
1.93
(2.46)
21.93
(1.98)
21.33
(1.67)
-.60
(1.29)
3.524**
.001
교우관계
23.00
(2.53)
24.46
(2.38)
1.46
(1.99)
24.53
(4.12)
23.53
(3.20)
-1.00
(2.07)
2.140*
.041
학교수업
21.00
(1.69)
21.73
(1.27)
.73
(1.83)
20.93
(3.01)
19.66
(2.41)
-1.26
(1.60)
1.693
.102
학교규칙
21.13
(3.39)
22.13
(2.35)
1.00
(1.92)
21.40
(2.99)
21.93
(3.86)
.53
(1.50)
2.712*
.011
전체
87.46
(7.00)
92.60
(5.92)
5.13
(4.67)
90.00
(8.82)
86.46
(7.55)
3.53
(3.58)
4.589***
.000
* p<.05 ** p<.01 *** p<.001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지속적인 효과
가설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 해 지속적으로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
1)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 추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종료 30일 후 실시한 실험 집단의 자아존중감의 지속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추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추후-사전 검사 결과 차이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전체에서 실험 집단(M=4.06)의 평균 점수가 통제 집단(M=-3.46)보다 높게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t=6.077, p<.001). 자아존중감 하위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총제적 자아 평균(2.93)높아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사회적 자아도 평균(2.59) 높아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가정적 자아, 학교 자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했다(p>.05). 검증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표 Ⅳ-12>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 추후검사 결과 차이 검증
구분
실험 집단
(n=15)
추후-사전
통제 집단 (n=15)
추후-사전
t
p
사전
추후
사전
추후
M
(SD)
M
(SD)
M
(SD)
M
(SD)
총체적자아
14.00
(2.13)
15.33
(1.04)
1.33
(2.25)
14.66
(1.91)
13.06
(1.83)
-1.60
(1.18)
4.458***
.000
사회적자아
20.80
(2.59)
22.46
(1.64)
1.66
(2.49)
21.33
(3.30)
20.40
(3.22)
-.93
(.96)
3.763**
.001
가정적자아
21.46
(3.41)
21.60
(1.99)
.13
(2.72)
20.66
(3.71)
19.53
(3.15)
-1.13
(1.30)
1.626
.115
학교자아
17.33
(1.75)
18.40
(1.40)
1.06
(2.25)
17.00
(2.42)
17.53
(1.64)
.20
(1.45)
1.260
.218
전체
73.60
(3.69)
77.66
(2.89)
4.06
(3.75)
74.00
(5.87)
70.53
(5.55)
-3.46
(2.99)
6.077***
.000
** p<.01 *** p<.001
따라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지속적으로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더 높아질 것이다.’라는 가설 4는 대체로 긍정되었다.
5. 프로그램 경험보고서
1) 경험보고서
<표 Ⅳ-13> 최종 소감문을 통한 개인별 반응 번호
별 칭
개인별 소감문
1
꼬맹이
나의 속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 하니까 나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더 알게 된 것 같아서 좋다.
2
스파이더맨
내 성격이 많이 변한 것 같다. 친구들도 더 활발해진 것 같다고 말해줘서 기분이 정말 좋다.
3
쏘롱
다양한 경험들, 그림도 그리고 석고계란 만들기는 정말 재미있었다. 그리고 내 속마음을 표현할 수 있어서 기분이 좋았다.
4
햇님
학교생활이 잘 되지 않아 힘들었는데 미술치료를 받으며 점차 나아져서 친구들과도 잘 지내게 되고 학교생활도 어느 정도 즐거워졌다.
5
송이버섯
처음엔 그림을 못 그려서 힘들었는데 자꾸 하다보니까 재미있고 즐거웠다. 친구들도 나처럼 비슷한 고민이 있는 걸 보고 놀랐다.
6
둘리
평소에 잊고 살았던 많은 이야기를 솔직하게 털어놓으니까 내가 누군지 조금 더 알게 된 것 같아 기분이 좋다. 앞으로는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7
스폰지밥
말도 잘 못하고 소심한 성격을 바꾸고 싶었는데 친구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으며 나도 용기를 얻게 되었다.
8
리쌍
그림을 통해서 사람 마음이 드러난다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나 자신에 대해, 가족에 대해, 친구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9
주댕
처음엔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지 못했는데 친구들의 고민을 함께 듣고 나누다 보니까 친구들과 친하게 되었다.
10
소심쟁이
나 자신이 마음에 들지 않고 고민이 참 많았었는데 이야기를 함께 나누면서 고민이 아주 작아졌다. 그리고 마음이 참 편안해졌다.
11
수?
  • 가격5,000
  • 페이지수81페이지
  • 등록일2010.02.2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