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정신지체의 이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정신지체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지체장애의 이해


Ⅰ. 지체장애의 정의
 1. 용어
 2. 지체장애의 정의

Ⅱ. 지체장애의 유형 및 원인
 1. 지체장애의 유형
 2. 지체장애의 원인

Ⅲ. 지체장애의 특성
 1. 인지능력과 학업성취
 2. 사회- 정서적 특징
 3. 신체운동적 특징

Ⅳ. 지체장애 진단 및 평가
 1.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2. 진료기록 등의 확인
 3. 장애진단 및 재판정 시기
 4. 세부 유형별 판정기준
 5.판정기준

Ⅴ. 지체장애 교수방법
 1. 통합교육을 위한 정보수집과 교수환경
 2. 학습자세의 중요성
 3. 컴퓨터 공학의 활용
 4. 의사소통과 이동성

참고자료

본문내용

랜 시간이 필요한 사람
Ⅴ. 지체장애 교수방법
1. 통합교육을 위한 정보수집과 교수환경
1) 정보수집
① 예상되는 인지능력 정도
② 구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정도
③ 장애로 인한 시력, 청력의 손상여부
④ 신체의 장애부위
⑤ 학교생활중 예후
⑥ 이동능력 정도
⑦ 일반학급에서 알아야 할 사항
2) 일반교사가 알아야 할 정보
① 의학적인면
② 이동방법
③ 의사소통
④ 자조능력
⑤ 자세잡기
3) 물리적 환경
① 보행에의 불편최소화: 경사로, 엘리베이터 설치
② 휠체어 보조자
③ 교실내 목발 및 휠체어 사용 가능한 넓은 공간 확보
④ 칠판, 책상, 사물함 등 사용의 용이함
4) 교과목 교수전략
① 원하는 활동을 돕기 위한 방법
A. 대상물체 고정시키기: 테이프, 흡입판 등을 사용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물건 고정(책, 공책 등)
B. 경계만들어주기: 테두리있는 책상. 장난감에 끈을 매달아 당겨오기. 낮은 테두리안에 장난감 넣어주기 등
C. 잡기보조도구 사용하기: 연필에 고무덧끼우기. 손가락에 연필고정시키는 보조대 착용하기 등
D. 조작을 도와주는 도구 사용하기: 조작에 필요한 손가락 움직임이나 손목 움직임이 부족해서 조작이 어려운경우- 엔터키위에 탁구공 붙여서 조작하기. 재생버튼 위에 젓가락 붙여서 손바닥으로 누르기 등
②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전략
A. 수업시간에 반응하는 방법(말하기, 읽기, 쓰기)
a) 말하기/읽기-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등의 의사소통수단 활용
b) 소리내어 읽기 안 되는 경우- 이해정도 측정으로 간접평가 실시
c) 쓰기에 어려움 있는 경우- 보조기구 제공(굵은 연필, 공책고정시키기, 자세고정하기 등)
2. 학습자세의 중요성
1) 치료: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 조기에 실시해야 함.
① 물리치료: 대근육운동과 보행능력발달. 신경발달적 방법과 보이타법 사용
② 작업치료: 상지사용능력. 유아기-식사하기, 일상생활훈련 등
③ 적절한 자세 및 동작관리: 근육, 관절, 전반적 근긴장도 등
2) 자세잡기의 일반적 원칙 및 유의점
① 골반의 안정성 확보
A. 지체장애아동들은 근육의 과다신전으로 인해 엉덩이에 힘이 들어가서 잘 앉지 못하거나 비대칭적 골반등의 문제 가짐
약간 딱딱한 소재의 의자등받이와 밑판. 아동의 엉덩이를 의자 안쪽으로 붙이고 앉도록 함
B. 안전벨트 착용 및 등판의 골반 맨 윗부분에 작은 수건 말아서 넣음
② 하지의 적절한 지지
A. 의자에 앉았을때 무릎과 의자밑판의 앞부분과의 거리: 손가락 1~2개 정도
B. 엉덩이가 고르게 지지: 비대칭적 엉덩이-특수밑판제작
C. 다리- 외전대나 내전대 등을 의자에 부착하여 다리의 정렬 도움
D. 발위치- 발판으로 발고정, 고정끈사용
E. 무릎- 90도 유지하도록 발판 높이 조절
③ 몸통의 안정성 확보
A. 측방굴곡
a) 정의: 좌우옆쪽으로 몸통이 기울어지는 것
b) 몸통좌우에 지지대 설치
c) 앉은 자세의 중력의 힘에 의한 경우 의자등판을 약간 뒤로 젖혀줌
B. 전방굴곡
a) 정의: 앞쪽으로 몸통이 수그러지는 것
b) 가슴이나 어깨에 띠를 두름
c) 유형: 나비형, H형, V형
d) 띠끝부분을 어깨보다 아래쪽에 고정
④ 머리의 적절한 지지
A. 시야확보와 활동참여 증진에 필수적
B. 바람직한 자세: 머리를 똑바로 세우고 턱을 약간 밑으로 잡아당기는 듯한 자세
C. 보조도구사용: 머리지지대
⑤ 상지의 적절한 지지
A. 바람직한 자세: 어깨와 팔꿈치가 적절한 각도를 이루고 편안한 자세로 의자의 팔걸이나 무릎판에 손을 올려놓는 자세
B. a)어깨: 약간 앞으로 모아짐 b) 팔꿈치: 40~100도 정도 굴곡 c) 손: 손의 옆면을 바닥에 닿도록 함
3) 대안적 자세
① 수평적 자세
A. 유형: 똑바로 눕는 자세, 엎드리는 자세, 옆으로 눕는 자세 등
B. 장점: 근육이완 도움 및 자세조절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
C. 자세교정기구 사용: 정적-매트, 쐐기모양의 보조대등과 동적- 에어매트 등을 혼합사용
② 수직적 자세
A. 정의: 머리와 몸통이 직립,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는 자세
B. 유형: 앉은자세, 무릎꿇은자세, 선자세 등
C. 보조기구: 의자(휠체어, 교실의자, 코너체어 등), 서기보조대 등
3. 컴퓨터 공학의 활용
1) 대표인물: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박사
2) 유형
① 간단한 도구나 수정: 막대기로 자판누르기, 머리띠에 연결된 막대기로 자판누르기, 글쇠보호대 등
② 대체자판: 확대자판과 축소자판.
③ 터치스크린: 자판없이 직접 컴퓨터화면을 만져서 프로그램조작(예: 현금인출기)
④ 스위치: 운동능력장애 심한 지체아동 학습 및 일상생활 통제 위해 최근 개발적용
예- 단일스위치, 마이크로스위치
4. 의사소통과 이동성
1) 의사소통
① 말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
A. 신호체계 사용: 고개숙이면/네/, /네,아니오/쳐다보기, 손가락을 펴면/네/, 굽히면/아니오/ 등
B. 말할수 있는 시간 충분히 주기
C. 의사소통이 막힐 때 파악해서 대처하기: 아동이 한가지 대답만 계속하면 답을 모를 경우, 다른 아동에게 통역 부탁시 효과
D. 다른 학생들에게도 의사소통하는 방법 가르쳐주기: 약속된 신호, 의사소통판, 지체장애학생이 말할때 기다려야 하는 시간 가르쳐주기 등
②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
A. 보조도구사용: 연필끼우개, 컴퓨터 등 활용
2) 이동성
① 건축물장애: 건물구조가 지체장애인이 다닐 수 없고 다른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
② 보행보조기구
A. 휠체어: 혼자서 걷지 못하거나 걷기 힘든 환자나 장애인이 사용. 성인용, 소아용, 개별제작 등. 수동과 전동휠체어 있음
B. 목발: 액와목발(겨드랑이까지 올라오는 것)과 비액와목발.
C. 보행기: 보행할 때 가장 지지력이 좋은 보행기구나 보행기를 사용하여 도보.
3) 지체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참고자료
1. [특수아동교육]. 이소현, 박은혜 지음. 학지사.
2. [작업치료의 이론과 적용]. 정원미 지음. 정담미디어.
3. http://www.mohw.go.kr(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4. http://www.songbh.ce.ro(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송병호 교수 홈페이지 - 지체장애 전공)
  • 가격3,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