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에게 불편한 디자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들에게 불편한 디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장애인들의 생활 중 불편한 디자인
◈ 손잡이
장애자를 위해서는 손으로 움켜잡거나 옆으로 돌리는 등의 작동이 없는 문고리여야 하고 문을 여닫는 데에 2.3Kg 이상의 힘이 들지 않아야 한다. 완전히 주먹을 쥔 상태이거나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도 문이 쉽게 열리고 닫힐 수 있어야 한다.
작은 판이나 가로 막대를 밀어 문이 열리게 하는 장치도 좋다. 고리형 손잡이도 문고리와 연결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면 이용이 편리하다. 보일러실이나 전기실 같이 위험한 곳은 문 손잡이를 오돌토돌하게 만들면 시각장애자들에게 도움이 된다.
◈ 열쇠
손의 움직임이 극도로 제한된 사람의 경우에는 시중에 나와있는 작은 크기의 열쇠가 잡기에 매우 어렵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열쇠 끝부분을 손으로 감싸 쥘 수 있는 손잡이를 부착하면 편리하다. 버튼을 눌러 열게되는 열쇠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열쇠대신 카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서랍
회전 선반이나 돌출형 회전선반은 접근성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 음식을 준비할 때 별도의 작업면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작업판이 달린 아랫장이다. 경우에 따라 일할 때 한 손으로도 냄비를 다룰 수 있도록 판에 구멍이나 홈을 만들 수도 있다.
◈ 스위치
손의 힘이 부족하거나 손놀림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눌렀다가 돌리게 되어 있는 레인지 조절기는 거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로커 스위치와 토글 스위치, 그리고 터치 스위치는 모두 단 한 번의 동작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힘이 많이 들지 않으며 노련한 손놀림도 필요치 않으므로 좋은 선택사항이 될 수 있다.
◈ 싱크대
밑으로 휠체어가 들어가야 한다. 최소 90cm 무릎 공간이 필요하며 넓을 수록 좋다.
◈ 탁자
탁자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되어야 부딪혔을 때에도 심한 부상을 줄일 수있다. 또한 음식물이 탁자 위에 쏟아져도 바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약간 올라온 것이면 더욱 좋다. 우련히 부딪혔을 때 탁자가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으려면 다리의 구조가 튼튼해야 한다. 따라서 중앙에 하나 있는 다리보다는 세 개 이상의 다리로 된 것이 보다 안전하다. 다리의 재료로 고무 등을 사용하면 휠체어에 부딪혀도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 탁자의 높이는 68cm 이상으로 해야 휠체어가 완전히 탁자 밑으로 들어갈 수 있다.
◈ 도로공학
이 보도블럭 넘어서 정자가 있는데, 정자로 넘어갈 수 있는 길이 없었다. 이 턱을 그대로 넘어가기에는 상당히 위험한 곳이었다.
휠체어는 3.8cm나 5cm의 미세한 높이 변화만 있어도 넘어져 사람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최대 높이 변화 0.6cm 한계를 절대 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보도 바닥에는 장애물이 전혀 없도록 해야 한다.
◈ 자판기
자판기는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음료를 꺼낼려면 몸을 숙이는 수고를 해야 한다. 장애인들의 경우는 숙을 수 없는 경우나 팔이 닿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1.2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