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에 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조어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문

Ⅱ 본 문
1- 햏자
2- 동인
3- 일빠 혹은 일파
4- 야오녀

Ⅲ 결 론

본문내용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아침형 인간
47.귀차니스트 48.초콜릿, 치킨 49.얼리 어답터(early-adopter)
50.이구칠 세대 < 386세대 < 4564세대 < 실버세대
- 영화 ‘반지의 제왕’으로 해석해 본 점수대별 유형
▶ 81점 이상‥당신은 ‘절대 언어감각의 소유자’. 최신 시사용어부터 인터넷 채팅 용어까지
두루 섭렵한 박학다식한 그대. 당신을 세대별 언어장벽을 깨뜨릴 ‘언어소통 자유 수복
원정대’로 임명하노라.
▶ 61~80점‥신조어에 관해 호빗족 같이 영리한 그대. 프로도가 환청·환영에 시달릴 때처
럼 가끔 뜬끔 없는 헛소리를 할 때도 있지만 어느 모임에서도 대화가 잘 통하는 사람이
다. 짬을 내 조간신문만 살펴봐도 원정대에 합류할 수 있을 듯.
▶ 41~60점‥작명가의 콜록거리는 기침소리를 잘못 들어 이름이 골룸 으로 되었다는 당신.
사실 당신은 1인2역의 대담을 혼자서 진행할 정도로 남다른 언어감각을 소유하고 있다.
신조어를 ‘My precious’처럼 보면 어떨까.
▶ 40점 이하‥동료와 자신들만의 언어로 소통하는 당신은 진정한 언어계의 ‘오크족’. 소통
없는 세상은 반목과 질시를 불러오는 법. 이제라도 중간 계 신문, 요정계 방송을 주의깊
게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1)
신조어는 사전적 의미로 새로 만들어진 낱말이다. 신조어는 새로 나온 사상이나 테크놀로지를 지칭하기 위한 문명의 반영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최근 우리 사회에 넘쳐나는 신조어들은 언제 어떤 상황에서 만들어졌는지 그 어원과 과정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다. 숱한 사람들의 입을 거치면서 의미가 제대로 정착되기도 전에 변용이 생기고 동일한 단어가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구나 인터넷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면서 신조어는 카멜레온처럼 금방금방 의미를 변색시키고 있다.
이런 신조어의 범람과 변색이 복잡한 현대 문명의 다양성 때문만은 아니다. 태초의 말씀처럼 말은 바로 우주와 인간을 새롭게 창조하는 생명이자 힘이다. 새로운 낱말이 우리 삶에 파고든다는 것은 우주와 인간의 삶에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지고 있음을 반증한다. 학자들에게는 전문용어이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신조어나 다름없는 ‘줄기세포.’ 이 낱말 하나가 우리 사회를 얼마나 희망과 절망 사이에서 헤매게 했는지 돌이켜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신조어는 삶과 사유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문이거나 그 문을 열거나 닫는 열쇠나 다름없다. 2)
1) 경향신문 2004-03-11 17:06
2) 발칙한 신조어와 문화현상 김다은 저
그럼 이러한 신조어가 나타나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들이 있다. 예전에는 ~ 시간이 곧 통신비이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나타난 언어 경제현상이라는 분석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즉, 타자 속도가 느린 초보 통신인들이 숙련자들과 동등한 대화를 이끌어 가기 위해 그들로부터 \'한수\' 배우는 것이다. 『PC 통신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일상 언어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언어의 변화는 나름대로의 목적에 의한 것이다. 대부분의 변화 요인은 심리적인 이유 때문이지만 통신 언어 변화의 기능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는 없다. 경제성의 원리는 이 기능적 측면의 핵심에 해당하는 것으로 PC 통신 자체의 특성과도 연관된 것이다. 통신 사용자의 대부분이 유료 사용자이고 전화비를 따로 정산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통신 사용자에게 있어 시간을 줄인다는 것은 곧 비용을 줄인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통신 시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노력이 자판 입력시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자판 입력시 적용되는 노력 경제의 원칙은 자판 입력 타수를 줄이는 것으로 적용된다. 실제 발화시 음운 하나를 줄이거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얻듯이 자판 입력시에도 음운을 탈락시키거나 축약된 형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입력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모음의 경우 축약이나 탈락을 시켰을 때 의미 변별기능이 사라지는 경우 자판의 위치를 누르기 쉬운 쪽으로 옮김으로써 입력 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감각적이고 이질성과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신세대적 사고방식을 원인으로 들기도 한다. 이들은 정감 있고 격의 없는 통신언어를 통해 \'우리는 통신인(=신세대?)\'이라는 연대의식을 쌓는 것이다. 10대들은 은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자신들만의 비밀스런 문화세계를 만끽하며 기성세대를 따돌리는 데 일종의 쾌감을 느낀다. 은어를 통해 현실에 대한 욕구불만을 발산하고 또래집단의 결속력을 다지기도 한다. 청소년들이 이런 은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그저 습관적으로 또는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서 은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어나 속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쩐지 이상하고 소외되기 십상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과거에 유행어라고 지칭했던 많은 말들이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통한 산물이었다면 최근의 신조어들은 거의 대부분이 인터넷상에서 만들어져 인터넷을 통해 유포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Ⅱ 본 문
서문의 퀴즈에서 나오지 않은 널리 사용되는 신조어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생겨난 부류는 크게 분류 했을 때 다음과 같다.
1- 쥑자
이들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밤 늦게 까지(혹은 밤잠을 새면서) 인터넷 서핑을 하던 <폐인 >이라는 부류에서 출발한다. 국내 거물급 사이트 <디씨 인 사이드 >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생겨난 이들은 <뚫콩 쥑자 >라고 불리는 <아시안 프린스>의 출현으로 점점 그 실체가 정의 되기 시작, <아쥑쥑 >이라는 신종언어를 만들어 <수행자>라는 단어에서 어원을 얻은<쥑자>라는 부류를 형성한다.
주된 특징으로 면식 수쥑을 하고 <-하였소><-하오> 등으로 끝을 맺는 하오체를
사용하며, 사회 갖가지 문제에 대해 합리적/비판적 사고 관을 가지고 있는 지식인층이다. 사회 각층의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고찰을 하며 비판과 반박, 풍자 등으로 거의 전 국민을 선동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사진 합성 등으로 활동하였으나 근래에는 <왜 날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1.24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1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