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대중가요의 정의
2) 대중가요의 특성
3) 대중가요 변천사
①60년대
②70년대
③80년대
④90년대
⑤2000년대
3. 결론
4. 출처
2. 본론
1) 대중가요의 정의
2) 대중가요의 특성
3) 대중가요 변천사
①60년대
②70년대
③80년대
④90년대
⑤2000년대
3. 결론
4. 출처
본문내용
등이 그 공백을 메웠고 음악성이 아마추어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대학가요들이 인기를 끌었다.
송창식, 윤형주, 양희은 등의 통기타 가수들이 젊은이들의 우상이 되고, 블루스에 바탕을 둔 이정선까지 포함하여 한국형 포크의 전성기가 도래한 것이다. 낙관적인 태도와 삶에 대한 애정, 침울하지만 안온하기도 한 곡들이 만들어지고 널리 불려진다. 다른 하나는 \'히식스\'를 비롯한 그룹사운드의 전성시대, 각종 경연대회와 록 페스티벌이 열리고, 인기밴드들은 나이트클럽에서 적잖은 수입도 올릴 수 있었다. 70년대 중반, 박정희 정권이 가요정화운동이란 구호를 들이밀며 물길을 틀어막는다. 군사독재정권의 하수인들은 음반검열로 대중음악의 허리를 끊고 질적으로도 퇴보시켰다. 음악인의 무의식에 자기검열이란 병균이 심어지고, 소재의 표현은 제한되었으며, 여기에 대마초파동까지 겹치자 거대한 감옥 같은 사회의 숨구멍과 창문은 닫혀버리고 말았다.
그렇다고 <새마을노래>나 듣고 부를 순 없는 노릇, 1977년에 열린 MBC 대학가요제는 공백을 채울 새로운 스타와 음악에 대한 요구였다. 기교에선 기성가수들보다 못했지만 대학생들의 음악과 순수함이 오히려 더 신선했기에 대학가요제가 방송되는 날엔 거리가 한산해질 정도의 관심을 불러온다. 각종 대회를 통하여 샌드 페블스, 송골매, 김수철 등이 등장했으며, 이중엔 훗날 <임을 위한 행진곡>같은 민중음악 명곡을 만든 김종률도 있었다. 지금과 달리 당시 대학사회는 문화선도의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70년대 초에 트로트와 신중현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가장 인기를 끌었던 음악인들 중에는 이들 외에 재즈계 출신의 음악인들과 그들의 음악을 노래했던 가창력 있는 대형 가수들도 있었다. 패티김, 정훈희, 현미, 최희준 등 당시 대형가수들의 다수가 재즈계열의 음악인들 이다.
그러나 60년대 중반이후 비틀즈의 영향으로 전자 기타나 전자 올간이 더 환영을 받는 시대가 오고 점차 미8군 무대 자체가 좁아지면서 재즈 무대도 서서히 줄어들었고 하나둘 미8군 밖의 대중가요계로 진출했다. 그들은 70년대에 방송국의 경음악단으로 활동하기도 했고, 내자 호텔 등의 재즈 클럽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그렇게 재즈인들은 변화된 상황에 적응하고 있었다.
재즈계 출신 대중음악인들은 60년대 중반에서 70년대 초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중 이봉조 같은 사람은 현미의 \'밤안개\' 나 정훈희의 \'꽃밭에서\'등을 히트시키며 전성기를 구가한다. 당시 이들의 노래는 깔끔하고 세련된 멜로디와 재즈리듬으로 서구 지향적인 것들이었다. 정훈희, 패티김, 현미, 최희준 등의 좀 고급스러운 느낌의 노래에 매료되던 사람들은 점차 고고의 영향으로 이들의 노래가 지겨워 진다.
0년대 중반 들어 좀 더 빠르고 시끄러운 음악을 사람들이 원하게 된다. 그나마 남아있던 재즈클럽들이 고고클럽으로 바뀌고 재즈하던 사람들은 두 가지중 하나를 선택해야했다. 미국으로 건너가든가 아니면 남아서 카바레의 악사가 되든가. 많은 이들이 재즈를 포기하고 카바레나 요정의 악사로 전락해 갔다.
70년대말 전세계는 디스코의 열풍이 불었다. 세계가 월남전쟁의 후유증과 73년과 79년의 오일쇼크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등 피로감으로 가득할 때 디스코는 골치아픈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젊은이들에게 세상의 스트레스를 풀게 해주었고 잠시나마 모든 시름을 잊게 해주었다.
3) 80년대 대중가요
한국 대중음악사 이혜숙 손우석 지음 리즈앤북 124쪽
2) 한국 대중음악사 이혜숙 손우석 리즈앤 북 166 쪽
1980년대 초 가요계는 조용필, 혜은이, 이은하, 윤시내 등 몇몇 기성 가수들의 독무대 였다. 새로운 가수와 노래가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영 11과
송창식, 윤형주, 양희은 등의 통기타 가수들이 젊은이들의 우상이 되고, 블루스에 바탕을 둔 이정선까지 포함하여 한국형 포크의 전성기가 도래한 것이다. 낙관적인 태도와 삶에 대한 애정, 침울하지만 안온하기도 한 곡들이 만들어지고 널리 불려진다. 다른 하나는 \'히식스\'를 비롯한 그룹사운드의 전성시대, 각종 경연대회와 록 페스티벌이 열리고, 인기밴드들은 나이트클럽에서 적잖은 수입도 올릴 수 있었다. 70년대 중반, 박정희 정권이 가요정화운동이란 구호를 들이밀며 물길을 틀어막는다. 군사독재정권의 하수인들은 음반검열로 대중음악의 허리를 끊고 질적으로도 퇴보시켰다. 음악인의 무의식에 자기검열이란 병균이 심어지고, 소재의 표현은 제한되었으며, 여기에 대마초파동까지 겹치자 거대한 감옥 같은 사회의 숨구멍과 창문은 닫혀버리고 말았다.
그렇다고 <새마을노래>나 듣고 부를 순 없는 노릇, 1977년에 열린 MBC 대학가요제는 공백을 채울 새로운 스타와 음악에 대한 요구였다. 기교에선 기성가수들보다 못했지만 대학생들의 음악과 순수함이 오히려 더 신선했기에 대학가요제가 방송되는 날엔 거리가 한산해질 정도의 관심을 불러온다. 각종 대회를 통하여 샌드 페블스, 송골매, 김수철 등이 등장했으며, 이중엔 훗날 <임을 위한 행진곡>같은 민중음악 명곡을 만든 김종률도 있었다. 지금과 달리 당시 대학사회는 문화선도의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70년대 초에 트로트와 신중현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가장 인기를 끌었던 음악인들 중에는 이들 외에 재즈계 출신의 음악인들과 그들의 음악을 노래했던 가창력 있는 대형 가수들도 있었다. 패티김, 정훈희, 현미, 최희준 등 당시 대형가수들의 다수가 재즈계열의 음악인들 이다.
그러나 60년대 중반이후 비틀즈의 영향으로 전자 기타나 전자 올간이 더 환영을 받는 시대가 오고 점차 미8군 무대 자체가 좁아지면서 재즈 무대도 서서히 줄어들었고 하나둘 미8군 밖의 대중가요계로 진출했다. 그들은 70년대에 방송국의 경음악단으로 활동하기도 했고, 내자 호텔 등의 재즈 클럽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그렇게 재즈인들은 변화된 상황에 적응하고 있었다.
재즈계 출신 대중음악인들은 60년대 중반에서 70년대 초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중 이봉조 같은 사람은 현미의 \'밤안개\' 나 정훈희의 \'꽃밭에서\'등을 히트시키며 전성기를 구가한다. 당시 이들의 노래는 깔끔하고 세련된 멜로디와 재즈리듬으로 서구 지향적인 것들이었다. 정훈희, 패티김, 현미, 최희준 등의 좀 고급스러운 느낌의 노래에 매료되던 사람들은 점차 고고의 영향으로 이들의 노래가 지겨워 진다.
0년대 중반 들어 좀 더 빠르고 시끄러운 음악을 사람들이 원하게 된다. 그나마 남아있던 재즈클럽들이 고고클럽으로 바뀌고 재즈하던 사람들은 두 가지중 하나를 선택해야했다. 미국으로 건너가든가 아니면 남아서 카바레의 악사가 되든가. 많은 이들이 재즈를 포기하고 카바레나 요정의 악사로 전락해 갔다.
70년대말 전세계는 디스코의 열풍이 불었다. 세계가 월남전쟁의 후유증과 73년과 79년의 오일쇼크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등 피로감으로 가득할 때 디스코는 골치아픈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젊은이들에게 세상의 스트레스를 풀게 해주었고 잠시나마 모든 시름을 잊게 해주었다.
3) 80년대 대중가요
한국 대중음악사 이혜숙 손우석 지음 리즈앤북 124쪽
2) 한국 대중음악사 이혜숙 손우석 리즈앤 북 166 쪽
1980년대 초 가요계는 조용필, 혜은이, 이은하, 윤시내 등 몇몇 기성 가수들의 독무대 였다. 새로운 가수와 노래가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영 11과
추천자료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대해서
대중문화 시대와 광고 텍스트
일본의 대중문화와 오락
대중문화와 미디어
일본 대중문화 개방
대중문화와 코미디의변화
대중문화의 이해
대중문화 속의 핸드폰
대중문화연구 - 핸드폰, 휴대폰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대중문화] 대중지성과 민주주의에 대해서
‘대중문화(大衆文化)’란 무엇인가? (대중문화의 의미, 상품으로서의 대중문화의 의미, 부르디...
[대중문화와 기독교] 광고 매체 - 예술인가 쓰레기인가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