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와 콜버그의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프로이드
1. 개요
2. 정신분석적 발달이론
1) 성격구조
2) 성격의 역동성
3. 리비도와 성격 발달
1) 구강기
2) 항문기
3) 성기기
4) 생식기
4. 인간연구의 접근법
1) 자유연상
2) 꿈의 분석
3) 사례 연구
4) 자아 ․ 분석
5. 교육적 함의
Ⅲ. 콜버그
1.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적 함의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도덕발달과 도덕교육에서 콜버그가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그의 이론은 세계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그의 소집단 토론을 통한 도덕적 사고의 발달을 촉진하는 교육법은 아직도 많은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덕교육방법이다.
콜버그는 이상적인 사회를 구성원들이 높은 단계의 도덕적 사고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가능한 최선의 사회는 사회질서의 필요성을 이해할 뿐 아니라, 정의나 자유 등과 같은 보편적 원리들에 대한 통찰력을 갖고 있는 성원들로 구성된 사회이다. 그러므로 그는 아동들에게 보다 높은 단계의 도덕적 사고로 이끌어 주는 것이 도덕교육의 주된 임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아동들의 도덕적 판단단계의 변화를 가져오려면 성인들이 더 높은 단계로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못 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아동이 사고를 재구성하려면 더욱 능동적인 학습과정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그는 아동들이 도덕적 문제를 능동적으로 논쟁할 기회를 갖도록 해주는 집단토론 방식을 사용하였다.
콜버그의 제자 블랫은 아동들에게 도덕적 딜레마를 제시하고 격렬한 논쟁을 유도하였다. 이 때 그의 역할은 논점을 요약, 명료화하거나 가끔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잠깐씩 개입할 뿐 토론의 대부분은 아동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는 대부분의 아동들이 속한 단계보다 한 단계 정도 수준 높은 주장을 격려했다. 만약 대부분의 아동들이 3단계의 착한 아이 지향에 있다면, 그는 4단계의 법과 질서 지향에 관한 주장을 암묵적으로 격려함으로써 아동들이 자신의 도덕적 사고에 갈들을 유발하고, 그 갈등을 해소하여 다음 단계의 사고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왔다.
콜버그의 도덕교육은 인지발달 이론에 기초한다. 그는 ‘인지’를 도덕성 발달의 핵심으로 본다. 그러므로 인지의 발달은 중심으로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과정을 도덕교육으로 본다. 도덕교육을 이와 같이 생각하는 콜버그는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로서, 인지갈등의 조성과 역할 채택의 자극을 제시한다.
한편, 콜버그는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3수준 6단계의 도덕발달 단계를 제시했다. 콜버그에 있어서 도덕교육은 아동 학생들의 도덕발달 단계를 진단하고, 이어서 그들을 현재의 단계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다음 단계의 도덕적 사고방식에 노출시킴으로써 인지갈등을 일으키게 하고, 그 과정에서 동시에 역할채택을 자극하는 교육을 일정기간 지속함으로써 단계의 상향 이동을 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덕성의 발달을 자극 또는 촉진하는 과정을 도덕교육으로 보는 콜버그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가설적 딜레마’를 사용했다. 가설적 딜레마는 실제적 딜레마 또는 문제보다 더 복잡하고 더 도전적인 사고를 이끌 수 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제시된 가설적 딜레마를 죽심으로 아동 학생들의 인지갈등과 역할채택이 작용할 수 있도록 이른바 소크라테스적 대화에 의한 수업이 콜버그가 처음에 주로 사용한 도덕교육의 접근법이다. 이 접근법은 도덕교육의 목표를 원리의 수준에 두었다. 그러므로 인습의 도덕을 소홀히 하였다. 인지의 발달에 주로 관심을 가진 이 접근법은 형식, 구조, 사고방식에 비중을 둔 나머지 내용과 이의 전달방법에 소홀하였다. 또한, 인지발달에의 관심은 도덕성의 정서 감정적 측면에도 소홀하였다. 이는 동시에 판단과 행동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도덕성 요소로서의 인습, 내용, 정서 감정, 행동 등에 대한 콜버그의 관심의 부족은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후기에 이르러 콜버그는 이와 같은 비판을 수용하였다. 그러므로, 가설적 딜레마를 중심으로 한 교실수업 접근법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 수정, 보완된 접근법이 이른바 ‘정의 공동체 접근법’이다.
콜버그가 전기의 그의 접근법에 실수를 인정하게 된 주요 이유는, 그가 발달심리학 연구를 위해 중요한 것은 동시에 교실의 교사들에게도 중요하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로부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의 대한 결론을 이끄는 것과 심리학자가 심리학적 실험과 연구에 의해 발견한 교육현장의 실제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심리학자의 오류를 인정하고 새롭게 수정, 보완한 후기의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은 더 이상 아동 학생들의 도덕교육의 목표를 원리에 수준에 두지 않았다.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원리의 단계에까지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도덕교육의 목표를 인습수준에 둔 정의 공동체 접근은 인습의 도덕을 위해 내용의 도덕교육을 추론의 도덕교육과 병행하게 되었다. 인지도덕적 판단과 함께 정서 감정적 행동도 함께 다루게 되었다.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지지적 접근법도 제시하였다. 정의 공동체 접근은 이와 같은 내용의 도덕교육을 위해 가설적 딜레마보다는 실제적 문제를 다룬다. 즉, 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한 접근보다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존한다. 개인적 차원의 도덕성 발달보다는 집단적 차원의 도덕성 발달에 관심 가진다. 그러므로 집단의 사회 정치적 차원에 관심을 가진다. 참여 민주주의 또는 정의 공동체 자체를 도덕의 원리로 보고 이의 적용에 의한 공민교육을 도덕교육의 목적으로 한다.
콜버그의 전기 이론과 후기 이론은 다 함께 도덕발달 이론이라는 점에서, 아동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촉진하는 것이 도덕교육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토의 또는 논의를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하는 점에서 같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다만, 그 접근의 과정에서 전 후기에 그가 비중을 둔 측면이 다를 뿐이다. 전기에는 교실에서 가설적 딜레마를 중심으로 아동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을 통한 도덕성 발달을 촉진하여 했고, 후기에는 공동체로서의 학교의 분위기 변화에 의해 도덕적 행동을 통한 도덕성 발달을 촉진하려 했다.
< 참 고 문 헌 >
1. 권준모 저, 심리학과 교육, 학지사, 1998
2. 최창호 저, 20세기를 빛낸 심리학자, 학지사, 2002
3.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편,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교육과학사, 2000
4. 남궁달화 저,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철학과현실사, 1995
5. 요슈타인 가아더 지음, 소피의 세계, 현암사, 1994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1.30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