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애
Ⅱ. 시대적 배경
1. 프랑스 사회의 위기
2. 프랑스 교육의 세속화 과정
3. 사회과학적 인식론의 발전
Ⅲ. 교육사상의 두 가지 기초
1. 사회학적 인식
2. 인간관
Ⅳ. 교육사상의 특징
1. “사회화”로써의 교육의 의미
2. 교육을 통한 사회의 변화
3.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접근
Ⅱ. 시대적 배경
1. 프랑스 사회의 위기
2. 프랑스 교육의 세속화 과정
3. 사회과학적 인식론의 발전
Ⅲ. 교육사상의 두 가지 기초
1. 사회학적 인식
2. 인간관
Ⅳ. 교육사상의 특징
1. “사회화”로써의 교육의 의미
2. 교육을 통한 사회의 변화
3.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접근
본문내용
도덕성의 세 가지 요소인 훈련정신, 집단에의 애착, 그리고 자율성을 키워줌으로써 사회성원들로 하여금 이기적인 욕망을 제어하고 집단 이익을 위해 행동하도록 해야 한다. 훈련정신은 각 개인들 안에 규칙성의 경향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규칙성이 밖으로의 행동을 결정하고 그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굴복하도록 한다. 또한 도덕은 개인적인 이해를 넘어서서 집단적인 이해를 고려하게 하는 인간 행동 안에 있다. 도덕은 타인, 사회, 집단과의 애착에서부터 시작된다. 뒤르케임은 이것을 가족, 조국, 인류라고 보았다. 또한 도덕은 자율정신을 전제로 한다. 자율성이란 우리 행동의 이유를 알고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성이 이성적인 방식을 통하여 아이들 안에서 키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로 새로운 도덕교육의 과제이다.
3.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접근
뒤르케임은 ‘프랑스 교육의 역사’라는 책에서 프랑스 교육에서 사용되었던 교수법들을 당시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뒤르케임의 책 중에서 가장 최근에 교육학 특히 교육하회학계에서 주목을 받았고 교육사회학에서의 지식사회학적인 접근에 기여하였다. 책에서 뒤르케임은 사회의 이데올로기 투쟁이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있다. 뒤르케임의 분석은 거시적인 측면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뒤르케임은 교사집단의 역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가 교사 양성에 관여했던 것도 이유가 되겠고 프랑스 혁명이후 교육의 세속화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했던 것도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뒤르케임은 교육의 변화와 관련하여 교육의 다양성과 가변성 문명에 따라 다르고 또한 시대에 따라 다르다고 보았다. 문명의 변화라는 거대한 흐름이 교육변화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만 각 사회 안의 집단들의 상호관계가 또한 변화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에 관한 지식사회학적인 뒤르케임의 생각을 쉐르카우이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모든 교육체제는 그것이 기초와 내용과 형태가 영구적이던 변화하던 사회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둘째, 교육체제의 목적은 사회화다.
셋째, 그러나 이런 사회구조의 결정은 전적인 것은 아니다.
넷째, 교육체제는 이념 투쟁의 수단이고 그것의 효율성은 역사의 각각 다른 순간에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뒤르케임의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단지 지식사회학적 연구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있지 않다. 교육연구와 관련하여 이 책의 생각들을 통해 뒤르케임이 기여한 것은 또한 비교 연구이다. 그는 각 시대의 교육을 기술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역사 사회적 분석에 기초하여 비교하고 있다. 뒤르케임은 또한 교육제도의 발전에서 나타나는 다양성과 동질성에 관심을 갖는다. 동질성과 이질성 사이의 공존 내지 그 안에서의 유기적 연대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 교육제도들이 어떤 관계 속에서 발전해 가는 지를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뒤르케임의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은 이 책에서도 계속된다. 그의 교육이란 어린이들에게 많은 지식을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어른이 되어서 까지 어떤 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느낄 수 있도록 깊은 내면적 상태를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인간 삶에는 무의식의 차원을 포함하는 심리적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 대한 보다 많은 설명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뒤르케임의 교육사상은 한 마디로 교육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필요에서 나온 것이며 이 필요를 사회과학을 통하여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데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교육과 관련된 모든 강의와 글들은 사회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실질적인 사회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3.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접근
뒤르케임은 ‘프랑스 교육의 역사’라는 책에서 프랑스 교육에서 사용되었던 교수법들을 당시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뒤르케임의 책 중에서 가장 최근에 교육학 특히 교육하회학계에서 주목을 받았고 교육사회학에서의 지식사회학적인 접근에 기여하였다. 책에서 뒤르케임은 사회의 이데올로기 투쟁이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있다. 뒤르케임의 분석은 거시적인 측면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뒤르케임은 교사집단의 역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가 교사 양성에 관여했던 것도 이유가 되겠고 프랑스 혁명이후 교육의 세속화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했던 것도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뒤르케임은 교육의 변화와 관련하여 교육의 다양성과 가변성 문명에 따라 다르고 또한 시대에 따라 다르다고 보았다. 문명의 변화라는 거대한 흐름이 교육변화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만 각 사회 안의 집단들의 상호관계가 또한 변화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에 관한 지식사회학적인 뒤르케임의 생각을 쉐르카우이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모든 교육체제는 그것이 기초와 내용과 형태가 영구적이던 변화하던 사회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둘째, 교육체제의 목적은 사회화다.
셋째, 그러나 이런 사회구조의 결정은 전적인 것은 아니다.
넷째, 교육체제는 이념 투쟁의 수단이고 그것의 효율성은 역사의 각각 다른 순간에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뒤르케임의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단지 지식사회학적 연구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있지 않다. 교육연구와 관련하여 이 책의 생각들을 통해 뒤르케임이 기여한 것은 또한 비교 연구이다. 그는 각 시대의 교육을 기술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역사 사회적 분석에 기초하여 비교하고 있다. 뒤르케임은 또한 교육제도의 발전에서 나타나는 다양성과 동질성에 관심을 갖는다. 동질성과 이질성 사이의 공존 내지 그 안에서의 유기적 연대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 교육제도들이 어떤 관계 속에서 발전해 가는 지를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뒤르케임의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은 이 책에서도 계속된다. 그의 교육이란 어린이들에게 많은 지식을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어른이 되어서 까지 어떤 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느낄 수 있도록 깊은 내면적 상태를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인간 삶에는 무의식의 차원을 포함하는 심리적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 대한 보다 많은 설명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뒤르케임의 교육사상은 한 마디로 교육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필요에서 나온 것이며 이 필요를 사회과학을 통하여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데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교육과 관련된 모든 강의와 글들은 사회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실질적인 사회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