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와 밀 그리고 보리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벼>
1. 벼의 의의
2. 벼의 기원
3. 벼의 생육과 재배

<밀>
1. 밀의 의의
2. 밀의 기원
3. 밀의 생육과 재배

<보리>
1. 보리의 의의
2. 보리의 기원
3. 보리의 생육과 재배

본문내용

것이다 .
한편, 덴마크의 고고학자 Helbaek(1953)은 이라크 동북 산간지의 산기슭에서 발굴된 Jarmo라는 고대유적에서 대체로 7,000∼10,000년이라고 추정되는 보리재배의 흔적을 발견하였다. 그는 그곳에서 einkorn형과 emmer형의 밀과 더불어 보리의 이삭에서 눌린 흔적이나 탄화된 이삭의 단면을 발견하였는데, 이 보리는 2조형의 이삭형태와 재배형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소수의 비탈락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Jarmo의 유적은 인류 최초의 농경문화를 여는데 보리가 끼친 영향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2조종보리 재배의 최초의 기록은 서기 원년경에 그리스나 로마의 역사에서 발견된다. Clark(1963)는 8-9세기경에 회교도와의 문화교류를 통해서 2조종이 남부로 전파되었다고 하였다. 현재 2조종 보리는 아프가니스탄 서쪽, 유럽, 북아프리카, 러시아 지역에 국한하여 분포하고 있는 반면, 6조종은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사실에 비추어 인류가 가장 먼저 재배한 보리는 6조종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한편, 재배종보리의 최초의 경작지역은 근동(Near East)지역의 Fertile Crescent라고 추정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이스라엘, 시리아 및 요르단을 거쳐서 이란서부의 Zagros산맥지역을 포함한다.
서남아시아 등 동방으로부터 유럽 등 서방지역으로의 전파는 중-신석기시대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믿어지며, 기원전 6,000년경에는 그리스에까지 보리 재배가 전파되었다고 한다. 구석기시대로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는 과도기경의 중부유럽, 특히 프랑스의 유적과 신석기시대에 속하는 스위스, 사보이, 이탈리아 등지의 호서인 (湖棲人, 기원전 2,000∼3,000)의 수변거주지 유적에서 발견되는 보리가 이러한 재배역사를 뒷받침한다. 성서의 기록들도 보리가 구약시대에 식량으로 이용되었음을 나타낸다. 고대 로마의 투사(鬪士)들은 "hordearii"라고 알려졌는데, 이는 그들이 보리는 체력(體力)의 근원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지역에의 전파는 그 연대가 확실하지는 않으나 유럽에서처럼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000년경의 아프리카 고대왕조 유적에서는 6조종이 발견되고 2조종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집트의 Nile계곡에 있는 유적지에서는 2조 야생종(H. spontaneum)으로부터 재배종 보리까지 다양한 종자크기를 가진 보리의 흔적이 발굴되었다. 북미지역에서의 재배역사는 영국으로부터의 초기 개척 이주자에 의하여 1602년에 재배종 보리가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캐나다에서는 1606년부터 재배되었다.
동아시아지역으로의 보리전파는 지금도 야생형이 분포하는 근동지역에서 인도의 인더스강 유역을 통해 중국의 산간지를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고 다시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재배도 6조종을 중심으로 오래 전에 시작된 것으로 믿어진다. 기원전 2,700년경의 神農시대의 五穀 파종양식에 보리가 포함되어 있고, 귀갑이나 골편 등 당시의 생활문화 양식에 보리의 형상이 발견되므로 이는 중국에서의 보리재배 역사가 상당함을 알려준다. 그동안의 유적에 의하면 중국에서는 약 4,000년 전에 이미 보리가 재배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 인도에서도 힌두교의 종교예식에서 보리가 사용됨으로써 오랜 재배역사를 나타낸다. 일본의 겉보리는 한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B.C. 100∼A.D. 200년경부터 보리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식용으로서의 보리의 이용에 대하여, 호밀과 더불어 보리로 만들어진 빵은 15세기 영국에서 농민들의 주식(主食)이 되었다. 최근인 20세기 초반만해도 보리는 덴마크 농촌지역의 주된 식량이었다. 근동 및 극동 국가들의 농촌지역 사람들에게 보리는 주요 식량곡물중의 하나로 남아있다. 영양적인 측면에서 보리는 밀과 유사하거나 훨씬 높은 잠재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보리는 빵밀의 식미성, 제분성, 제빵성과 비교하여 식용으로서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3. 우리나라에서의 재배역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보리는 중국으로부터 2가지 경로를 통하여 도입된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들은 중국북부로부터 만주를 거쳐서 한국의 북부지방으로 전래되는 육상경로와 양자강유역에서부터 황해 및 남해에 면한 한반도지역에 전래되는 해상경로이다(농촌진흥청, 1979). 보리가 한반도지역으로 전파되어 재배되기 시작한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지만, 선사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유적에서 출토된 종자를 포함한 농경흔적에서 간접적으로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초반까지도 경북 경주시 반월성벽(半月城壁)에서 서기 300년대로 추정되는 맥류의 흔적과 충남 부여읍 부소산성(扶蘇山城)의 군창지(軍倉趾)에서 서기 700년경의 보리를 포함한 곡물의 흔적을 발견한 것 등이 전부였다. 이 후의 보고에 의하면, 1976년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 12호 집터에서 겉보리의 탄화곡물이 출토되었는데, 기원전 10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박 1996). 가장 최근인 1995년 충청남도 보령군 평라리 선사유적의 집터 안에서 보리, 밀 등이 탄화된 상태로 콩, 동부 등과 함께 발견되었다. 평라리 유적에서 발굴된 고인돌의 연대가 기원전 5세기 안팎으로 가늠되므로 이 지역에서 발견된 곡물의 흔적은 흔암리의 것보다 약간 늦은 그 후대일 가능성이 많다. 현재까지의 이러한 고고학적 추정에 의하면 한국에서 보리가 재배된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3,000년 전쯤으로 보인다.
문헌상 한반도지역에서 보리의 最古 재배기록은 중국의 고서(古書)인 후한삼국지(後漢三國志), 위지동이전(魏之東夷傳, A.D. 297)에서 발견된다. 이에 의하면 진한(辰韓, 현재의 경남)에서 五穀을 이미 재배하였으므로 맥류재배는 3세기 중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농촌진흥청, 1979). 한편, 우리나라의 문헌상 보리에 관한 내용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연의 삼국유사에 의하면, 기원전 1세기경에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이 부여왕조의 박해를 피하여 남하하였을 때 그의 생모인 유화부인이 비둘기를 이용하여 보리종자를 아들에게 전해주었다고 한다.

키워드

,   보리,   ,   재배방벙,   재배,   기원,   의의,   생육
  • 가격1,1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1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