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훈민정음의우수성 훈민정음의 창제원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 훈민정음의우수성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훈민정음의 창제동기

2.훈민정음의 원리
2-1.제자원리와 독창성
2-2 닿소리의제자원리
2-3 홀소리의 제자원리

3.한글의 우수성과 가치

참고문헌

본문내용

(쌍니은)` 글자의 소리들이라, 이 글자 모양도 비슷하게 만들어 졌다. 이 소리들을 모두 혓소리 또는 앞혓소리라고 부른다. [느]는 아주 부드러운 소리이고 [드]는 그보다 굳은 소리이기 때문에 \'\'에 금을 하나 더해서 \'\'을 만들었다. \'\'에서 \' \'이 나온 이치는 앞의 \'\'에서 \' \'이 나온 이치와 같다. 역시 \'\'에서 번져 나온 것이 \'(리을)\' 글자인데, 그 소리가 부드러움에도 불구하고 금이 많이 덧붙었다는 점에서 예외적이다. 그 소리는 혀끝이 와 비슷한 자리에 닿되 혀의 모양이 많이 구부러지거나 떨게 되는 반혓소리다. 이 글자도 혀의 옆 모습을 본떴음을 짐작할 수 있다.
\'(미음)\'이란 글자는 이 글자의 소리를 낼 때 아래위의 두 입술이 붙기 때문에 입의 모양을 본뜨고 모나게 다듬은 것이다. 이 글자의 소리를 낼 때와 마찬가지로 두 입술을 붙이고 내는 소리가 \'(비읍), (피읖), (쌍비읍)\' 글자의 소리들이라, 이들도 \'\' 한 글자에서 번져 나간 것이다. [므]는 아주 부드러운 소리이고 [브]는 그보다 굳은 소리이기 때문에 \'\'에 두 뿔을 더해서 \'\'을 만들었다. \'\'글자에 아래로 두 발을 붙이고 옆으로 눕힌 것이 \'\' 글자이고, \'\' 글자를 두 개 겹친 것이 \'\' 글자이다. 이처럼 \'\'에서 \', \'이 나온 이치는 \'\'에서 \', \'이 나온 이치와 같다. 이 글자들의 소리를 모두 입술소리라고 부른다.
\'(시옷)\'이란 글자는 이 글자의 소리를 낼 때 혀끝과 윗니 사이를 좁히고 그 사이로 바람을 스쳐 내게 되기 때문에 이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이 글자의 소리보다 더 되게 나는 소리를 적기 위해서 겹쳐 만든 것이 \'(쌍시옷)\' 글자이다. 또 이 글자의 소리보다 더 굳게 나는 소리를 적기 위해서 금을 더해 만든 것이 \'(지읒)\'이고, 이 \'\'보다 더 되게 나는 소리를 적기 위해서 다시 겹쳐 만든 것이 \'(쌍지읒)\'이다. 이런 소리들을 묶어서 잇소리라고 부른다. 역시 \'\'에서 번져 나온 것이 \'(반시옷)\'인데, 그 소리가 더 부드러움에도 불구하고 금이 더해 졌다는 점에서 예외적이다. 그 소리는 혀끝이 [스]와 같은 자리에 있으면서 혀끝을 울려 내는 반잇소리이다.
\'(이응)\'이란 글자는 목청이 울리는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서 목구멍의 동그란 단면을 본뜬 것이다. 마찬가지로 목청에서 나되 그보다 더 굳은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 글자에 금을 얹어 \'(된이응)\'을 만들었다. 이 \'\'의 소리는 이를테면 \"앗! 안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0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