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자해 1
초성해 3
중성해 4
종성해 4
합자해 4
용자례 5
동인지 서문 6
한글의 우수성 6
레포트를 하면서 8
초성해 3
중성해 4
종성해 4
합자해 4
용자례 5
동인지 서문 6
한글의 우수성 6
레포트를 하면서 8
본문내용
늘의 작용임)
-초성은 혹 허하고 혹 실하고, 혹 날리며 혹 걸리고 혹 무겁고 혹 가벼우니 오행의 바탕을 이루는 것
(땅의 功)
-초성이 종성이 되는 것은 만물이 처음 땅에서 생겨나서 땅으로 돌아감을 가히 볼 수 있음
-초성은 발동의 뜻이 있고 하늘의 일이며 종성은 멈추는 뜻이 있으니 땅의 일이며 중성은 초성을 일으켜 종성과 접하여 이룸이니 사람의 일임
-중성은 글자 운의 요체인데 초성과 종성을 합하여 음을 이루기 때문
-정음을 제작하는 것은 천지만물의 이치를 생각한 것
(하늘은 음과 양을 주관하고 다스리는데 이것은 一元으로서 기운이 두루 흘러 끊이지 아니하고 사계 절기운의 순환이 끝나지 아니한 것으로 貞이 다시 元이 되고 겨울이 다시 봄이 되고 초성이 다시 중 성이 되며 중성이 다시 초성이 되는 것)
初聲解
초성은 音書의 字母와 같음
ㄱ, ㅋ, ㄲ, ㆁ은 어금니 소리
ㄷ, ㅌ, ㄸ, ㄴ은 혓소리
ㅂ, ㅍ, ㅃ, ㅁ은 입술소리
ㅈ, ㅉ, ㅊ, ㅅ, ㅆ은 잇소리
ㆆ, ㅎ, ㆅ, ㅇ은 목구멍소리
ㄹ은 반혓소리 ㅿ은 반잇소리
총 23자의 자모
#제자해에는 초성은 17자라고 했으나 全濁의 ㄲ ㄸ ㅃ ㅆ ㅉ ㆅ를 합쳐 23자가 됨
中聲解
-훈민정음의 종성은 중국 음운학에 없는 독자적인 것
-중성은 글자의 운 가운데서 초성과 종성을 합하여 음을 이룸(종성은 음의 중심을 이룸)
-기본자(3), 초출자(4), 재출자(4) 모두 11자
-11자 외에 중성의 합용(두 자 이상을 합해서 쓰는 것)에 의한 모음 있음
(양성은 양성끼리 음성은 음성끼리 어울리는 것/ l 모음은 양성. 음성 어디에도 어울림)
-하나의 글자로 된 중성이 l 와 서로 합한 것(ㅢ ㅘ ㅝ ㅚ ㅐ ㅟ ㅔ ㆉ ㅒ ㅖ
-두 글자로 된 중성과 l 가 서로 합한 것(ㅙ ㅞ ㆈ ㆋ)
終聲解
-종성은 초성과 중성을 이어서 글자의 운을 이룸
-소리에는 느리고 급한 특수함이 있으니 평성, 상성, 거성은 종성이 입성의 빠름과 같지 않음
-불청불탁의 글자(ㆁㄴㅁㅇㅎㅿ)는 그 소리가 세지 않아서 종성에 사용한즉 평성 상성 거성이 됨
-전청 차청 전탁의 글자는 그 소리가 세서 종성에 사용한즉 입성이 됨
-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여덟 자만으로 사용에 족함(훈민정음 원본이 1940년 발견되어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었을 때는 훈민정음 앞부분인 終聲復用初聲의 원칙 적용함)
-예의에는 종성부용초성의 원칙을 해례 종성해는 八終聲法을 따름
예)곶 < 배꽃(梨花) , 의 갗 < 여우의 가죽
-ㄱ ㆁ ㄷ ㄴ ㅂ ㅁ 여섯 소리는 한자와 우리말에 두루 통함/ㅅ ㄹ은 우리말(옷과 실)에 사용
-五音에는 緩急있음(그 각각은 스스로 대립)
-牙音의 ㆁ과 ㄱ , 설음의 ㄴ과 ㄷ, 순음의 ㅁ과 ㅂ, 치음의 ㅿ과 ㅅ, 후음의 ㅇ과 ㆆ은 전자 가 급하게 변한즉 급해서 후자가 되고, 후자가 천천히 나오면 느려서 전자로 변함
-半舌音 ㄹ은 明에서 들어온 한자음 ㄷ받침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ㄹ받침으로 변화된 것
合字解
-초성 중성 종성의 세 소리가 합해지면 글자를 이룸
-초성은 중성 위에 혹은 중성 좌측에 있음
-중성의 동그란 것과 가로로 된 것(ㆍ ㅡ ㅗ ㅜ ㅠ)은 초성의 아래에 있고 세로로 된 것(ㅣ ㅏ ㅑ ㅓ ㅕ)은 초성의 우측에 있음
-종성은 중성의 아래에 있음
-초성의 2자 3자 합용병서에는 ㆍ(땅) (짝) (틈)이 있음
-각자병서에는 ㆍ혀(舌)ㆍ(引) 괴ㆍ여(내가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 괴ㆍ(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는 것) 소ㆍ다(물건을 쏟아버리는 것) 쏘ㆍ다(활을 쏘는 것)
-중성의 2자 3자 합용에는 ㆍ과(거문고의 줄을 받치고 있는 기둥) ㆍ홰(불을 붙이는 홰와 같은 것들)
-종성의 2자 3자 합용에는 (흙) ㆍ
-초성은 혹 허하고 혹 실하고, 혹 날리며 혹 걸리고 혹 무겁고 혹 가벼우니 오행의 바탕을 이루는 것
(땅의 功)
-초성이 종성이 되는 것은 만물이 처음 땅에서 생겨나서 땅으로 돌아감을 가히 볼 수 있음
-초성은 발동의 뜻이 있고 하늘의 일이며 종성은 멈추는 뜻이 있으니 땅의 일이며 중성은 초성을 일으켜 종성과 접하여 이룸이니 사람의 일임
-중성은 글자 운의 요체인데 초성과 종성을 합하여 음을 이루기 때문
-정음을 제작하는 것은 천지만물의 이치를 생각한 것
(하늘은 음과 양을 주관하고 다스리는데 이것은 一元으로서 기운이 두루 흘러 끊이지 아니하고 사계 절기운의 순환이 끝나지 아니한 것으로 貞이 다시 元이 되고 겨울이 다시 봄이 되고 초성이 다시 중 성이 되며 중성이 다시 초성이 되는 것)
初聲解
초성은 音書의 字母와 같음
ㄱ, ㅋ, ㄲ, ㆁ은 어금니 소리
ㄷ, ㅌ, ㄸ, ㄴ은 혓소리
ㅂ, ㅍ, ㅃ, ㅁ은 입술소리
ㅈ, ㅉ, ㅊ, ㅅ, ㅆ은 잇소리
ㆆ, ㅎ, ㆅ, ㅇ은 목구멍소리
ㄹ은 반혓소리 ㅿ은 반잇소리
총 23자의 자모
#제자해에는 초성은 17자라고 했으나 全濁의 ㄲ ㄸ ㅃ ㅆ ㅉ ㆅ를 합쳐 23자가 됨
中聲解
-훈민정음의 종성은 중국 음운학에 없는 독자적인 것
-중성은 글자의 운 가운데서 초성과 종성을 합하여 음을 이룸(종성은 음의 중심을 이룸)
-기본자(3), 초출자(4), 재출자(4) 모두 11자
-11자 외에 중성의 합용(두 자 이상을 합해서 쓰는 것)에 의한 모음 있음
(양성은 양성끼리 음성은 음성끼리 어울리는 것/ l 모음은 양성. 음성 어디에도 어울림)
-하나의 글자로 된 중성이 l 와 서로 합한 것(ㅢ ㅘ ㅝ ㅚ ㅐ ㅟ ㅔ ㆉ ㅒ ㅖ
-두 글자로 된 중성과 l 가 서로 합한 것(ㅙ ㅞ ㆈ ㆋ)
終聲解
-종성은 초성과 중성을 이어서 글자의 운을 이룸
-소리에는 느리고 급한 특수함이 있으니 평성, 상성, 거성은 종성이 입성의 빠름과 같지 않음
-불청불탁의 글자(ㆁㄴㅁㅇㅎㅿ)는 그 소리가 세지 않아서 종성에 사용한즉 평성 상성 거성이 됨
-전청 차청 전탁의 글자는 그 소리가 세서 종성에 사용한즉 입성이 됨
-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여덟 자만으로 사용에 족함(훈민정음 원본이 1940년 발견되어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었을 때는 훈민정음 앞부분인 終聲復用初聲의 원칙 적용함)
-예의에는 종성부용초성의 원칙을 해례 종성해는 八終聲法을 따름
예)곶 < 배꽃(梨花) , 의 갗 < 여우의 가죽
-ㄱ ㆁ ㄷ ㄴ ㅂ ㅁ 여섯 소리는 한자와 우리말에 두루 통함/ㅅ ㄹ은 우리말(옷과 실)에 사용
-五音에는 緩急있음(그 각각은 스스로 대립)
-牙音의 ㆁ과 ㄱ , 설음의 ㄴ과 ㄷ, 순음의 ㅁ과 ㅂ, 치음의 ㅿ과 ㅅ, 후음의 ㅇ과 ㆆ은 전자 가 급하게 변한즉 급해서 후자가 되고, 후자가 천천히 나오면 느려서 전자로 변함
-半舌音 ㄹ은 明에서 들어온 한자음 ㄷ받침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ㄹ받침으로 변화된 것
合字解
-초성 중성 종성의 세 소리가 합해지면 글자를 이룸
-초성은 중성 위에 혹은 중성 좌측에 있음
-중성의 동그란 것과 가로로 된 것(ㆍ ㅡ ㅗ ㅜ ㅠ)은 초성의 아래에 있고 세로로 된 것(ㅣ ㅏ ㅑ ㅓ ㅕ)은 초성의 우측에 있음
-종성은 중성의 아래에 있음
-초성의 2자 3자 합용병서에는 ㆍ(땅) (짝) (틈)이 있음
-각자병서에는 ㆍ혀(舌)ㆍ(引) 괴ㆍ여(내가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 괴ㆍ(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는 것) 소ㆍ다(물건을 쏟아버리는 것) 쏘ㆍ다(활을 쏘는 것)
-중성의 2자 3자 합용에는 ㆍ과(거문고의 줄을 받치고 있는 기둥) ㆍ홰(불을 붙이는 홰와 같은 것들)
-종성의 2자 3자 합용에는 (흙) ㆍ
추천자료
한글의 우수성 훈민정음 모아쓰기 우리말우리글 문자생활의역사 한국어
한글의 우수성과 외국인들의 평가
훈민정음 창제와 한글의 우수성
한글의 우수성 훈민정음 한글의 과학성
한글의 우수성과 한글전용주의의 필요성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
훈민정음(한글) 역사적 의미, 훈민정음(한글) 배경, 훈민정음(한글) 중요성, 훈민정음(한글) ...
훈민정음(한글)의 특징, 훈민정음(한글)의 목적, 훈민정음(한글)의 원리, 훈민정음(한글)의 ...
[한글][한글맞춤법][한글 특징][한글 우수성][한글맞춤법 원칙][한글맞춤법 위반 사례]한글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