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시골’
1)정의
2)유의어 & 반의어
3)방언
4)최초출현형
5)변천과정
3.종합설명 & 결론
4.참고문헌
2.‘시골’
1)정의
2)유의어 & 반의어
3)방언
4)최초출현형
5)변천과정
3.종합설명 & 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2.
‘시골’
1)
정의
2)
유의어 & 반의어
3)
방언
4)
최초출현형
5)
변천과정
3.
종합설명 & 결론
4.
참고문헌
1. 개요
어원조사에 앞서 시골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정의와 예문을 알아보았다. 시골의 최초출현형과 변천과정을 조사하고, 그 언어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옛말에 대한 용례를 깜짝새 프로그램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또한, 변천과정을 쉽게 설명 하기위해 지역별 방언도 조사하였다.
2. ‘시골’
■ 정의
「명」, [시골]
1) 도시에서 떨어져 있는 지역. 주로 도시보다 인구수가 적고 인공적인 개발이 덜 돼 자연을 접하기가 쉬운 곳을 이름.
2) 도시로 떠나온 사람이 고향을 이르는 말.
~내기 / ~뜨기 / ~티
※ 시골내기 → 시골에서 나서 자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시골 놈이 서울 놈 못 속이면 보름씩 배를 앓는다.
→ 어수룩한 듯한 시골 사람이 오히려 서울 사람을 더 잘 속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골 깍쟁이 서울 곰만 못하다.
→ 서울 사람이 시골 사람보다 몹시 인색하고 박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유의어 & 반의어
● 유의어
교허(郊墟): 「명」 마을 가까이에 있는 들과 언덕.
전간(田間): 「명」 밭과 밭 사이.
촌(村): 「접사」 (일부 명사에 붙어)\'마을\' 또는 \'지역\'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반의어
서울: 「명」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도시(都市): 「명」 일정한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 방언
● 강원도
벽지, 시구울, 시굴, 초ːㄴ, 촌
● 충청도
개요
2.
‘시골’
1)
정의
2)
유의어 & 반의어
3)
방언
4)
최초출현형
5)
변천과정
3.
종합설명 & 결론
4.
참고문헌
1. 개요
어원조사에 앞서 시골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정의와 예문을 알아보았다. 시골의 최초출현형과 변천과정을 조사하고, 그 언어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옛말에 대한 용례를 깜짝새 프로그램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또한, 변천과정을 쉽게 설명 하기위해 지역별 방언도 조사하였다.
2. ‘시골’
■ 정의
「명」, [시골]
1) 도시에서 떨어져 있는 지역. 주로 도시보다 인구수가 적고 인공적인 개발이 덜 돼 자연을 접하기가 쉬운 곳을 이름.
2) 도시로 떠나온 사람이 고향을 이르는 말.
~내기 / ~뜨기 / ~티
※ 시골내기 → 시골에서 나서 자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시골 놈이 서울 놈 못 속이면 보름씩 배를 앓는다.
→ 어수룩한 듯한 시골 사람이 오히려 서울 사람을 더 잘 속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골 깍쟁이 서울 곰만 못하다.
→ 서울 사람이 시골 사람보다 몹시 인색하고 박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유의어 & 반의어
● 유의어
교허(郊墟): 「명」 마을 가까이에 있는 들과 언덕.
전간(田間): 「명」 밭과 밭 사이.
촌(村): 「접사」 (일부 명사에 붙어)\'마을\' 또는 \'지역\'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반의어
서울: 「명」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도시(都市): 「명」 일정한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 방언
● 강원도
벽지, 시구울, 시굴, 초ːㄴ, 촌
● 충청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