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의 이해, 민요와 무가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학의 이해, 민요와 무가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민요>
1. 머리말
2-(1)민요의정의
2-(2)민요의분류
2-(3)민요의특징
2-(4)민요의 가창방식

<무가>
1. 무가의 개념
2. 무가의 특성
3. 무가의 문학적 기능 구조으로서의 분류
- 서정무가
- 교술무가
- 서사무가
- 희곡무가
4. 무가의 세계
5.민요와 무가의 맺음말

본문내용

의지를 인간에 전하기도 하기 때문에 누가 하는 말이냐에 따라 신의 언어(공수)와 인간의 언어(축원)로 나누어진다. 이처럼 무가는 신을 상대로 한 언어라는 점에서 다른 구비문학인 민요나 판소리 등과 다른 특징을 가진다.
2-(2) 무가의 특성
① 주술, 종교성이다.
무가는 굿이라는 주술,종교적 의례에서 연행되는 까닭에 주술,종교성을 지닌다. 굿에서 신을 청배하여 신을 청자로 삼아 신을 예찬하면서도 한편으론 일정한 의례적 수단과 언 어로써 복을 빌고 화를 피하고자 하는 것은, 종교적이면서도 주술적이다.
이와 같이 무가는 신을 청자로 삼아 이루어지는 신과 인간의 대화이며, 신에 대한 언 어이기 때문에 여타의 구비문학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주고받는 언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이것은 무가만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② 연행과 전승의 제한성이다.
무가는 무당이라는 무속의 전문집단에 의해서만 구전되고 굿이라는 무속의례에서만 연행 된다. 그러므로 다른 구비문학보다 복잡하고 세련되어 있어 예술성이 풍부하다. 무가의 이런 제한성은 하나의 한계이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자료들을 오래도록 보존하게 하고, 뛰어난 문학성을 지니게 하는 배경이 되었다.
③ 오락적 기능이 있다.
무가에는 오락적인 요소가 많다. 그 이유는 신을 즐겁게 해야 신이 인간을 잘 도와준다는 생각에서 신을 기쁘게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그 방법은 바로 인간을 즐겁게 하는 것에서 유추된 것이기에 오락적 성격을 띠게 된 것이다.
④ 종합예술성이다.
무가는 언어, 음악, 동작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종합예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무가는 일정한 동작을 동반하여 이루어지며, 악사의 반주에 얹혀져 불려진다. 이 같은 무속의 성 격 때문에 무속의식인 굿은 음악, 무용, 연극 등의 예술성을 드러내게 되었고 민속예술의 온상이 되었다.
2-(3) 무가의 문학적 기능으로서의 분류
① 서정무가
서정무가는 신이나 인간의 주관적 정감을 표현한 무가로서 주로 신과 인간이 서로 어울 려 놀면서 부르는 분련체 노래들이 여기에 속한다. \'노랫가락\' \'대감타령\' \'창부타령\' 등 이 서정무가의 작품이다.
② 교술무가
교술무가는 무의를 진행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교술무가를 언어의 지시기능 을 중심으로 다시 나누면 무당이 신에게 하는 언어인 청배, 찬신, 축원과 신이 인간에게 전하는 말인 공수로 나누어진다. 성주축원과 망자축원이 대표적인 자료이다.
③ 서사무가
서사무가는 \'본풀이\'라고도 하는데 무속 신의 내력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속신화이고, 악기 반주에 맞추어서 많은 사람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노래로 들려준다는 점에서는 구비서사시라고 할 수 있다. \'서사무가\'는 고대에서 형성되어 현재까지 전승된 한국의 문화유산으로서 오늘날에도 굿판에서 무당에 의해 활발하게 가창되고 있다.
④ 희곡무가
\'무극\' 또는 \'굿놀이\'를 채록한 무가를 희곡무가라고 하는데 신을 청배한 이후에 신의 공수와 신과 인간이 함께 노는 유흥부분은 하나의 연극으로 볼 수 있고 여기에서 불리는 무가는 희곡적 성격을 갖는다. 즉 무당이나 그 굿에 참여한 사람들에 의해 노래로 불리거나 이야기 되는 것이다. 하지만 굿거리에서 연행되기는 하나, 굿이라고 하기보다는 연희로서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으므로 순수한 무가로 보기는 어렵다. 주요자료로는 <소놀이굿><장님놀이><거리굿><중잡이놀이>등으로 지역별로 존재하고 있다.
2-(4) 무가의 세계
(1) 서사무가의 구연방식
① 구송창 : 악기 반주를 해 주는 조무(助巫)의 협조가 없이 주무(主巫) 혼자서 북이 나 징을 치며 앉아서 단조로운 가락으로 구송하는 형태로서 말과 창의 구분이 없다.
② 연희창 : 조무의 악기 반주에 맞추어 주무는 서서 부채를 들고 무가 내용을 묘사 하는 형용을 몸짓으로 표현해 가면서 말과 노래를 번갈아 가며 구연하는 형태를 말한다.
(2) 서사무가의 주요 작품
제주도 본풀이 일반신 본풀이 : 자연 현상이나 인문현상을 지배하는 신(일반신)
당신(堂神) 본풀이 : 각 마을 수호신인 당신의 내력담
조상신 본풀이 : 조상신 본풀이는 이른 바 일월 조상의 내력담
<삼승할망 본풀이>- 일반신 본풀이
삼승할망은 산육신(産育神)의 유래인 신이며 이 신은 여성으로서 사람에게 잉태시 켜주고, 출산시켜주고, 15세까지 키워주는 신이다. 이 작품은 삼승할망의 내력담 을 담고 있다.
줄거리는 이러하다. 동해용왕 따님아기가 자라면서 여러 가지 죄를 지어 용왕이 딸 을 죽이려 하자, 어머니는 딸을 살리려고 석함에 담아 인간세계로 보내 삼승할망이 되게 하였다. 석함은 인간세계에서 물에 떠서 흘러다니다가 어느 곳에 닿았는데 그 때 자식 없는 임박사에게 발견되어 동해용왕 따님아기는 임박사의 부인을 잉태시켰 다.
그러나 해산시킬 줄을 몰라 곤경에 빠지자 옥황상제가 명진국의 따님아기를 보내 이를 해결하였다. 이에 두 처녀가 삼승할망이 되었고, 서로 다투므로 옥황상 제 가 꽃가꾸기 내기를 하게 하였는데 명진국 따님아기가 내기에 이겼다. 그리하여 명진 국 따님아기가 삼승할망이 되었고 동해용왕 따님아기는 저승에 가서 구삼승할망이 되 었다는 내용이다. 이 본풀이는 꽃가꾸기 내기에서 이긴 신이 <삶의 신>이 되고, 진 신이 <죽음의 신>이 되었다는 대립구조로서 삶의 신의 승리로 결말짓는 산신신화이 다.
그 때엔 옥황상제가 둘이 불러다 놓아
「이걸 보나 저걸 보나 명전대왕 님아기랑
인간 명진국 할마님으로 들어상
피인 집안 자손에도 강 포태를 주고
가난한 집안 자손에도 강 포태 주어
가지가지 송애송애 벌어지게 시겨주라」
동이용궁 말젯애긴 불러다
「널라근 저승 구천왕구불법으로 들어사그나
명진대왕 님애기 포태주엉 나두거든
석달만이 물로 피를 흘르게 고 다섯달 어멍
일굽달 아홉달 만이나 몸천으로 나리게 허며
법지법 마련허고 널라그네 아기 나은
사흘만이 일레만이 백일만이나 아기어멍
아기 업엉 댕겨글랑 삼도전 시커리나
사도전 니커리나 놀다가 아기 젖냄새 맞차
딸라들어 토호락징도 불러주고
밤이 되면 밤 역시 여 도락해여 울개고
낮인 되민 낮 역시 여 울게 고
혼사를 급헌매 혼일레 늦은매
정퐁청새 지엉 불러주고
아기 젖은 열다섯 시오세 안의 아기들
서천
  • 가격1,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