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정의
2.)해부 및 생리
3.)병리
4.)증상
5.)진단
6.)치료
7.) 예후
8.) 예방
Ⅲ. 간호과정
1.일반정보
2.건강력
3.신체검진
4.검사자료
5.치료
(1)약물
(2)경과
(3)간호과정에 따른 간호
Ⅳ.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1.)정의
2.)해부 및 생리
3.)병리
4.)증상
5.)진단
6.)치료
7.) 예후
8.) 예방
Ⅲ. 간호과정
1.일반정보
2.건강력
3.신체검진
4.검사자료
5.치료
(1)약물
(2)경과
(3)간호과정에 따른 간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두통, 무호흡, 간비대, 황달, 혈소샘감소
금기: 달걀.대두유 단백질에 알러지, 중증패혈증, 혈액응고 장애, 심근경색,
주의: 임부, 수유부
⑤ Baxter(강심제)
효능: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 치료시 심박출력 증가
부작용: 발진, 발열, 호산구 증가, 기관지 경련,부정맥, 혈압상승, 심계항진
주의: 심실세동환자, 심인성 쇽에 수반되는 중증의 저혈압 환자
⑥ valoin
효능: 간질과 간질에 따르는 성격 행동 장애의 치료, 수술 후 및 외상후 발작
부작용: 심한 간손상, 발작의 빈도증가, 치매, 의식 혼미, 기면상태, 혼수, 졸음, 두통
금기: 급만성간염, 간장애 환자
주의: 임부, 가임부, 췌장장애, 선청성효소 결핍환자, 골수 손상의 병력환자, 신부전
⑦ cefirad
효능: 감수성있는 세균에 의한 감염증(패혈증,화상, 수술창등의2차감염, 인후농양,
급만성기관지염, 편도염,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확장증, 방광염, 수막염)
부작용: 쇽, 과민증, 위장장애, 균교대증, 비타민 결핍증,
주의: 간,신장애 환자, 비경구 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가 나쁜환자.
⑧ netilmicin(항생제)
효능: 비뇨생식기 감염증, 피부 및 피부 연조직 감염증, 기관지염, 폐렴등 하기도 감염 증, 패혈증, 화상, 외상 및 수술 후 감염 예방
부작용: 쇽, 과민증, 간장애, 신장애, 현기증, 구역, 구토, 호흡 곤란, 청색증, 부종, 빈맥
주의: 비경구 영양 환자, 고령자, 신장애 환자
⑨ transamin(지혈제, 혈액응고제)
효능: 전신성 섬유소성 용해 항진이 관여 하는 출혈: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암
국소 섬유소성 용해 항진이 관여하는 출혈: 폐출혈
부작용: 과민증, 소양증, 발진, 혈압저하 신출혈
주의: 혈전이 있는자
⑩ parason(외용 항균제)
효능: 농피증(농가진 감염성 습진양 피부염, 모낭염, 부스럼),화상, 외상
부작용: 발진, 동통, 과민증
금기: 비감수성균에 의한 감염환자
⑪ tegretol(항경련제)
효능: 간질, 삼차 신경통, 조울병 상태
부작용: 백혈구, 혈소판 감소, 간장애, 투통
금기: 심장혈액장애, 중증의 서맥환자, 골수 억제 및 간혈성 포르피린증의 병력이 있는자
(2) 경과
5/25
BST(188)
mental: stupor
secretion 굉장히 많아 자주 suction함.
3p: 110/70 mmHg
BT: 37.8 checked.
Lt long leg splint change.
BP 120mmHg 전,후로 유지되며 O2 saturation 98% check.
venturi-mask O2 3L. apply 중이며 호흡양상은 양호함.
입술 주위로 ulcer 심함.
acrova oint apply 후 mediform 사용하여 Dressing done.
6/1
BST(163)
mental: stupor state.
pupur 2(-) / 2(-)
BT: 37.7 , BP: 110/70mmHg.
가래 양 많아 suction 자주함
(coughing 유도하면서 겨우 suction 중임. 효과적인 가래 제거는 X.)
O2 saturation 98%. 호흡양상은 양호함
NPO 상태임
6/5
BST(100) check.
Mental stupor state.
O2 saturation 99%. 호흡양상은 양호함
BT: 37.8
secretion 여전히 많으심.
1시50분: tracheostomy 시행함.
2시20분: tracheostomy 마침.
tracheostomy 후, ABGA: 7.495/40.2/196/8.1/31.4/32.6/99.8/ check.
O2 4L 1L change 후 6p f/u 예정임.
tracheostomy site로 O2 1L apply 중임.
BP: 100/60mmHg. fever sign(-)
EKG(m) keep state
SaO2 99% check.
secretion 양은 보통이며 Blood한 양상보임.
(3)간호과정에 따른 간호
간호진단 : #1 신체기동성장애
<이론적 근거>
거동을 할 수 없는 사람은 혈전이 올수가 있으며 근육마비까지 올수 있 다.
간호목표
환자의 관절운동을 시켜 근육을 이완한다.
간호계획
1.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수동적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2. 발판을 대어준다.
3. 체위 변경을 자주 한다.
4. 보조기구 착용 후 수동적 관절 운동을 한다.
5. 혈전방지용 보호대를 착용한다.
간호수행
- 환자의 발끝 쪽에 베게를 대어 주었다.
- 간호사와 함께 체위 변경을 2시간마다 하였다.
- foot drop shoes 와 스타킹을 착용해 주었다.
- 환자의 오른손을 PT하여 주었다.
- 혈전방지용 기계를 착용해 주었다.
간호 평가
- Foot drop이 생기지 않았다.
- 환자의 오른손 움직임이 처음 때 보다 유연해진 것 같다
간호진단 : #2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잠재성 기도흡인
<이론적 근거>
의식이 없는 사람은 인위적으로 기도를 열어주지 않으면 숨을 쉴 수가 없게 된다.
그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신경을 각별히 써 주면서 수시로 환자의 호흡 양상을 관찰해야 한다.
간호목표
환자의 기도가 막히지 않고 호흡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한 다.
간호계획
1.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2. 기도개방 유지와 분비물 제거를 위해 suction을 한다.
3. 구강간호를 한다.
4.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 정해진 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하였다.
- 수시로 suction을 시행하였다 (거의 1시간마다)
- suction이 끝나고 구강간호를 시행하였다.
- 호흡도 사정하였다.
간호 평가
- 호흡일정
- SaO2 98~99 유지됨
Ⅳ. 참고문헌
▷ 한윤복, 김순례외 5명, 「간호진단-진단분류의 이론과실제-」, 현문사, 1995.
▷ 김명자 외 「최신기본간호학 이론서」, 현문사, 2001.
▷ 이은옥 외 「성인 간호학」,신공출판사, 2002.
▷ 김귀분 외 「중환자 간호」, 현문사 ,1999.
▷ 고일선 외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4.
▷ 서문자외, 「성인간호학 下」,수문사, 2000.
▷ 김군순외, 「신경계간호학」,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금기: 달걀.대두유 단백질에 알러지, 중증패혈증, 혈액응고 장애, 심근경색,
주의: 임부, 수유부
⑤ Baxter(강심제)
효능: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 치료시 심박출력 증가
부작용: 발진, 발열, 호산구 증가, 기관지 경련,부정맥, 혈압상승, 심계항진
주의: 심실세동환자, 심인성 쇽에 수반되는 중증의 저혈압 환자
⑥ valoin
효능: 간질과 간질에 따르는 성격 행동 장애의 치료, 수술 후 및 외상후 발작
부작용: 심한 간손상, 발작의 빈도증가, 치매, 의식 혼미, 기면상태, 혼수, 졸음, 두통
금기: 급만성간염, 간장애 환자
주의: 임부, 가임부, 췌장장애, 선청성효소 결핍환자, 골수 손상의 병력환자, 신부전
⑦ cefirad
효능: 감수성있는 세균에 의한 감염증(패혈증,화상, 수술창등의2차감염, 인후농양,
급만성기관지염, 편도염,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확장증, 방광염, 수막염)
부작용: 쇽, 과민증, 위장장애, 균교대증, 비타민 결핍증,
주의: 간,신장애 환자, 비경구 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가 나쁜환자.
⑧ netilmicin(항생제)
효능: 비뇨생식기 감염증, 피부 및 피부 연조직 감염증, 기관지염, 폐렴등 하기도 감염 증, 패혈증, 화상, 외상 및 수술 후 감염 예방
부작용: 쇽, 과민증, 간장애, 신장애, 현기증, 구역, 구토, 호흡 곤란, 청색증, 부종, 빈맥
주의: 비경구 영양 환자, 고령자, 신장애 환자
⑨ transamin(지혈제, 혈액응고제)
효능: 전신성 섬유소성 용해 항진이 관여 하는 출혈: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암
국소 섬유소성 용해 항진이 관여하는 출혈: 폐출혈
부작용: 과민증, 소양증, 발진, 혈압저하 신출혈
주의: 혈전이 있는자
⑩ parason(외용 항균제)
효능: 농피증(농가진 감염성 습진양 피부염, 모낭염, 부스럼),화상, 외상
부작용: 발진, 동통, 과민증
금기: 비감수성균에 의한 감염환자
⑪ tegretol(항경련제)
효능: 간질, 삼차 신경통, 조울병 상태
부작용: 백혈구, 혈소판 감소, 간장애, 투통
금기: 심장혈액장애, 중증의 서맥환자, 골수 억제 및 간혈성 포르피린증의 병력이 있는자
(2) 경과
5/25
BST(188)
mental: stupor
secretion 굉장히 많아 자주 suction함.
3p: 110/70 mmHg
BT: 37.8 checked.
Lt long leg splint change.
BP 120mmHg 전,후로 유지되며 O2 saturation 98% check.
venturi-mask O2 3L. apply 중이며 호흡양상은 양호함.
입술 주위로 ulcer 심함.
acrova oint apply 후 mediform 사용하여 Dressing done.
6/1
BST(163)
mental: stupor state.
pupur 2(-) / 2(-)
BT: 37.7 , BP: 110/70mmHg.
가래 양 많아 suction 자주함
(coughing 유도하면서 겨우 suction 중임. 효과적인 가래 제거는 X.)
O2 saturation 98%. 호흡양상은 양호함
NPO 상태임
6/5
BST(100) check.
Mental stupor state.
O2 saturation 99%. 호흡양상은 양호함
BT: 37.8
secretion 여전히 많으심.
1시50분: tracheostomy 시행함.
2시20분: tracheostomy 마침.
tracheostomy 후, ABGA: 7.495/40.2/196/8.1/31.4/32.6/99.8/ check.
O2 4L 1L change 후 6p f/u 예정임.
tracheostomy site로 O2 1L apply 중임.
BP: 100/60mmHg. fever sign(-)
EKG(m) keep state
SaO2 99% check.
secretion 양은 보통이며 Blood한 양상보임.
(3)간호과정에 따른 간호
간호진단 : #1 신체기동성장애
<이론적 근거>
거동을 할 수 없는 사람은 혈전이 올수가 있으며 근육마비까지 올수 있 다.
간호목표
환자의 관절운동을 시켜 근육을 이완한다.
간호계획
1.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수동적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2. 발판을 대어준다.
3. 체위 변경을 자주 한다.
4. 보조기구 착용 후 수동적 관절 운동을 한다.
5. 혈전방지용 보호대를 착용한다.
간호수행
- 환자의 발끝 쪽에 베게를 대어 주었다.
- 간호사와 함께 체위 변경을 2시간마다 하였다.
- foot drop shoes 와 스타킹을 착용해 주었다.
- 환자의 오른손을 PT하여 주었다.
- 혈전방지용 기계를 착용해 주었다.
간호 평가
- Foot drop이 생기지 않았다.
- 환자의 오른손 움직임이 처음 때 보다 유연해진 것 같다
간호진단 : #2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잠재성 기도흡인
<이론적 근거>
의식이 없는 사람은 인위적으로 기도를 열어주지 않으면 숨을 쉴 수가 없게 된다.
그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신경을 각별히 써 주면서 수시로 환자의 호흡 양상을 관찰해야 한다.
간호목표
환자의 기도가 막히지 않고 호흡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한 다.
간호계획
1.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2. 기도개방 유지와 분비물 제거를 위해 suction을 한다.
3. 구강간호를 한다.
4.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 정해진 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하였다.
- 수시로 suction을 시행하였다 (거의 1시간마다)
- suction이 끝나고 구강간호를 시행하였다.
- 호흡도 사정하였다.
간호 평가
- 호흡일정
- SaO2 98~99 유지됨
Ⅳ. 참고문헌
▷ 한윤복, 김순례외 5명, 「간호진단-진단분류의 이론과실제-」, 현문사, 1995.
▷ 김명자 외 「최신기본간호학 이론서」, 현문사, 2001.
▷ 이은옥 외 「성인 간호학」,신공출판사, 2002.
▷ 김귀분 외 「중환자 간호」, 현문사 ,1999.
▷ 고일선 외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4.
▷ 서문자외, 「성인간호학 下」,수문사, 2000.
▷ 김군순외, 「신경계간호학」,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