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장 북한의 교육
4장 북한의 언어
8장 북한의 과학
11장 북한사회의 경제현황과 주민생활>
4장 북한의 언어
8장 북한의 과학
11장 북한사회의 경제현황과 주민생활>
본문내용
어(객관식 3-4문제)
※참고
-북한의 언어정책
북한의 언어정책은 사회주의 국가의 건설이라는 국가 기본목표와 맞물려 시행되고 있다.
주체사상에 의한 민족 우선이라는 점에 하나의 특징이 있다.
민족어 교육과 한자폐지 측면의 가장 중요하게 전개된 사업은 북한의 어휘정리이다.
어휘정리 : 좋지 않은 한자말을 포함한 외래적인 어휘를 고유한 민족어로 체계적으로 고쳐 어휘 분야에서 주체성을 세우자는 것이 목적임
북한의 맞춤법(두음법칙X, 사회적 체계반영)
남북 공통의 기반 위에서 언어 규범인 (순서 중요) 「한글맞춤법 통일안」→『조선어 철자법』→「조선말 규범집」
1. 표준말의 정의 : 현대 서울 교양이있는 사람들이 쓰는말
문화어의 정의: \'평양말을 중심으로 하여 노동자 계층에서 쓰는 말\'을 \'문화어\'라 한다.
★2. 어희 정리의 방향과 방법
⑴ 언어의 민족적 특성을 살린다. ⑵현대의 요구에 맞게 한다
⑶ 외래적 요소를 배격한다. ⑷어휘체계를 고유어 체계로 바로잡는다.
방법
⑴ 바꿔고치기 ⑵찾아고치기 ⑶살려고치기 ⑷만들어 고치기
→김일성 교시에 의한 말다듬기 운동과 문화어 운동으로 전개
★(시험) 3. 자모의 배열 순서 및 명칭
북 배열순서
자음 :ㄱ(기윽) ㄴ ㄷ(디
※참고
-북한의 언어정책
북한의 언어정책은 사회주의 국가의 건설이라는 국가 기본목표와 맞물려 시행되고 있다.
주체사상에 의한 민족 우선이라는 점에 하나의 특징이 있다.
민족어 교육과 한자폐지 측면의 가장 중요하게 전개된 사업은 북한의 어휘정리이다.
어휘정리 : 좋지 않은 한자말을 포함한 외래적인 어휘를 고유한 민족어로 체계적으로 고쳐 어휘 분야에서 주체성을 세우자는 것이 목적임
북한의 맞춤법(두음법칙X, 사회적 체계반영)
남북 공통의 기반 위에서 언어 규범인 (순서 중요) 「한글맞춤법 통일안」→『조선어 철자법』→「조선말 규범집」
1. 표준말의 정의 : 현대 서울 교양이있는 사람들이 쓰는말
문화어의 정의: \'평양말을 중심으로 하여 노동자 계층에서 쓰는 말\'을 \'문화어\'라 한다.
★2. 어희 정리의 방향과 방법
⑴ 언어의 민족적 특성을 살린다. ⑵현대의 요구에 맞게 한다
⑶ 외래적 요소를 배격한다. ⑷어휘체계를 고유어 체계로 바로잡는다.
방법
⑴ 바꿔고치기 ⑵찾아고치기 ⑶살려고치기 ⑷만들어 고치기
→김일성 교시에 의한 말다듬기 운동과 문화어 운동으로 전개
★(시험) 3. 자모의 배열 순서 및 명칭
북 배열순서
자음 :ㄱ(기윽) ㄴ ㄷ(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