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총체예술의이해_중간고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주대)총체예술의이해_중간고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받지만 영화극은 우리의 마음처럼 여기저기 날아갈 수도 있고 현재에서 과거로 돌아갈 수도 있어 외적 세계의 속박으로부터 해방된다.
6. 오랜 세월 동안 활동사진은 서사극, 총체극(total theatre)또는 무대극(living theatre)등의 요소로써 이용되어 왔다.
7. 1920년대 독일 Bauhaus에 의해서 정통적인 영화적 경험에 도전한 몰나르(Farkas Molnar)의 초연극(U-Theatre), 총체연극(Total Theatre) 등의 새로운 연극예술들은 영화의 스크린이나 연극의 프로시니엄 무대에 집착하고 있는 관객들의 집중을 여지없이 부수어 버리는 혁신적인 시도였다.
8. 1958년 이후 미시간대학에서 예술을 가르치고 있는 코엔(Milton Cohen)은 공간극장(space theatre)이라는 빛의 환경극을 개발. 발전시켰다. 공간극장의 특징은 어떤 방향에서도 빛과 슬라이드와 활동사진을 비출 수 있는 적합한 거울과 프리즘의 회전시스템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9. 영사된 비전과 실질적으로 공연되는 이미지를 비교하는 동시적 상연을 시도했던 휘트만(Whitman)은 그의 생각을 (1965)공연에서 표출하였다.
10. 영상의 사용이 무대에 쓰이는 잦은 예로 새로운 연극 외에 매년 개최되는 만국박람회의 행사장에서 제공되는 총체예술이다. 영상이 다른 매체인 무용, 연극, 음악과 함께 동시적으로 보이는 다면영상으로 관객에게 다양한 영상 시각과 지각잇는 선택을 요구하는 새로운 공연예술이다.
영화극과 관련없는 것은?
1)Film Play 2)무대극 3)이차원적 공간개념 4)환상의 리얼리티 창조 답 2번
새로운 연극과 관련없는 것은?
1)활동사진 2)총체극 3)초연극 4)말하는 영상과 살아있는 배우 답 1번
영화극(PHOTOPLAY)
관객의 정식적 작용 - 영화극에서 사건은 리얼한 공간에서 이루어지지만 관객의 보는 입장에서는 삼차원적인 공간이 아닌 이차원적 공간의 개념으로 인식되고있다
영화극의 장점
1. 집중의 방식-클로즈 업 기법
2. 현재 사건과 과거 사건의 대비
3. 미래의 세계창조, 꿈과 환상의 리얼리티
4. 감정과 정서를 느낄 수 있음
영화극과 무대극의 기능상 차이성- 영화극이 무대극에 비해 외적 세계에 관심이 크기 때문이다.
무대극- 배우들이 극의 주인공에 맞는 생활상을 보여주는 것
영화극- 무언의쇼-무언적 연기에 있어서 제스처의 강렬함과 리듬성은 말하는 내용에 의해 사상과 감정을 말과 행동을 동반해서 표현하고 있는 무대극에 비해 더욱 뚜렷하게 전달함(상황의 정서를 관객에게 전시)
연극과 영화 그 간격
영화극에서의 배우->영화극에 대한 심리적 고찰-영화극에서 배우의 존재는 평면의 그림 속에 존재
배우는 평면의 공간 속에서가 아니라 깊이 있는 리얼한 무대의 공간에서 보여준 것처럼 느껴짐
사진이 인물을 평면적인 형식으로 보여주는 속임수
->살아있는 인물의 육체적 공간을 상실시킨 속임수
영화극에서의 조화(-통일성) 시간과 공간과 우연성의 제약으로부터 해방->영화극은 현재와 과거를 오갈 수 있다.
영화극에 대한 정리
영화극은 시간과 공간과 우연성이라는 외적 형식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활동사진으로 우리의 정신과 경험을 자유롭게 극화시키고 행동과 그림의 완벽한 통일성은 현실세계로부터 철저히 분리된 일상의 삶을 통해서 인간의 행동이 빚어내는 심각한 갈등을 보여준다.
새로운 연극과 영화매체1
필름의 경험- 필름에 담겨진 소리와 영상에 집중하도록 하는 영화는 필름의 경험이며 활동사진의 사용이 제약을 받지 않는 무대의 경험
활동사진-서사극, 총제극또는 무대극의 한 요소로 사용
존스-말하는 영상과 살아있는 배우가 동시적으로 선보일 날이 올 것이다.
존스 주장의 문제점-연극과 공연을 혼동한 또는 연극과 공연을 똑같이 생각
무대 배경 필름과 무대 공연의 행동을 똑같이 재현- 의식과 무의식의 두 세계 표현
필름의 무대 공연 참여-정통적인 영화와 연극을 번갈아 보여주는 형식화된 공연에 불과함
1920년대 독일 Bauhaus-정통적인 영화적 경험에 도전한 새로운형식
몰나르의 초연극
바이닝게르의 원형극장 <-(3개)관객의 집중을 부수어 버리는 시도를 함
그로피우스의 총체 연극
나기- 1924년 반원형구 무대에 세 개의 다른 형태와 사이즈로 된 필름을 동시에 상연(추상적인 인간의 대화를 이해시킬 수 있는 표현 방식
새로운 연극과 영화매체1
코웬
공간극장 이라는 빛의 환경극을 개발하여 발전
공간극장의 특징-어떤 방향에서도 빛과 슬라이드와 활동사진을 비출 수 있는 적합한 거울과 프리즘의 회전시스템을 갖음
회전 시스템-원하는 시각효과를 관객의 머리 위 또는 스크린이나 천장 등 어느 곳에나 보여줄 수 있는 기능
존 케이지
Black Mountain 대학의 여름-필름을 공연과 함께, 즉 음악 시낭송, 무용과 동시에 천장과 벽면에 영사(자세한 내용은 4주차 참고)
카프로
<6파트의 19개 해프닝들>-일련의 슬라이드 상연과 함께 1959년 공연
휘트만
1965공연
영사된 비전과 실질적으로 공연되는 이미지를 비교하는 동시적 상연 무대 뒤는 온통 스크린으로 덮여 있고 그 스크린에 등장한 두 소녀가 스크린 앞 무대 위에서 공연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필름의 이미자와 무대 위에서 공연되는 현실의 이미지가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
만국박람회 행사장에서의 영상과 새로운 연극
다면영상-영상이 다른 매체인, 무영, 연극, 음악과 함께 동시적으로 보여지는것
만국박람회 행사장에서의 영상과 새로운 연극
새로운 연극
만국박람회에서의 공연물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미학적 목적을 추구하는 독특한 예술가를 요구
밀톤 코헨의 공간극장-사적인 수준에서 가능한 예술적 창조를 함
관련있는 소수의 관객을 위한 작업을 함
개인적 발상에서 창조되더라고 목적은 대중을 위한작업
정보구조 요소
우리는 행동이나 표현, 그리고 등장하는 물체들이 의미 전달의 목적으로서 존재하는 게 아니라 그 자체를 위해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무대공연물의 새로운 가능성을 촉구
-공연예술과 매체와의 관계 그리고 관객과의 관계를 확대시킬 것임
-보다 많은 예술가들의 독자적 공간 확보의 추구로 사적 예술세계 형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4.21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0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