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경상도 방언의 특징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경상도 방언의 특징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니:더
-음니까, 심니까, -음니꺼, -심니꺼, -는교, -는기요
-(으)시이소
-(으)시이다
-으입시다
-으입시더
<경남 방언의 종결어미>
②접속어미
접속어미에서 보면 \'-고 하-\'를 \'카\'로 줄여 \'뭐라고 하느냐, 너라고 하는 사람\'을 \'머라카노, 니라카는 사람\' 따위로 발음하는 것, \'-려고 하-\'가 \'락카\'로 되어 \'칼락칸다\'로 말하는 현상도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아)서’에 대응되는 ‘-(아)가주고, 가이고 가아’가 ‘-(으)니’에 대응하여 ‘-(으)이까네, -으이끼네, -응께’등으로 실현되어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③선어말어미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표준어 선어말어미로는 존대표시의 \'-으시\'와 시제표시의 \'-았-\'과 추측표시의 \'-겠-\'이 있다. 이들 어미 중 존대표시어미는 표준어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나머지 선어말어미는 차이를 가진다. 이 지역에서 시제표시의 선어말어미는 \'-앗-\'으로 사용되며 추측표시의 선어말어미로는 \'-것-\'이 사용된다.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는 ‘-(으)시-’와 ‘-(으)이-’가 과거시상을 나타내는 ‘-앗-’이 실현되며 특히 미래시상을 나타내는 ‘-옳-’이 ‘-겠-’에 대응된다.
예) 그때는 정말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2.1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