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니:더
-음니까, 심니까, -음니꺼, -심니꺼, -는교, -는기요
-(으)시이소
-(으)시이다
-으입시다
-으입시더
<경남 방언의 종결어미>
②접속어미
접속어미에서 보면 \'-고 하-\'를 \'카\'로 줄여 \'뭐라고 하느냐, 너라고 하는 사람\'을 \'머라카노, 니라카는 사람\' 따위로 발음하는 것, \'-려고 하-\'가 \'락카\'로 되어 \'칼락칸다\'로 말하는 현상도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아)서’에 대응되는 ‘-(아)가주고, 가이고 가아’가 ‘-(으)니’에 대응하여 ‘-(으)이까네, -으이끼네, -응께’등으로 실현되어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③선어말어미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표준어 선어말어미로는 존대표시의 \'-으시\'와 시제표시의 \'-았-\'과 추측표시의 \'-겠-\'이 있다. 이들 어미 중 존대표시어미는 표준어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나머지 선어말어미는 차이를 가진다. 이 지역에서 시제표시의 선어말어미는 \'-앗-\'으로 사용되며 추측표시의 선어말어미로는 \'-것-\'이 사용된다.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는 ‘-(으)시-’와 ‘-(으)이-’가 과거시상을 나타내는 ‘-앗-’이 실현되며 특히 미래시상을 나타내는 ‘-옳-’이 ‘-겠-’에 대응된다.
예) 그때는 정말
-음니까, 심니까, -음니꺼, -심니꺼, -는교, -는기요
-(으)시이소
-(으)시이다
-으입시다
-으입시더
<경남 방언의 종결어미>
②접속어미
접속어미에서 보면 \'-고 하-\'를 \'카\'로 줄여 \'뭐라고 하느냐, 너라고 하는 사람\'을 \'머라카노, 니라카는 사람\' 따위로 발음하는 것, \'-려고 하-\'가 \'락카\'로 되어 \'칼락칸다\'로 말하는 현상도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아)서’에 대응되는 ‘-(아)가주고, 가이고 가아’가 ‘-(으)니’에 대응하여 ‘-(으)이까네, -으이끼네, -응께’등으로 실현되어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③선어말어미
현대국어에서 사용되는 표준어 선어말어미로는 존대표시의 \'-으시\'와 시제표시의 \'-았-\'과 추측표시의 \'-겠-\'이 있다. 이들 어미 중 존대표시어미는 표준어와 동일하게 사용되며 나머지 선어말어미는 차이를 가진다. 이 지역에서 시제표시의 선어말어미는 \'-앗-\'으로 사용되며 추측표시의 선어말어미로는 \'-것-\'이 사용된다.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는 ‘-(으)시-’와 ‘-(으)이-’가 과거시상을 나타내는 ‘-앗-’이 실현되며 특히 미래시상을 나타내는 ‘-옳-’이 ‘-겠-’에 대응된다.
예) 그때는 정말
추천자료
국어과 수행평가 문항개발- 광고텍스트를 중심으로
미디어교육과 국어교육
7차 국어교육 - 읽기 교육에 대해서
[국어교육과정론]상위인지에 관하여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
남녀평등과 국어순화
국어과 분석 보고서
고등국어 쓰기 교육영역 현황 및 내용 체계
광고와 국어교육
제5장 국어의 어휘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옥상의 민들레꽃을 중심으로―
이기문의 국어사 개설 정리
[국어과교육]1-2학년 읽기 영역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및 현행 교과서의 상황(교과서 분석)
[국어과교육] 1-2학년 문학 영역의 내용과 현행 교과서 상황 (문학 영역의 내용체계, 1-2학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