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sis
#6. (7월4일) Hyperbilirubinemia
#7. (8월11일) Rt. lung Pneumonia (K.pneumonial)
#8. (7월21일) Sepsis
#9. (9월12일)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3. 과거력
1) 어머니
분만력
임신횟수 : 6회 분만횟수: 1회 유산횟수 및 유형: 2(자연)회 2(인공)회
조산횟수 : 0회 기형아분만 : 0회
과거 임신 및 분만 합병증 : 없었음
병력 : 고등학교 2학년 때 appendectomy 한 경험이 있음.
2) 가계도
pt
3. 신체사정
1) 활력증후
* 출생 직후 체온 : 35 도, 심박동수 : 148 /분, 호흡수 : 60 /분, 혈압 55 / 25 mmHg
* 현재 체온 : 36.5 도, 심박동수 : 126 /분, 호흡수 : 40 /분, 혈압 - / - mmHg
2) 체중 : 1940gm, 신장 : 46cm, 두위 : 34cm
3) 전신적 외모 : 정상이나, 머리가 다소 큰 편이며 전후사경이 길다.
4) 피부 : 약간 어두운 편이며, 황달은 없다. 피부의 상태는 정상적이며, 하지에 비늘이 조금 남아있다. 피부의 탄력성이 있고, 손발톱의 색깔은 분홍색이며, 손톱 밑 피부 쪽이 약간 검은 편이며, 모양은 정상이다.
5) 머리 : 머리카락은 검은색이며 분포상태는 고르지 못하다. 적당한 양의 머리카락이 있 으며 탄력성도 있다. 머리의 전후사경이 다소 긴 편이다. 머리의 크기가 전신에 비해 다소 큰 편이며, 머리카락에 탄력성이 있다.
6) 얼굴 : 양쪽의 눈이 대칭적이며, 코와 입도 정상 위치에 있다. 얼굴 형태는 둥글고 약 간 길죽한 계란형이며, 평소에는 무표정을 짓고, 호흡이 가쁠 때 인상을 다소 찌푸리는 편이다.
7) 눈 : 눈의 모양은 정상이며, 대칭적이고 사시나 안검하수, 분비물 등은 없다.
8) 귀 : 정상
9) 코 : 정상
10) 구강 : 입술의 모양은 균형을 이루고 분홍빛이나, 건조하고 아랫입술 및 윗입술이 모 두 텄다. 치아나 잇몸, 점막, 혀 등의 문제점은 없다.
11) 목 : 정상
12) 유방 : 양쪽 유륜의 위치 및 모양은 균형을 이루며, 유륜의 융기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13) 호흡기 : 복식호흡을 하며 O2의 Saturation이 떨어지는 경우 호흡을 가빠한다.
14) 순환기 : 맥박이 잘 들리며, 약 15초당 한 번씩 맥박이 불규칙적으로 되었다가 다시 규칙적으로 된다.
15) 복부 : 편평한 형태이며 반흔, 정맥확장, 압통 등은 없고 제대는 말라서 깨끗하게 잘 려진 상태이다. 비정상적인 장음은 들리지 않는다.
16) 항문/직장 : 항문은 개방되어 있고, 괄약근도 정상기능을 하며, 대변의 양상도 정상이 다.
17) 생식기 : 고환이 정상적으로 하강하여 있는 상태이다.
18) 하지, 관절, 임파절 : 정상
자세(3)+손목굴곡(2)+팔반동(2)+슬와각도(1)+스카프 징후(2)+발꿈치 귀 닫기(2)=12점
19) 신경계
ㆍsucking reflex ; 가능하다. 그러나 정상아에 비하여 빠는 힘이 작다.
ㆍrooting reflex : 젓꼭지를 물리면 입을 벌리나, 우유 냄새가 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지는 않는다. (아기에게 우유냄새를 맡게 하면 우유가 있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뺨에 부드러운 물건이 닿으면 입이 그 쪽으로 향하며, 젓꼭지를 찾아 물 때와 같이 입을 벌린다.)
소실시기: 깨어있을 때는 3~4개월, 잠잘때는 7~8개월에 소실된다
ㆍgrasp reflex : 반응이 있다가, 가끔씩 나타나지 않음.
ㆍpupil reflex (동공반사) : 나타남.
ㆍcorneal reflex(각막반사) : 반사 기능이 있음. (각막을 자극하면 눈을 재빨리 닫는 반사 현상으로 자동적으로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반사는 삼차신경에 의해 뇌에 전달되고 안면신경을 통하여 눈꺼풀로 내려온다. )
ㆍbabinski reflex : 반응이 있음. (발바닥의 바깥쪽을 바늘이나 해머자루 등으로, 발꿈치에서 발가락쪽 방향으로 문지르면 엄지발가락이 등쪽으로 굽고 다른 발가락은 부채살처럼 펼쳐지는 현상(funning sign)을 말한다. 이 현상은 병적 반사 중 가장 기본적 반사로서 추체로(錐體路)장애가 있을 때 나타낸다. 신경발육이 미숙한 3~4개월의 젖먹이 때에는 이 현상이 생리적으로 인정되므로 주의를 해야 하며, 보통 1세 정도가 되면 이 검사를 할 수 있다. 이 반사를 유도해 내는 기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차도크반사(Chakkock reflex) ·고든반사(Gordon reflex) ·오펜하임반사(Oppencheim reflex) ·세퍼반사(Schaffer’s reflex) 등이 있다. )
ㆍmoro reflex : 놀라는 반응은 있으나 정도가 미미하다.
- 검사자세 : 환자를 앉혀 반쯤 뒤로 젖힌다.
- 자극 : 머리 뒤쪽으로 갑자기 젖인다.(검사자가 손뼉을 치거나, 큰소리를 질러 환자를 놀라게 하는 방법도 있다)
- 음성반응 : 놀라는 반응이 없거나 미미하다.
- 양성반응 : 양팔이 외전, 신전(혹은 굴곡, 외회전이 되며, 손가락은 외전, 신전된다.)
* 출생시부터, 생후 4개월까지는 양성반응이 나타나도 정상이다. 그렇지만 생후 4개월 이후 양성반응이 나타나면 반사 성숙의 지연을 의미하게 된다. 생후 4개월 이후에서는 음성 반응이 정상이다.
ㆍstartle reflex 놀람 반사 : 갑작스러운 큰 소리에 팔꿈치를 굽힌 채 팔을 벌린다. 손은 주먹을 쥔 상태이다. (소실시기: 4개월에 소실된다. )
ㆍtonic neck reflex (긴장성 경반사) :
안정 상태에서 신생아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그 쪽의 굽힌 쪽의 긴장이 사라져서 팔과 다리를 펴고, 반대쪽 팔, 다리는 굽힌다. 정상 신생아에서는 이 반사는 불완전하다. 영아기 후기에서도 이 반사가 쉽게 나타나거나 계속 나타날 때에는 운동 장애가 있음을 의미한다. 소실시기: 3~4개월에 소실되고 신채 양측의 대칭적인 체위 조절로 대체된다.
ㆍdance or step reflex : 존재하지 않음.
ㆍcrawling reflex(기는반사) : 발견되지 않음.
엎드려
#6. (7월4일) Hyperbilirubinemia
#7. (8월11일) Rt. lung Pneumonia (K.pneumonial)
#8. (7월21일) Sepsis
#9. (9월12일)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3. 과거력
1) 어머니
분만력
임신횟수 : 6회 분만횟수: 1회 유산횟수 및 유형: 2(자연)회 2(인공)회
조산횟수 : 0회 기형아분만 : 0회
과거 임신 및 분만 합병증 : 없었음
병력 : 고등학교 2학년 때 appendectomy 한 경험이 있음.
2) 가계도
pt
3. 신체사정
1) 활력증후
* 출생 직후 체온 : 35 도, 심박동수 : 148 /분, 호흡수 : 60 /분, 혈압 55 / 25 mmHg
* 현재 체온 : 36.5 도, 심박동수 : 126 /분, 호흡수 : 40 /분, 혈압 - / - mmHg
2) 체중 : 1940gm, 신장 : 46cm, 두위 : 34cm
3) 전신적 외모 : 정상이나, 머리가 다소 큰 편이며 전후사경이 길다.
4) 피부 : 약간 어두운 편이며, 황달은 없다. 피부의 상태는 정상적이며, 하지에 비늘이 조금 남아있다. 피부의 탄력성이 있고, 손발톱의 색깔은 분홍색이며, 손톱 밑 피부 쪽이 약간 검은 편이며, 모양은 정상이다.
5) 머리 : 머리카락은 검은색이며 분포상태는 고르지 못하다. 적당한 양의 머리카락이 있 으며 탄력성도 있다. 머리의 전후사경이 다소 긴 편이다. 머리의 크기가 전신에 비해 다소 큰 편이며, 머리카락에 탄력성이 있다.
6) 얼굴 : 양쪽의 눈이 대칭적이며, 코와 입도 정상 위치에 있다. 얼굴 형태는 둥글고 약 간 길죽한 계란형이며, 평소에는 무표정을 짓고, 호흡이 가쁠 때 인상을 다소 찌푸리는 편이다.
7) 눈 : 눈의 모양은 정상이며, 대칭적이고 사시나 안검하수, 분비물 등은 없다.
8) 귀 : 정상
9) 코 : 정상
10) 구강 : 입술의 모양은 균형을 이루고 분홍빛이나, 건조하고 아랫입술 및 윗입술이 모 두 텄다. 치아나 잇몸, 점막, 혀 등의 문제점은 없다.
11) 목 : 정상
12) 유방 : 양쪽 유륜의 위치 및 모양은 균형을 이루며, 유륜의 융기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13) 호흡기 : 복식호흡을 하며 O2의 Saturation이 떨어지는 경우 호흡을 가빠한다.
14) 순환기 : 맥박이 잘 들리며, 약 15초당 한 번씩 맥박이 불규칙적으로 되었다가 다시 규칙적으로 된다.
15) 복부 : 편평한 형태이며 반흔, 정맥확장, 압통 등은 없고 제대는 말라서 깨끗하게 잘 려진 상태이다. 비정상적인 장음은 들리지 않는다.
16) 항문/직장 : 항문은 개방되어 있고, 괄약근도 정상기능을 하며, 대변의 양상도 정상이 다.
17) 생식기 : 고환이 정상적으로 하강하여 있는 상태이다.
18) 하지, 관절, 임파절 : 정상
자세(3)+손목굴곡(2)+팔반동(2)+슬와각도(1)+스카프 징후(2)+발꿈치 귀 닫기(2)=12점
19) 신경계
ㆍsucking reflex ; 가능하다. 그러나 정상아에 비하여 빠는 힘이 작다.
ㆍrooting reflex : 젓꼭지를 물리면 입을 벌리나, 우유 냄새가 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지는 않는다. (아기에게 우유냄새를 맡게 하면 우유가 있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뺨에 부드러운 물건이 닿으면 입이 그 쪽으로 향하며, 젓꼭지를 찾아 물 때와 같이 입을 벌린다.)
소실시기: 깨어있을 때는 3~4개월, 잠잘때는 7~8개월에 소실된다
ㆍgrasp reflex : 반응이 있다가, 가끔씩 나타나지 않음.
ㆍpupil reflex (동공반사) : 나타남.
ㆍcorneal reflex(각막반사) : 반사 기능이 있음. (각막을 자극하면 눈을 재빨리 닫는 반사 현상으로 자동적으로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반사는 삼차신경에 의해 뇌에 전달되고 안면신경을 통하여 눈꺼풀로 내려온다. )
ㆍbabinski reflex : 반응이 있음. (발바닥의 바깥쪽을 바늘이나 해머자루 등으로, 발꿈치에서 발가락쪽 방향으로 문지르면 엄지발가락이 등쪽으로 굽고 다른 발가락은 부채살처럼 펼쳐지는 현상(funning sign)을 말한다. 이 현상은 병적 반사 중 가장 기본적 반사로서 추체로(錐體路)장애가 있을 때 나타낸다. 신경발육이 미숙한 3~4개월의 젖먹이 때에는 이 현상이 생리적으로 인정되므로 주의를 해야 하며, 보통 1세 정도가 되면 이 검사를 할 수 있다. 이 반사를 유도해 내는 기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차도크반사(Chakkock reflex) ·고든반사(Gordon reflex) ·오펜하임반사(Oppencheim reflex) ·세퍼반사(Schaffer’s reflex) 등이 있다. )
ㆍmoro reflex : 놀라는 반응은 있으나 정도가 미미하다.
- 검사자세 : 환자를 앉혀 반쯤 뒤로 젖힌다.
- 자극 : 머리 뒤쪽으로 갑자기 젖인다.(검사자가 손뼉을 치거나, 큰소리를 질러 환자를 놀라게 하는 방법도 있다)
- 음성반응 : 놀라는 반응이 없거나 미미하다.
- 양성반응 : 양팔이 외전, 신전(혹은 굴곡, 외회전이 되며, 손가락은 외전, 신전된다.)
* 출생시부터, 생후 4개월까지는 양성반응이 나타나도 정상이다. 그렇지만 생후 4개월 이후 양성반응이 나타나면 반사 성숙의 지연을 의미하게 된다. 생후 4개월 이후에서는 음성 반응이 정상이다.
ㆍstartle reflex 놀람 반사 : 갑작스러운 큰 소리에 팔꿈치를 굽힌 채 팔을 벌린다. 손은 주먹을 쥔 상태이다. (소실시기: 4개월에 소실된다. )
ㆍtonic neck reflex (긴장성 경반사) :
안정 상태에서 신생아의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그 쪽의 굽힌 쪽의 긴장이 사라져서 팔과 다리를 펴고, 반대쪽 팔, 다리는 굽힌다. 정상 신생아에서는 이 반사는 불완전하다. 영아기 후기에서도 이 반사가 쉽게 나타나거나 계속 나타날 때에는 운동 장애가 있음을 의미한다. 소실시기: 3~4개월에 소실되고 신채 양측의 대칭적인 체위 조절로 대체된다.
ㆍdance or step reflex : 존재하지 않음.
ㆍcrawling reflex(기는반사) : 발견되지 않음.
엎드려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학과]출장근무가 기혼직장여성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과] 치료적 인간관계의 과정-심리적일치 강의자료
(간호학과)폐암케이스-Lung cancer case study
(간호학과)급성췌장염 케이스 Case study
[간호학과] 신경외과 실습 - 신경학적 사정 ward class
[간호학과] 영리 법인 병원 설립의 장점과 단점
[간호학과] 학력전기 아동의 성장발달
[간호학과] 호흡기계 질환(크룹, 세기관지염, 폐렴) 요약 정리
방송통신대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인간과 교육 - 현대사회 평생교육,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이론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성사랑사회 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