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과 투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신부전과 투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만성신부전
-원인및 병태생리
-증상및 증후
-검사
-간호중재

투석
-혈액투석의 정의 및 원리
-혈액투석 장치요소와 혈액투석방법
-혈액투석 합병증과 간호
-복막투석의 원리와 절차
-투석액종류, 첨가제
-복강카테타관리
-복막투석의 합병증과 간호

본문내용

은 인공신장기에 있는 투석기막이며 복막투석에서는 복강을 둘러 싸고 있는 복막이 반투막으로 이용된다.
2)투석의 목적
-혈액의 요소와 creatinine등의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의 과잉 수분을 제거.
-전해질 및 산,염기균형을 조절.
-요독증상의 완화.
-고혈압 조절 및 빈혈 상태개선을 통해 사회적 재활을 가능케 하고 삶의 질을 향상.
혈액투석
복막투석
장점
-환자를 위한 투석치료를 의료진이 함.
-투석실 내에서의 안전한 간호가 주어짐.
-다른 투석동료, 의료진을 투석때마다 만 날 수 있음.
-자가치료가 가능함.
-식이요법이 자유로움.
-투석과정이 편안함.
-1회교환시간이 30분정도 소요되므로 시간적제약을 덜받음.
-혈액손실이 적고 주사공포가 없음.
-혈압조절과 혈당조절이 용이함.
단점
-투석스케쥴이 고정됨.
-주 2~3회 병원에 와야하므로 시간의 제 약을 많이 받음.
-투석시마다 두 개의 바늘을 꽂아야함.
-식이제한을 많이 받음.
-1일 4회교환이 매일 필요함.
-영구적인 카테터를 몸에 지니고 다님.
-복막염이 발생하기 쉬움.
◆혈액투석
-Hemodialysis은 인공신장기(artificial kidney)를 이용하여 체외에서 혈액을 정화하는 방법.
-동맥혈관에서 나오는 혈액을 인공신장기의 반투막(투석기막)으로 통과시키면 투석액과의 상호교류를 통해 혈액내 노폐물과 과량의 수분, 전해질을 체외로 배설시키고 정화된 혈액은 정맥 혈관을 통해 다시 환자에게 주입.
1)혈액투석의 원리
-확산 : 혈액과 투석액 사이에 있는 반투막을 통해 용액의 입자들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 은쪽으로 두구간의 농도가 같아질때까지 이동되는 현상
혈중의 과다한 대사성 노폐물과 전해질등이 제거되는 원리.
-초여과 : 혈액에서 투석액사이의 압력경사의 결과 반투막을 통해 혈액측의 수분을 투석액 쪽으로 이동시키는 기전
체내의 과잉수분을 제거하는 원리.
2)혈액투석이 필요한 경우
언제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가 하는데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신장기능이 정상의 5% 이하가 될 때로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4~8ml/min 이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치가 10mg/dl 이상이 되면 투석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이보다는 환자분이 느끼는 증상(자각증상)이 중요하며, 예를 들면 심하게 메스껍거나 토하는 경우, 손발이 저릿저릿하는 경우, 요독에 의한 출혈증상이 생기는 경우 등에는 비록 신장기능이 많이 있어도 투석을 시작할 수도 있다.
3)투석장치요소 : 투석기(dialyzer), 혈관통로(vascular access),
투석액(dialysate), 항응고요법(anticoaulation)
·투석기 : 상자나 튜브모양으로 4개의 연결부위(두 개의 연결부위는 혈액부분, 다른두개 는 투석액부분과 연결.)를 가지고 있다.
투석기에 들어있는 막(membrane)은 무균상태로 보존됨.
·혈관통로 : 혈액투석시에는 200~300ml.min의 혈류량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접근의 기술이 반드시 필요.
일시적 접근방법 : 쇄골하정맥, 내경정맥
영구적 접근방법 :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와 동정맥이식(AV graft)
만성신부전환자에서 흔히 사용되는방법.
요측피정맥, 요골동맥, 상완동맥.
; 동맥과 정맥을 옆선을 따라서 문합을 하거나 혹은 끝을 잇는 방법으로 동맥과 정맥사이에 개구나 루 를 만드는 수술절차.
동맥과 정맥이 연결되면 압력이 센 동맥혈이 정맥 내로 흘러들어가 정맥혈관을 울혈시키고 굵어지게 하여 투석에 이용할수 있다.
(성숙될때까지 1~2개월 기다려야함)
·투석액 : sodium, potassium, calcium, chloride, glucose
깨끗한 물과 화학물질로 제조, 대사성 노폐물이나 약물을 포함하지 않음.
체온저하를 예방하고 확산의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투석액을 37.8\'C로 데움.
·항응고제 : 혈액투석시 혈액이 체외로 나오면 투석튜브나 투석기막과 접촉하게 되어 응 고를 일으킬수 있으므로 항응고요법이 필요하며 헤파린이 많이 쓰임.
4)혈액투석방법
A.투석기의 세척과 충전
세척이유; 용해되는 알러지항원(즉 EO가스로 소독된 투석기의 EO)을 제거함으로써 투석기 의 아나필락시스성 반응이나 심각성을 줄일수 있다.
혈액이 흐르는부분을 2L의 식염수로 20분이상 세척, 동시에 투석액 또한 500ml/min의 속도로 투석기 속을 흐르게 한다. 세척된 후에는 5~10분 이내로 사용해야한다.
B.혈관통로
1)경피 정맥도관(percutaneous venous cannula)
도관의 각 구멍에서 응고된 혈액 덩어리나 채워넣었던 헤파린을 흡인하여 빼낸다.
식염수를 채운 주사기로 세척하여 도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점검한다.
관의 정맥쪽으로초기 헤파린 부하량을 주입하고 생리식염수로 씻어 넣어준다.
3분후(헤파린과 혈액이 섞이는 시간) 혈류를 흐르게하여 투석을 시작한다.
2)동정맥루
일반적인 요골동맥-요측피정맥 동정맥루에서, 두 개의 바늘은 동정맥루에 연결된 정맥에 놓이게 된다. 이정맥의 흐름은 원위부에서 근위부를 향하게 되므로 동맥바늘은 원위부를 향하게 된다.
-원하는 혈류속도가 300ml/min이하일때 16또는 15게이지 바늘이 가장좋다.
-바늘 삽입부위는 소독액(povidone-iodine)으로 10분동안 닦는다.
-동맥쪽바늘 : 동정맥 문합부에서 적어도 3cm떨어진 곳에 45\' 각도로 바늘의 절단면을 위 쪽으로 하여 동정맥루를 향해 삽입한다.
-정맥쪽바늘 : 45\'각도로 바늘의 절단면을 위쪽으로 하여 심장쪽을 향해 삽입한다. 정맥바 늘의 삽입점은 적어도 동맥쪽바늘에서 3~5cm정도의 간격이 필요하다.
(재순환의 최소화)
3)동정맥혈관 이식
바늘삽입방법은 동정맥루와 같으며 바늘삽입후 정맥쪽바늘로 초기 헤파린부하량을 주입한후 식염수로 씻어넣어주고 3분후 혈액순환을 시작한다.
C.투석시작
혈류속도는 처음에 50ml/min으로 시작하고 그이후에 혈액이 혈액회로를 완전히 채울때까지 100ml/min으로 올린다. 혈액회로가 혈액으로 채워질때, 프라이밍 용액은 환자에게로 주입될 수도 있고, 배액될 수도 있다. 배액되는 경우에는 혈액이 투석기를 지나 venous air trap(chamber)에 도달될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