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ICH 정의
2. ICH 원인
3. ICH 증상
4. ICH 진단
5. ICH 치료
6. ICH 간호
Ⅱ. Case Study
1. 간호사정
ⅰ. 입원환자 건강상태 사정
ⅱ.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ⅲ. Medication(투약)
2. 간호과정
1. ICH 정의
2. ICH 원인
3. ICH 증상
4. ICH 진단
5. ICH 치료
6. ICH 간호
Ⅱ. Case Study
1. 간호사정
ⅰ. 입원환자 건강상태 사정
ⅱ.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ⅲ. Medication(투약)
2. 간호과정
본문내용
혈압, 저혈압, 구토, 두통, 구역, 어지러움
Meltus
3Amp #3 iv
순환개선제 - 외상(염좌,골절,타박,좌상,염좌 등), 수술후의 연부종창으로 인한 염증의 완화.
오심, 구토, 설사, 심계항진, 열감, 빈맥, 발진, 불안, 수면장애,
두통, 근진전 등.
Methysol
0.1g #4 iv
부신호르몬제
(steroid제제) - 염증억제, 면역 반응 억제, 혈액량, 수분량 유지.
체액전해질 불균형, 근무력증, 골다공증, 천공 및 출혈성 위궤양, 복부팽만, 홍반, 외상치유지연, 두통, 경련, 피부쇠약, 안압항진 등.
Ranitidine
2Amp #2 iv
H2차단체 - 위-십이지장궤양, 마취전 투약, 수술후 궤양, NSAID투여로 인한 십이지장궤양, 상부소화기출혈, 급성위염일 경우 증상 완화.
두드러기, 발진, 발열, 기관지경련, 저혈압, 재생불량성 빈혈, 졸음, 오심,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식욕부진 등.
Mexol
3Amp #3 iv
위장운동 조절 및 진경제.
악성신경마비증후군, 무월경, 여성형 유방, 수지진전, 근경직, 초조감, 복통, 설사 등
Netilmycin
2Amp #2 iv
Aminoglycoside계 항생제 - 비뇨기계감염, 기관지염, 폐렴, 하기도감염, 패혈증, 관절ㆍ복부감염증, 수술후 감염예방.
Shock, 과민증, 간장애, 신장애, 오심, 구토, 호흡곤란, 청색증, 부종, 빈혈, 주사부위의 동통 등.
Mucosten
2Amp #2 iv
진해거담제 - 급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천식, 수술후 폐합병증 치료 및 예방에서의 객담배출.
오심, 구토, 설사, 가슴앓이, 식욕부진, 오한, 발열, 발진.
Botropase
3Amp #3 iv
혈액응고제, 지혈제. 출혈, 1ㆍ2차 출혈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
과민반응, Shock 유사증상.
Varoin
3Amp #3 iv
항경련제 -
간질, 수술 후 및 외상 후 발작예방.
간 손상, 의식혼미, 두통, 경련, 불안, 복시, 공격성, 행동과다증, 빈혈, 백혈구감소, 혈소판감소,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청각손상, 뇌위축, 치매, 부종 등.
Hartmann
Hartmann 1ℓ + Naloxone 3Amp mix. iv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metabolic acidosis 보정.
대량, 급속 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부종.
Naloxone
아편류에 의한 호흡억제를 포함한 마약억제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역전, 급성마약 용량초과의 진단, 마취제(N2O) 및 정신신경안정제(diazepam)의 과량 투여로 인한 호흡억제의 역전, Stroke,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애 완화.
오심, 구토, 발한, 빈맥,
혈압증가, 전율, 저혈압, 심실성 빈맥, 세동 및 폐부종, 경련 등.
2.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의식장애로 인한 분비물 배출곤란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ㆍ환자의 상태는 coma상태이다.
ㆍSelf Respiration이 없다.
ㆍ기도 내 분비물을 자신의 의지로 전혀 배출시키지
못한다.
목표
ㆍ기관내의 원활한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ㆍ충분한 환기를 유지한다.
계획
ㆍVentilator를 적용하여 호흡을 15회로 유지시킨다.
ㆍAirway를 적용한다.
ㆍ기관내 분비물을 suction 해준다.
ㆍ호흡기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ㆍsemi Fowler Position을 취해준다.
수행
ㆍVentilator를 적용하여 호흡을 15회/min.로 유지시키고
1시간마다 V/S을 체크하였다.
ㆍ기도개방을 위해 Airway를 적용하였다.
ㆍ기도개방 및 청결을 위해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하였다.
ㆍ2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드렸다.
ㆍsemi Fowler Position을 취해 드렸다.
평가
ㆍ호흡수가 15회/min.로 유지되었다.(충분한 환지유지)
ㆍsuction으로 기도개방성이 증가되었다.
간호진단 #2.
부동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ㆍ발적이나 습진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각과 움직임
이 전혀 없는 환자의 상태로 보아 잠재적인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이 있다.
목표
ㆍ등과 둔부, coccyx부위가 발적이 없고, 욕창으로 진전되는 것을
막는다.
계획
ㆍ체위변경시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ㆍ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준다.
ㆍ뼈가 돌출된 부위, 발적된 부위를 마사지한다.
ㆍ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수행
ㆍ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켜 드렸다.
ㆍ체위변경시 피부상태를 사정했다.
ㆍ뼈가 돌출된 부위, 발적된 부위는 마사지해 드렸다.
ㆍ체위변경시 Back care를 실시하였다.
평가
ㆍ욕창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피부가 깨끗하고 냄새가 나지 않는다.
간호진단 #3.
무의식으로 인한 자가간호 결여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ㆍcoma 상태로 자가간호가 결여되었다.
ㆍ혀에 백태가 심했고 입술주위가 마르고 건조하였다.
ㆍ환자에게서 좋지 못한 냄새가 난다.
목표
ㆍ구강이 청결하고, 환자에게서 냄새가 나지 않는다.
계획
ㆍduty 때마다 2번이상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ㆍ물티슈로 얼굴 및 몸을 닦아준다.
ㆍ회음부 간호를 매일 시행한다.
수행
ㆍ4시간마다 구강간호를 시행하였다.
ㆍ매일 물티슈로 얼굴과 몸을 닦아드렸다.
ㆍBack care시마다 회음부 간호를 시행하였다.
평가
ㆍ혀의 백태가 많이 사라졌고 구강이 청결하였으며, 냄새도 나지 않았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하) / 전시자 외/ 현문사(2005) 전시자 외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Ⅰ/Sigma theta tau Lambda, 고일선 외/ 현문사(2004)
www.naver.com
목 차
Ⅰ. 문헌고찰
1. ICH 정의
2. ICH 원인
3. ICH 증상
4. ICH 진단
5. ICH 치료
6. ICH 간호
Ⅱ. Case Study
1. 간호사정
ⅰ. 입원환자 건강상태 사정
ⅱ.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ⅲ. Medication(투약)
2. 간호과정
Case Study
Intracerebral Hemorrhage(ICH;뇌내출혈)
담당교수님:
학번 :
이름 :
Meltus
3Amp #3 iv
순환개선제 - 외상(염좌,골절,타박,좌상,염좌 등), 수술후의 연부종창으로 인한 염증의 완화.
오심, 구토, 설사, 심계항진, 열감, 빈맥, 발진, 불안, 수면장애,
두통, 근진전 등.
Methysol
0.1g #4 iv
부신호르몬제
(steroid제제) - 염증억제, 면역 반응 억제, 혈액량, 수분량 유지.
체액전해질 불균형, 근무력증, 골다공증, 천공 및 출혈성 위궤양, 복부팽만, 홍반, 외상치유지연, 두통, 경련, 피부쇠약, 안압항진 등.
Ranitidine
2Amp #2 iv
H2차단체 - 위-십이지장궤양, 마취전 투약, 수술후 궤양, NSAID투여로 인한 십이지장궤양, 상부소화기출혈, 급성위염일 경우 증상 완화.
두드러기, 발진, 발열, 기관지경련, 저혈압, 재생불량성 빈혈, 졸음, 오심,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식욕부진 등.
Mexol
3Amp #3 iv
위장운동 조절 및 진경제.
악성신경마비증후군, 무월경, 여성형 유방, 수지진전, 근경직, 초조감, 복통, 설사 등
Netilmycin
2Amp #2 iv
Aminoglycoside계 항생제 - 비뇨기계감염, 기관지염, 폐렴, 하기도감염, 패혈증, 관절ㆍ복부감염증, 수술후 감염예방.
Shock, 과민증, 간장애, 신장애, 오심, 구토, 호흡곤란, 청색증, 부종, 빈혈, 주사부위의 동통 등.
Mucosten
2Amp #2 iv
진해거담제 - 급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천식, 수술후 폐합병증 치료 및 예방에서의 객담배출.
오심, 구토, 설사, 가슴앓이, 식욕부진, 오한, 발열, 발진.
Botropase
3Amp #3 iv
혈액응고제, 지혈제. 출혈, 1ㆍ2차 출혈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
과민반응, Shock 유사증상.
Varoin
3Amp #3 iv
항경련제 -
간질, 수술 후 및 외상 후 발작예방.
간 손상, 의식혼미, 두통, 경련, 불안, 복시, 공격성, 행동과다증, 빈혈, 백혈구감소, 혈소판감소,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청각손상, 뇌위축, 치매, 부종 등.
Hartmann
Hartmann 1ℓ + Naloxone 3Amp mix. iv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metabolic acidosis 보정.
대량, 급속 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부종.
Naloxone
아편류에 의한 호흡억제를 포함한 마약억제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역전, 급성마약 용량초과의 진단, 마취제(N2O) 및 정신신경안정제(diazepam)의 과량 투여로 인한 호흡억제의 역전, Stroke,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애 완화.
오심, 구토, 발한, 빈맥,
혈압증가, 전율, 저혈압, 심실성 빈맥, 세동 및 폐부종, 경련 등.
2.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의식장애로 인한 분비물 배출곤란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ㆍ환자의 상태는 coma상태이다.
ㆍSelf Respiration이 없다.
ㆍ기도 내 분비물을 자신의 의지로 전혀 배출시키지
못한다.
목표
ㆍ기관내의 원활한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ㆍ충분한 환기를 유지한다.
계획
ㆍVentilator를 적용하여 호흡을 15회로 유지시킨다.
ㆍAirway를 적용한다.
ㆍ기관내 분비물을 suction 해준다.
ㆍ호흡기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ㆍsemi Fowler Position을 취해준다.
수행
ㆍVentilator를 적용하여 호흡을 15회/min.로 유지시키고
1시간마다 V/S을 체크하였다.
ㆍ기도개방을 위해 Airway를 적용하였다.
ㆍ기도개방 및 청결을 위해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하였다.
ㆍ2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드렸다.
ㆍsemi Fowler Position을 취해 드렸다.
평가
ㆍ호흡수가 15회/min.로 유지되었다.(충분한 환지유지)
ㆍsuction으로 기도개방성이 증가되었다.
간호진단 #2.
부동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ㆍ발적이나 습진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각과 움직임
이 전혀 없는 환자의 상태로 보아 잠재적인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이 있다.
목표
ㆍ등과 둔부, coccyx부위가 발적이 없고, 욕창으로 진전되는 것을
막는다.
계획
ㆍ체위변경시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ㆍ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준다.
ㆍ뼈가 돌출된 부위, 발적된 부위를 마사지한다.
ㆍ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수행
ㆍ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켜 드렸다.
ㆍ체위변경시 피부상태를 사정했다.
ㆍ뼈가 돌출된 부위, 발적된 부위는 마사지해 드렸다.
ㆍ체위변경시 Back care를 실시하였다.
평가
ㆍ욕창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피부가 깨끗하고 냄새가 나지 않는다.
간호진단 #3.
무의식으로 인한 자가간호 결여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ㆍcoma 상태로 자가간호가 결여되었다.
ㆍ혀에 백태가 심했고 입술주위가 마르고 건조하였다.
ㆍ환자에게서 좋지 못한 냄새가 난다.
목표
ㆍ구강이 청결하고, 환자에게서 냄새가 나지 않는다.
계획
ㆍduty 때마다 2번이상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ㆍ물티슈로 얼굴 및 몸을 닦아준다.
ㆍ회음부 간호를 매일 시행한다.
수행
ㆍ4시간마다 구강간호를 시행하였다.
ㆍ매일 물티슈로 얼굴과 몸을 닦아드렸다.
ㆍBack care시마다 회음부 간호를 시행하였다.
평가
ㆍ혀의 백태가 많이 사라졌고 구강이 청결하였으며, 냄새도 나지 않았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하) / 전시자 외/ 현문사(2005) 전시자 외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Ⅰ/Sigma theta tau Lambda, 고일선 외/ 현문사(2004)
www.naver.com
목 차
Ⅰ. 문헌고찰
1. ICH 정의
2. ICH 원인
3. ICH 증상
4. ICH 진단
5. ICH 치료
6. ICH 간호
Ⅱ. Case Study
1. 간호사정
ⅰ. 입원환자 건강상태 사정
ⅱ.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ⅲ. Medication(투약)
2. 간호과정
Case Study
Intracerebral Hemorrhage(ICH;뇌내출혈)
담당교수님:
학번 :
이름 :
추천자료
ICH 질환간호
SICU CASE STUDY(뇌출혈 대상자)
뇌수종(Hydrocephalus)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력/문헌고찰/뇌출혈
신경외과 케이스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두개절제술(craniectomy) 간호과정, 간호진단
신경외과 뇌출혈 질병레포트
작업관련 뇌•심혈관, 그 예방대책은 무엇인가?
영역별 뇌 기능 및 증상
수술실 -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뇌혈관질환(뇌졸중) (Cerebrovascular disease).ppt
응급실 케이스 - 뇌출혈(지주막하출혈)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 뇌농양 (brain abscess)
성인간호학 케이스. A+, 간호진단 4개, Cerebral infarction(뇌경색) 후회없으실겁니다.
간호,case study,성인(병동,신경과), 뇌졸증(stroke),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동서협진과 CASE] 뇌출혈과 특발성 골다공증 여환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