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케이스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두개절제술(craniectomy) 간호과정, 간호진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케이스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두개절제술(craniectomy) 간호과정, 간호진단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찰 대상 및 기간
3. 관찰방법

II. 본 론
1. 문헌고찰 (Cerebrovascular disease)
2. 간호과정
1)개인정보
2)건강력
3)신체검진
4)진단을 위한 검사
5)치료 및 경과
3. 간호진단
-혈액순환 장애와 관련된 뇌조직 관류변화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Tube 삽입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개방적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부동 및 억제대와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Ⅲ. 결론

본문내용

호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신경외과 중환자 간호중재를 논리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신경외과 중환자 간호 분야의 기본적인 현상을 체계화하여 간호의 전문성을 가시화하고 간호연구 및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 관찰 대상 및 기간
본 관찰은 2010년 3월 2일부터 5일까지 Lt. side weakness를 주호소로 하여 Rt. Cerebral Infarction을 진단받고 decompressive Rt. craniectomy를 위해 입원하신 71세 female. pt를 관찰하였다.
3. 관찰방법
본 관찰은 문헌 고찰, 관찰, 환자 chart, cardex,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모든 간호에 적용할 이론적 근거는 간호문헌을 고찰하여 기록하였다.
II. 본 론
1. 문헌고찰
Cerebrovascular disease
뇌혈관질환은 허혈성 병소를 일으키는 폐쇄성 뇌혈관질환과 두개강내 출혈을 동반하는 출혈성 뇌혈관질환으로 대별할 수 있다. 뇌혈관질환의 발병은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겨울철과 봄철에 많고, 여름철에는 적은 경향이 있다. 또한 뇌혈관질환은 중년 후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나이에 따라 발병 환자 수가 증가하고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에서 더 많이 발생함을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남성에 더 호발함을 보여주었고 모든 형태의 심장질환이 뇌경색의 위험율을 높이며 특히 심방세동과 경색성 심질환에서 높은 위험율을 보인다. 혈중 cholesterol과 TG(griglyceride) 수치는 55세전의 남성에 위험율을 높이고 비만, 흡연, 운동부족도 위험인자이다. 뇌혈관 질환을 병리학적으로 분류하면, 폐쇄성 뇌혈관 질환에는 뇌혈전증과 뇌색전증이 있으며, 출혈성 뇌혈관 질환에는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과 지주막하출혈이 있다. 성인의 뇌혈관 질환을 원이에 따라 분류하면 1)죽상경화성 혈전증 2)색전증 3)고혈압성 뇌내출혈 4)동맥류 5)혈관기형 6)동맥염 7)혈전성정맥염 8)혈액질환 9)모야모야병
1)허혈성 뇌혈관 질환
허혈성 뇌혈관 질환이란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에 여러 가지 형태의 병리학적 이상이 발생되어 국소적으로 정상적 뇌혈류의 장래를 초래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2)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분류
뇌경색(70%), 큰동맥 협착이나 폐색(6%), 동맥병변과 더불어 나타나는 뇌경색(4%), 소와경색(lacune,19%), 심장성원인(14%),원인불명 뇌경색(28%),뇌출혈(27%),대뇌내출혈(13%),뇌지주막하출혈(13%), 기타(3%)
3)뇌경색의 형태
허혈성 뇌경색은 병리학적 소견으로 완화된 무자극성 뇌경색(bland infaction)과 출혈성 뇌경색(hemorrhagic infarct)으로 나눌 수 있다. Bland형은 혈전이 원인이 되며 흔히 혈관폐쇄가 지속되어 경색된 부위에 혈액의 재관류가 방해됨으로써 창백하거나 완화된 뇌경색을 말하며 순환혈액이 노출된 부위에 수일내에 광범위한 백혈구의 침윤이 보여지고 수주후에는 대식세포들이 경색된 부위에 나타나 수개월에 걸쳐 경색 후 발생된 모든 부산물을 제거할 때 까지 활동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적혈구는 단지 산재된 정도로 발견될 뿐이다. 출혈성 뇌경색은 괴사된 조직속에 2~3개의 점상출혈에서 혈종에 이르는 여러 가지 형태의 출혈을 나타낸다. 늦으면 2주 이상에 걸쳐 나타난다. 발생언인은 아마도 저산소 모세혈관내로 동맥혈의 전압력이 가해지면 이들의 저산소벽을 통하여 적혈구가 유출됨으로써 발생한다. 출혈성 뇌경색은 혈관폐색이 소실된 후 뇌경색 부위의 혈관상에 재관류가 재개됨으로써 발생된다. 즉 색전자의 파편이 말단부로 이동 후 또는 이미 비교적 광범위한 뇌경색이 되있는 상태에서 큰 혈관 폐색의 조기 재개통 후에 발생된다고 생각되어 왔다.
혈액의 재관류가 강하면 강할수록 또 모세혈관벽의 손상이 심하면 심할수록 출혈성 뇌경색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드문 경우에 지속적인 혈관폐색 부위에 말초 즉 역행성 측부혈행에 노출되는 혈관상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뇌경색의 과정은 좀더 급성이거나 중증이며 이런 것은 재관류 자체보다는 동맥혈압이 더 관여된다.
4)허혈성 뇌혈관질환의 세분형
a. 큰동맥의 혈전증으로 인한 뇌경색(infarct with large artery thrombosis)
뇌내 큰동맥(특히 내경동맥의 기시부나 분지부)에 죽상동맥경화성 병소(atherosclerotic lesion)로 인하여 발생되는 심한 협착이나 폐색으로 인하여 해당되는 혈관의 말초부위에 뇌혈류 장애로 초래된다. 임상증상에 타 형과 다른 특이함은 없지만 심장색전성 뇌경색(cardioembolic infart)보다는 상지의 마비가 경하고 고혈압, 당뇨 그리고 남성에 발병 시에는 이 형에 가깝다.
b. 동맥병변에 따라 나타나는 뇌경색(infart with tandem arterial pathology)
죽상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혈관폐색과 이 병변 부위에 기시부에서 죽종(atheroma)이 EJfdjwu 나가 좀더 akfchWHr에 위치된 건강한 혈관 분지로 색전증을 일으켜 경색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색전파편들은 협착이나 궤양이 두개강외 동맥들, 커다란 대뇌동맥근간, 뇌기저동맥, 내경동맥 그리고 폐색된 경동맥 상부 등에 색전증을 일으키며 또한 전진혈전의 두개강내 말단에서 조차도 색전증은 발생)
5)허혈성 뇌혈관질환의 임상적 평가
a. 병력 및 진찰
b. 신경혈관 진찰(Neurovascular examination)
심장박동리듬 :심장박동리듬의 변화가 발견되면 심전도로 검사하여야 하며, 심방세동은 색전증의 원인이 되는 수가 많다.
맥박 :요골동맥, 천측두동맥, 경동맥, 쇄골하동맥의 맥박을 촉진하여 맥박의 약화, 소실 혹은 지연이 있는지 발견하여야 한다. 내경동맥의 협착이 심하거나 폐쇄가 있을 경우에는 외경동맥의 분지인 천측두동맥의 맥박 진폭이 증가하는 수가 있다. 반대로 천측두동맥의 맥박 진폭이 감소되어 있을 때는 총경동맥 혹은 외경동맥의 협착 혹은 폐쇄를 의심하여야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3.2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