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주의 비평
2. 신화원형 비평방법
3. 페미니즘 비평
4. 독자중심 비평
5. 문화연구 비평
2. 신화원형 비평방법
3. 페미니즘 비평
4. 독자중심 비평
5. 문화연구 비평
본문내용
편의 시를, 예컨대 서사시나 비극이나 전원시로서 평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가다머는 과거문학에 대한 모든 해석은 과거와 현재의 대화에서 나온다고 주장했다.
6)스탠리 피쉬의 ‘독자의 경험’
20세기 영문학비평가인 미국의 스탠리 피쉬는 “영향론적 문체론”이라는 독자중심이론을 전개해왔다. 그는 낱말이 문장 속에서 시간에 따라 연속되어지는 데 따라 발전하는 독자의 반응에 관심을 집중시킨다. 즉, 낱말의 연속에 따라 독자의 반응은 다를 수 있다. 피쉬는 그의 초기 저서가 자신의 독서체험을 규범으로 취급한 것임을 인정하고서 ‘해석적 공동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초기의 입장을 정당화하려 한다. 피쉬는 결국 독자가 ‘독서할 때면 내가 했던 바를 그대로 하도록 공동체적 가설들’을 채택하라고 설득하는 셈이다.
7) 미셸 리파떼르의 ‘문학적 능력’
리파떼르는 <시의 기호학>에서 자기나름의 이론을 전개한다. 시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는 통상적인 언어적 능력만 있으면 되지만, 독자라면 시를 읽을 때 종종 마주치는 ‘비문법적인 부분들’을 다루기 위해 ‘문학적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기에 독자는 어쩔 수 없이 텍스트의 비문법적 자질들을 설명해줄 더 높은 의미차원을 찾아내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하나의 구조적 ‘주형’이 드러나는데, 이 주형은 한 문장 혹은 한 낱말로까지 좁혀질 수 있다. 시는 주형의 드러난 형태들, 다시 말해 낯익은 진술, 인용구, 관습적 연상 등을 통해 그 주형과 맺어진다. 이 실재의 형태들을 ‘하이포그램’이라고 한다. 궁극적으로 시에 통일성을 주는 것은 주형이다.
8)조나산 컬러의 독서관습
조나산 컬러는 독서이론은 독자의 해석작용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해온 사람이다. 그는 텍스트를 문학으로서 읽기 위해서는 ‘문학적 능력’을 가져야 하며, 이는 일사억인 언어의 발화를 이해하려면 보다 일반적인 ‘언어적 능력’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우리는 교욱제도를 통해 이러한 문학의 ‘문법’을 습득한다. 훌륭한 교사, 일류교사로부터 문학적 능력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9) 노먼 홀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의 ‘독자심리’
노먼 홀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의 이론은 특수하다. 그 이론에 따르면 어린이는 누구나 어머니로부터 ‘일차적 정체성’의 흔적을 얻는다는 것이다. 성인은 ‘정체성 테마’를 가지는데, 이는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좋아하거나 관심을 가지거나 유익하다고 느끼는 테마이다. 그리고 독자의 자발적 반응은 다른 경우가 많다. 그리고 비평문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동기를 유발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비평가가 애를 써서 자기의 견해의 성장과 기원을 설명할수록 특정한 해석은 더 많은 의미를 얻게 되는데, 가르치는 자리에서 이것은 ‘반응 진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뒤따를 해석적 판단의 ‘동기유발적 토대’가 형성된다.
10)결언
이상의 독자중심이론에 대한 생각은 각자 다를 수 있어도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기여를 고려하지 않고는 텍스트의 의미를 말하지 못한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5. 문화연구
1)범주(15개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
①문화 연구의 역사 ②젠더와 섹슈얼리티 ③국민성과 국민적 아이덴티티 ④식민지주의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 ⑤인종과 민족성⑥대중 문화와 audience(여기서는 청중이 아니라 관중) ⑦과학과 생태 ⑧정치학 ⑨교육학 ⑩미학의 정치학 ⑪문화적 여러 제도 ⑫훈련 정치학 ⑬담론과 텍스트성
⑭역사학 ⑮프스트 모던시대의 글로벌 문화
2)방법론
연구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독창적인 것은 아니다. 통계분석은 문화 연구에 사용될 가능성이 많다. 텍스트 분석은 이것을 연구한다하더라도 실용적인가? 전략적인가? 반성적인가? 방법론에 따르는 실천국면들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느냐를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한다. 사고 방식, 생존을 위한 전략을 공급해 준다. 저항을 위한 자원을 공급해준다. 그리고 사회조사, 음소 분석 또는 rhizome(뿌리,줄기)의 시각으로 분석한다. 즉 근원적으로 어떤 상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상황속에 들어 있는 내재성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3)‘culture'의 내재적 성격
세 가지의 성격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문학의 정태적 측면으로 여기서 정태적 측면이란 머물러 있는 측면을 말한다. 둘째 엘리트주의적 측면, 셋째 모든 상징적 활동을 포괄하는 많은 관념들을 포함해야 한다.
4)‘문화연구’에서 ‘문화’개념
첫째, 생활방식과 문화적 여러 실천의 전 범위를 포함한다. 즉 양쪽을 의미하는 말이다. 생활방식은 여러 관념, 태도, 언어, 실천, 제도 등이고 문화적 여러 실천의 전 범위란 예술 형식, 건축, 정전 등을 포함한다. 둘째, 특정한 역사적 사회에서의 여러 실천, 표상, 언어, 습관의 현실적이고도 기초적인 영역이며, 사람들의 생활에 뿌리를 내리고 그것을 형성하는 데 일조가 되는 공동 감각이 모순된 여러 형태이다.
5)문화연구의 이론과 실천
문화연구에서 이론은 불안정하고 고정적일 수 없다. 환경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이다. 실천하는데에 적용하게 된다면 항시 비판적인 입장에서 실천하게 된다. 실천된 결과는 실제와는 차이가 있다.
6)정전(canon)과 문맥
정전을 끊임없이 붕괴시키려고 한다. 정전은 고정된 담고 있는데, 그러면 변화 상황을 극복할 수 없다. ( 단, 십계명과 같은 종교 교리는 인정한다) 그러기에 새로운 정전을 만들려고 한다.
7) 그 외..
영국의 경우 현대 문학 연구소가 생겼으며, 대중적인 것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즉, 인정하고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신민족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하는데, 좀 다르게 써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목소리가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민족지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학 양상의 세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지배적 문화가 있다. 지배적 문화는 말 그대로 그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문화이다. 예를 들어 유교문화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둘째 잔여적 문화가 있다. 마지막으로 부상적 문화가 있다. 이는 그 당대에 갑자기 부곽된 문화로 예를 들어, 기부 문화를 들 수 있다. 이 세가지가 포괄적으로 존재하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다.
6)스탠리 피쉬의 ‘독자의 경험’
20세기 영문학비평가인 미국의 스탠리 피쉬는 “영향론적 문체론”이라는 독자중심이론을 전개해왔다. 그는 낱말이 문장 속에서 시간에 따라 연속되어지는 데 따라 발전하는 독자의 반응에 관심을 집중시킨다. 즉, 낱말의 연속에 따라 독자의 반응은 다를 수 있다. 피쉬는 그의 초기 저서가 자신의 독서체험을 규범으로 취급한 것임을 인정하고서 ‘해석적 공동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초기의 입장을 정당화하려 한다. 피쉬는 결국 독자가 ‘독서할 때면 내가 했던 바를 그대로 하도록 공동체적 가설들’을 채택하라고 설득하는 셈이다.
7) 미셸 리파떼르의 ‘문학적 능력’
리파떼르는 <시의 기호학>에서 자기나름의 이론을 전개한다. 시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는 통상적인 언어적 능력만 있으면 되지만, 독자라면 시를 읽을 때 종종 마주치는 ‘비문법적인 부분들’을 다루기 위해 ‘문학적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기에 독자는 어쩔 수 없이 텍스트의 비문법적 자질들을 설명해줄 더 높은 의미차원을 찾아내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하나의 구조적 ‘주형’이 드러나는데, 이 주형은 한 문장 혹은 한 낱말로까지 좁혀질 수 있다. 시는 주형의 드러난 형태들, 다시 말해 낯익은 진술, 인용구, 관습적 연상 등을 통해 그 주형과 맺어진다. 이 실재의 형태들을 ‘하이포그램’이라고 한다. 궁극적으로 시에 통일성을 주는 것은 주형이다.
8)조나산 컬러의 독서관습
조나산 컬러는 독서이론은 독자의 해석작용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해온 사람이다. 그는 텍스트를 문학으로서 읽기 위해서는 ‘문학적 능력’을 가져야 하며, 이는 일사억인 언어의 발화를 이해하려면 보다 일반적인 ‘언어적 능력’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우리는 교욱제도를 통해 이러한 문학의 ‘문법’을 습득한다. 훌륭한 교사, 일류교사로부터 문학적 능력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9) 노먼 홀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의 ‘독자심리’
노먼 홀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의 이론은 특수하다. 그 이론에 따르면 어린이는 누구나 어머니로부터 ‘일차적 정체성’의 흔적을 얻는다는 것이다. 성인은 ‘정체성 테마’를 가지는데, 이는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좋아하거나 관심을 가지거나 유익하다고 느끼는 테마이다. 그리고 독자의 자발적 반응은 다른 경우가 많다. 그리고 비평문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동기를 유발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비평가가 애를 써서 자기의 견해의 성장과 기원을 설명할수록 특정한 해석은 더 많은 의미를 얻게 되는데, 가르치는 자리에서 이것은 ‘반응 진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뒤따를 해석적 판단의 ‘동기유발적 토대’가 형성된다.
10)결언
이상의 독자중심이론에 대한 생각은 각자 다를 수 있어도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기여를 고려하지 않고는 텍스트의 의미를 말하지 못한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5. 문화연구
1)범주(15개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
①문화 연구의 역사 ②젠더와 섹슈얼리티 ③국민성과 국민적 아이덴티티 ④식민지주의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 ⑤인종과 민족성⑥대중 문화와 audience(여기서는 청중이 아니라 관중) ⑦과학과 생태 ⑧정치학 ⑨교육학 ⑩미학의 정치학 ⑪문화적 여러 제도 ⑫훈련 정치학 ⑬담론과 텍스트성
⑭역사학 ⑮프스트 모던시대의 글로벌 문화
2)방법론
연구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독창적인 것은 아니다. 통계분석은 문화 연구에 사용될 가능성이 많다. 텍스트 분석은 이것을 연구한다하더라도 실용적인가? 전략적인가? 반성적인가? 방법론에 따르는 실천국면들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느냐를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한다. 사고 방식, 생존을 위한 전략을 공급해 준다. 저항을 위한 자원을 공급해준다. 그리고 사회조사, 음소 분석 또는 rhizome(뿌리,줄기)의 시각으로 분석한다. 즉 근원적으로 어떤 상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상황속에 들어 있는 내재성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3)‘culture'의 내재적 성격
세 가지의 성격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문학의 정태적 측면으로 여기서 정태적 측면이란 머물러 있는 측면을 말한다. 둘째 엘리트주의적 측면, 셋째 모든 상징적 활동을 포괄하는 많은 관념들을 포함해야 한다.
4)‘문화연구’에서 ‘문화’개념
첫째, 생활방식과 문화적 여러 실천의 전 범위를 포함한다. 즉 양쪽을 의미하는 말이다. 생활방식은 여러 관념, 태도, 언어, 실천, 제도 등이고 문화적 여러 실천의 전 범위란 예술 형식, 건축, 정전 등을 포함한다. 둘째, 특정한 역사적 사회에서의 여러 실천, 표상, 언어, 습관의 현실적이고도 기초적인 영역이며, 사람들의 생활에 뿌리를 내리고 그것을 형성하는 데 일조가 되는 공동 감각이 모순된 여러 형태이다.
5)문화연구의 이론과 실천
문화연구에서 이론은 불안정하고 고정적일 수 없다. 환경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이다. 실천하는데에 적용하게 된다면 항시 비판적인 입장에서 실천하게 된다. 실천된 결과는 실제와는 차이가 있다.
6)정전(canon)과 문맥
정전을 끊임없이 붕괴시키려고 한다. 정전은 고정된 담고 있는데, 그러면 변화 상황을 극복할 수 없다. ( 단, 십계명과 같은 종교 교리는 인정한다) 그러기에 새로운 정전을 만들려고 한다.
7) 그 외..
영국의 경우 현대 문학 연구소가 생겼으며, 대중적인 것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즉, 인정하고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신민족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하는데, 좀 다르게 써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목소리가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민족지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학 양상의 세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지배적 문화가 있다. 지배적 문화는 말 그대로 그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문화이다. 예를 들어 유교문화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둘째 잔여적 문화가 있다. 마지막으로 부상적 문화가 있다. 이는 그 당대에 갑자기 부곽된 문화로 예를 들어, 기부 문화를 들 수 있다. 이 세가지가 포괄적으로 존재하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다.
추천자료
- [문학토의]문학토의(토의중심 문학교육)의 의의, 문학토의(토의중심 문학교육)의 성격, 문학...
- [문학교육][상호문화적 학습][키치문학]문학교육의 특징, 문학교육의 목적, 문학교육의 과정,...
- [문학치료][문학치료의 정의][문학치료의 단계][문학치료의 장점][외국의 문학치료 사례][문...
- [문학교육][문학교육 방법]문학교육의 의의, 문학교육의 필연성, 문학교육의 이론, 문학교육...
- 문학 교육 방법 & 문학 교육과정 분석
- [문학교육 방법론][인권교육 방법론][현장교육연구 방법론][국어교육 방법론][기업교육 방법...
- [문학교육][문학감상]문학교육의 성격, 문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문학교육의 지향점, 문학감...
- [문학교육A+] 고등학교 문학(상) 이청준의 &#65378;병신과 머저리&#65379; 줄거리와 ...
- 다문화 사회에서 아동문학의 역할 및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 다문화 이해를 위한 문학활동을...
- [향가][향가 정의][향가 형식][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표현방법][향가 사상][향가 상징]...
- [아동문학] 문학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가지 활동 및 방법에 대해 의견을 제시
-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반응중심 동화 교육의 방법 - 창의적 사고와 반응중심 문학교육,...
- 유아문학의 장르에 대하여 서술하고, 그림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과 접근방법에 대하여 ...
- 현대문학사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