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문학교육의 성격
Ⅲ. 문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Ⅳ. 문학교육의 지향점
Ⅴ. 문학감상의 개념
Ⅵ. 문학감상의 작품선정기준
1. 문화적 문식성을 기를 수 있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2. 감동을 주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3. 다의적(多意的) 독서가 가능한 문학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4. 초인지 학습을 유도하는 문학 작품과 학습 활동이어야 한다
Ⅶ. 문학감상의 빈자리 메우기
Ⅷ. 문학감상의 웹토의문학감상학습
1.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목표
2.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내용
1)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2) 단원의 재구성
참고문헌
Ⅱ. 문학교육의 성격
Ⅲ. 문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Ⅳ. 문학교육의 지향점
Ⅴ. 문학감상의 개념
Ⅵ. 문학감상의 작품선정기준
1. 문화적 문식성을 기를 수 있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2. 감동을 주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3. 다의적(多意的) 독서가 가능한 문학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4. 초인지 학습을 유도하는 문학 작품과 학습 활동이어야 한다
Ⅶ. 문학감상의 빈자리 메우기
Ⅷ. 문학감상의 웹토의문학감상학습
1.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목표
2.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내용
1)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2) 단원의 재구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해설과 기성(旣成)의 문학적 해석을 단순 수용하도록 하는 데 있지 않고, 학습자의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인 작품의 해석과 비평 활동을 강조하여 문학적 목적으로 국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지적으로 향상시켜 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제 7 차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습을 포괄하여 ‘전문’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지적 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문학에 대한 지식이 있음을 밝히고, 문학에 대한 지식의 교육 목적이 문학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 위한 지식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 지식은 개별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실제의 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국면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실제의 문학 활동을 통해 그러한 지식이 습득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국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사상과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의 향상을 강조하였다. 정의적 교육 내용과 관련해서는 정의적 태도 형성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여 제시하였는데, 문학과 관련해서는 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 문학 작품을 가까이하고 독서록을 작성하는 태도의 형성 등을 말할 수 있겠다.
문학 교육의 다양한 목표 진술을 종합하고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근거와 가능성을 토대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문학교육의 목표 설정을 수용하여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학습자가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을 통하여 흥미를 갖고, 문학의 미적 감수성을 세련시키며, 문학적 상상력을 계발시키고, 문학이 인간 삶의 다양한 양상들을 포착하는 방식과 양상을 경험하게 하는 데 있다.
2.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내용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을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으로 나누어 수준별로 제시하고 있다. 국어과에서 수준별 수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더 논의되어야 하나, 본 연구는 반응 중심의 문학 수업의 특성인 공동체간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므로 개별 아동의 지적 수준에 의해 학습 내용을 나누지 않고 반응의 심화 단계 및 내면화 단계에서 개별 아동의 수준별 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였다. 특히 내면화 단계에서 감상을 보다 확장하는 의미로 부분적 창작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내용을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내용으로 하되 웹 토의 학습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웹과 토의의 기본 기술 익히기 내용을 더 두어 학습의 준비기에서 지도하도록 하였다.
1)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4학년 수준의 문학 영역 학습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1)〕작품의 구성 요소를 안다.
【기본】 동시, 동화나 소설, 극본의 구성 요소를 안다.
【심화】 작품에서 동시, 동화나 소설, 극본의 구성 요소가 어떤 구실을 하는지 말한다.
[문-(2)〕작품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주제를 파악한다.
【기본】 인물, 사건, 배경 등을 통하여 동화나 소설, 극본의 주제를 파악한다.
행과 연, 운율, 분위기 등을 통하여 동시의 주제를 파악한다.
【심화】 작품의 주제와 구성 요소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파악한다.
〔문-(3)〕작품의 구성 요소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한다.
【기본】 자신의 경험이나 처지에 비추어 작품의 구성 요소에 생각이나 느낌을 말한다.
【심화】 작품의 구성 요소를 어떻게 바꾸어 보고 싶은지 친구들과 이야기한다.
〔문-(4)〕작품에 나타난 인물의 삶의 모습을 이해한다.
【기본】 작품의 시대 배경과 관련지어 인물의 삶의 모습에 대하여 말한다.
【심화】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삶의 모습을 작품에 반영된 시대적, 문화적 상황과 관련지어 말한다.
〔문-(5)〕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을 이해한다.
【기본】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심화】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에 대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이를 작품 읽기에 활용한다.
〔문-(6)〕읽은 작품에 대해 독서록을 작성하는 태도를 지닌다.
【기본】 작품을 스스로 찾아 읽고, 작가, 작품명, 줄거리와 느낌을 정리하여 독서록을 작성한다.
【심화】 독서록을 친구들과 서로 바꾸어 읽고, 책의 내용에 대한 친구들의 생각을 알아본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4학년 문학 영역의 내용 요소를 분석해 보면 대체로 인지적 내용 영역의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의 구성 요소를 안다거나 작품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주제를 파악한다는 것은 모두 인지적 영역의 학습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품의 구성 요소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한다거나 작품에 나타난 인물의 삶의 모습을 이해하고,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을 이해하는 것도 Bloom의 학습 목표 분류에 의하면 인지적 영역의 이해 부분에 속하는 것이다. 읽은 작품에 대해 독서록을 작성하는 태도를 지닌다는 서술은 정의적 영역의 내용 요소로 볼 수 있다. 이렇게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문학 영역의 학습 내용은 인지적 내용 영역에 치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인지적 목표 지향의 내용 요소가 과연 실제 아동의 반응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중 어떤 것에 더 많은 반응을 보일지의 문제도 반응 분석에서 흥미로운 문제가 될 것이다.
2) 단원의 재구성
현행 읽기 교과서의 단원 체제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목표를 기준으로 하며 교과서 외의 대체 자료를 투입하였다. 웹 토의 학습의 기술적인 부분의 지도를 위하여 토의 학습 전 단계에 학습 준비기를 두었다. 연구의 편의를 위해 문학 제재를 추출하여 학습 시기를 조정하였으며, 교사용 지도서에는 단원별로 몇 개의 교육과정 학습 내용이 관련됨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 차시 안에서 4학년의 교육과정 내용 요소가 통합적으로 다루어지게 재구성하였다.
참고문헌
김혜영·김남천(1990) : 문학의 현실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경규진(1993) :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백영균(1999) : 웹 기반 학습의 설계, 양서원
송지현(2003) : 문학교육의 본질과 방법, 푸른사상사
제임스 그리블, 나병철역 : 문학교육론
최운식 외(1986) : 문학교육론, 서울 : 집문당
제 7 차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습을 포괄하여 ‘전문’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지적 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문학에 대한 지식이 있음을 밝히고, 문학에 대한 지식의 교육 목적이 문학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 위한 지식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 지식은 개별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실제의 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국면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실제의 문학 활동을 통해 그러한 지식이 습득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국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사상과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의 향상을 강조하였다. 정의적 교육 내용과 관련해서는 정의적 태도 형성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여 제시하였는데, 문학과 관련해서는 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 문학 작품을 가까이하고 독서록을 작성하는 태도의 형성 등을 말할 수 있겠다.
문학 교육의 다양한 목표 진술을 종합하고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근거와 가능성을 토대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문학교육의 목표 설정을 수용하여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학습자가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을 통하여 흥미를 갖고, 문학의 미적 감수성을 세련시키며, 문학적 상상력을 계발시키고, 문학이 인간 삶의 다양한 양상들을 포착하는 방식과 양상을 경험하게 하는 데 있다.
2.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내용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을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으로 나누어 수준별로 제시하고 있다. 국어과에서 수준별 수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더 논의되어야 하나, 본 연구는 반응 중심의 문학 수업의 특성인 공동체간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므로 개별 아동의 지적 수준에 의해 학습 내용을 나누지 않고 반응의 심화 단계 및 내면화 단계에서 개별 아동의 수준별 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였다. 특히 내면화 단계에서 감상을 보다 확장하는 의미로 부분적 창작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내용을 웹 토의 문학 감상 학습의 내용으로 하되 웹 토의 학습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웹과 토의의 기본 기술 익히기 내용을 더 두어 학습의 준비기에서 지도하도록 하였다.
1)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4학년 수준의 문학 영역 학습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1)〕작품의 구성 요소를 안다.
【기본】 동시, 동화나 소설, 극본의 구성 요소를 안다.
【심화】 작품에서 동시, 동화나 소설, 극본의 구성 요소가 어떤 구실을 하는지 말한다.
[문-(2)〕작품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주제를 파악한다.
【기본】 인물, 사건, 배경 등을 통하여 동화나 소설, 극본의 주제를 파악한다.
행과 연, 운율, 분위기 등을 통하여 동시의 주제를 파악한다.
【심화】 작품의 주제와 구성 요소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파악한다.
〔문-(3)〕작품의 구성 요소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한다.
【기본】 자신의 경험이나 처지에 비추어 작품의 구성 요소에 생각이나 느낌을 말한다.
【심화】 작품의 구성 요소를 어떻게 바꾸어 보고 싶은지 친구들과 이야기한다.
〔문-(4)〕작품에 나타난 인물의 삶의 모습을 이해한다.
【기본】 작품의 시대 배경과 관련지어 인물의 삶의 모습에 대하여 말한다.
【심화】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삶의 모습을 작품에 반영된 시대적, 문화적 상황과 관련지어 말한다.
〔문-(5)〕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을 이해한다.
【기본】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심화】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에 대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이를 작품 읽기에 활용한다.
〔문-(6)〕읽은 작품에 대해 독서록을 작성하는 태도를 지닌다.
【기본】 작품을 스스로 찾아 읽고, 작가, 작품명, 줄거리와 느낌을 정리하여 독서록을 작성한다.
【심화】 독서록을 친구들과 서로 바꾸어 읽고, 책의 내용에 대한 친구들의 생각을 알아본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4학년 문학 영역의 내용 요소를 분석해 보면 대체로 인지적 내용 영역의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의 구성 요소를 안다거나 작품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주제를 파악한다는 것은 모두 인지적 영역의 학습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품의 구성 요소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한다거나 작품에 나타난 인물의 삶의 모습을 이해하고,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사고 방식을 이해하는 것도 Bloom의 학습 목표 분류에 의하면 인지적 영역의 이해 부분에 속하는 것이다. 읽은 작품에 대해 독서록을 작성하는 태도를 지닌다는 서술은 정의적 영역의 내용 요소로 볼 수 있다. 이렇게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문학 영역의 학습 내용은 인지적 내용 영역에 치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인지적 목표 지향의 내용 요소가 과연 실제 아동의 반응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중 어떤 것에 더 많은 반응을 보일지의 문제도 반응 분석에서 흥미로운 문제가 될 것이다.
2) 단원의 재구성
현행 읽기 교과서의 단원 체제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목표를 기준으로 하며 교과서 외의 대체 자료를 투입하였다. 웹 토의 학습의 기술적인 부분의 지도를 위하여 토의 학습 전 단계에 학습 준비기를 두었다. 연구의 편의를 위해 문학 제재를 추출하여 학습 시기를 조정하였으며, 교사용 지도서에는 단원별로 몇 개의 교육과정 학습 내용이 관련됨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 차시 안에서 4학년의 교육과정 내용 요소가 통합적으로 다루어지게 재구성하였다.
참고문헌
김혜영·김남천(1990) : 문학의 현실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경규진(1993) :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백영균(1999) : 웹 기반 학습의 설계, 양서원
송지현(2003) : 문학교육의 본질과 방법, 푸른사상사
제임스 그리블, 나병철역 : 문학교육론
최운식 외(1986) : 문학교육론, 서울 : 집문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