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독론과 구원론
Ⅱ. 그리스도의 본질
1. 하나님의 아들
1) 그리스도의 자각 (The Consciousness of Christ)
2) 예수의 주장 (The Claims of Jesus)
3) 그리스도의 권위(The Autrority of Christ)
4) 그리스도의 결백성 (The Sinlessness of Christ)
5) 제자들의 증언 (The Testimony of the Disciples)
2. 주 (주권)
1) 신성 (Deity)
2) 높임을 받음 (Exaltation)
3) 주 권 (Sovereignty)
3. 인 자 (인간성)
4. 그리스도 (The Christ) 직위와 사명 (Official Title and Mission)
1) 예 언 (The Prophecy)
2) 성 취 (The Fulfilment)
Ⅲ. 그리스도의 신성
1. 그리스도 신성의 의미(意味)
1) 그리스도의 본질에 있어서 신성(神性)
2) 그리스도의 신성의 개념(Concepts)
3) 그리스도의 신성의 중요성(重要性)
2. 신성의 증거
1) 예수의 신적 칭호
2) 그리스도께서 신적인 경배를 받으심
3) 그리스도의 신적 속성
4) 그리스도의 신적 사역
5)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동일시 됨
3. 그리스도 신성을 부정하는 이단설과 현대이론들
1) 잘못된 이단설
2) 현대의 그리스도 신성에 대한 반대론
Ⅳ.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Ⅴ. 그리스도의 이성
1. 인성의 필요성
2. 신성의 필요성
Ⅵ. 그리스도의 죽음
1. 죽음의 사실성
2. 죽음의 내용
3. 죽음의 성질
4. 죽음의 범위
Ⅶ. 구원론적 기독론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
참고문헌
Ⅱ. 그리스도의 본질
1. 하나님의 아들
1) 그리스도의 자각 (The Consciousness of Christ)
2) 예수의 주장 (The Claims of Jesus)
3) 그리스도의 권위(The Autrority of Christ)
4) 그리스도의 결백성 (The Sinlessness of Christ)
5) 제자들의 증언 (The Testimony of the Disciples)
2. 주 (주권)
1) 신성 (Deity)
2) 높임을 받음 (Exaltation)
3) 주 권 (Sovereignty)
3. 인 자 (인간성)
4. 그리스도 (The Christ) 직위와 사명 (Official Title and Mission)
1) 예 언 (The Prophecy)
2) 성 취 (The Fulfilment)
Ⅲ. 그리스도의 신성
1. 그리스도 신성의 의미(意味)
1) 그리스도의 본질에 있어서 신성(神性)
2) 그리스도의 신성의 개념(Concepts)
3) 그리스도의 신성의 중요성(重要性)
2. 신성의 증거
1) 예수의 신적 칭호
2) 그리스도께서 신적인 경배를 받으심
3) 그리스도의 신적 속성
4) 그리스도의 신적 사역
5)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동일시 됨
3. 그리스도 신성을 부정하는 이단설과 현대이론들
1) 잘못된 이단설
2) 현대의 그리스도 신성에 대한 반대론
Ⅳ.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Ⅴ. 그리스도의 이성
1. 인성의 필요성
2. 신성의 필요성
Ⅵ. 그리스도의 죽음
1. 죽음의 사실성
2. 죽음의 내용
3. 죽음의 성질
4. 죽음의 범위
Ⅶ. 구원론적 기독론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마26:47).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 어찌 나를 멀리하여 돕지 아니하옵시며 내 신음하는 소리를 듣지 아니하시나이까”(시22:1).
목마르심과 신포도주를 마시움
“가라사대 내가 목마르다 하시니 거기 신 포도주가 가득히 담긴 그릇이 있는지라 사람들이 신포주를 머금은 해융을 우슬초에 매어 예수의 입에 대니”(요19:28-29).
“저희가 쓸개를 나의 식물로 주며 갈할 때에 초로 마시웠사오니”(시 69:21).
그 옷을 제비 뽑아 나눔
“군병들이 서로 말하되 이것을 찢지 말고 누가 얻나 제비 뽑자하니”(요19:24).
“저희가 나를 주목하여 보고내 겉옷을 나누며 속옷을 제비 뽑나이나”(시22:17,18)
사람의 조롱거리가 되심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장로들과 함께 희롱하여 가로되...... 저가 하나님을 신뢰하니 하나님이 저를 기뻐하시면 이제 구원하실찌라 제 말이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였도다 하며”(마27:41-43).
“나는 벌레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의 훼방 거리요 백성의 조롱거리니이다 나를 보는 자는 다 비웃으며 입술을 비쭉이고 머리를 흔들며 말하되 저가 여호와께 의탁하실걸 저를 기뻐하시니 건지실 걸 하나이다”(시22:6-8).
이처럼 예수님의 죽으심은 돌발적인 사건이 아니라 이미 영원전에 하나님께서 계획하시고 또한 구약을 통하여 계시하여 주신 예언대로 죽으신 것이었다.
4. 죽음의 범위
하나님께서는 죽음의 형벌을 중보자에게 사법적으로 부과하셨는데, 그 이유는 중보자가 자발적으로 인류의 죄에 대한 형벌을 지불하셨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타락 후에 존재하고 있던 그 모든 연약성을 지닌 인성을 취하셨으며, 그리하여 모든 일에서 우리와 같이 되셨으므로 자연히 죽음은 처음부터 그 안에서 역사하였고 그가 굴복한 많은 고난들에서 그 자체를 나타내었다는 결론이 된다. 그는 슬픔의 사람이었고 질고를 아는 분이었다.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37조)은 정확히 말하기를, “그가 지상에 사셨을 때, 특히 그의 생애의 마지막에 그는 전 인류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신체와 영혼으로 받으셨다”
이 고난은 그의 십자가의 죽음에 뒤따라왔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그가 겟세마네 동산에서 고민하셨을 때와 그가 십자가에서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라고 부르짖으셨을 때 죽음을 내포적으로 당하시고 외연적으로 당하시지 않았을지라도 그는 육적인 죽음뿐만 아니라 영원한 죽음에도 굴복하셨다. 짧은 기간에 그는 끝까지 죄에 대한 무한한 진노를 받으셨으며 마침내 승리하셨다. 요컨데 우리는 이점에서 오류를 피하여야만 한다. 그리스도의 경우에 영원한 죽음은 로고스와 인성의 연합의 해소나 신성이 하나님에게서 기각을 당하는 것이나 또는 신적 사람이나 기쁘신 듯을 중보자의 인격에서 철수하는데 있지 않았다.
로고스는 육신이 무덤에 있었을 때에도 인성과 연합된채로 남아 있었으며 신성은 하나님에게서 버림을 받을 수 없었어며 도한 중보자의 인격은 신적 은혜의 대상이었으며 또한 지속되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버리심에 대한 느낌으로서의 중보자의 인적의식에 계시되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인성이 잠시동안 신적 로고스와의 연합에서 비롯될 의식적 위안과 신적 사람의 느낌을 잃어버리고 그것에 지워진 신적 진노의 충만함에 대하여 고통스럽게 의식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버립받았다고 부르짖는 어두은 시간에도 오히려ㅛ 절망하시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하셨다.
Ⅶ. 구원론적 기독론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
기독론에의 접근에 있어서 구원론적인 관점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직 구원론적 관점으로부터 만의 일방적인 기독론 구성은 자칫하면 인간적인 구원에의 욕구와 열망의 투사가 될 위험성이 있다.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아니한 의미나 현실에 기초하지 아니한 관념은 공허한 것이다. 기독론(넓은 의미의)은 구원신앙의 역사적 기초인 예수의 역사로부터 출발해야지 예수의 의미성으로부터 출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많은 신학자들과 기독교인들의 일방적인 공감대이다. 기독론과 구원론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으며 상호순환적인 상관성 속에 하나의 단일한 실재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기독론적 접근에 있어서 과거의 사실로서의 역사적 예수와 현재의 의미로서의 신앙의 그리스도는 상호순환적 연관성 속에 있는 기독론(넓은 의미의)의 타원의 두 초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면 오늘날 우리가 기독론의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역사적 예수와 기독론적(좁은 의미의) 접근과 현재의 신앙의 그리스도와의 실존적 구원론적 만남은 실제로 어떻게 가능한가? 전자는 주로 역사비평적 연구를 포함한 성서연구를 통한 예수의 역사적 현실의 탐구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후자는 주로 교회 공동체 안에서 선포되어지는 말씀과 성령 안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현재적인 임재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현실에의 접근은 그것에 대한 신앙고백적 증언인 성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역사적 탐구자도 신앙의 눈을 필요로 한다. 다른 한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케리그마적 선포와 신앙적 응답은 역사적 현실에 기초한 성서의 증언에 근거하여 의존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 두 가지 접근은 상호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며 상호교정적인 순환관계에 있다.
참고문헌
김희자(1998) / 교사론 /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방현덕(1993) / 기독교 가정교육론」 / 바울서신사
정정숙(2000) / 기독교교육학 / 서울: 도서출판 베다니
성경책(2004) / 아카페출판사
정웅섭(1982) / 기독교교육개설 / 호산나서적
최성대(2000) / 에덴의 축복으로부터 바벨탑까지 / 서울: 베다니 출판사
최재호(2003) / 대중문화와 성경적 세계관 /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허드슨 테일러 / 친교와 연합 /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황재식(1998) / 성경속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해한 연구 -부모의 자녀양육 태도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 어찌 나를 멀리하여 돕지 아니하옵시며 내 신음하는 소리를 듣지 아니하시나이까”(시22:1).
목마르심과 신포도주를 마시움
“가라사대 내가 목마르다 하시니 거기 신 포도주가 가득히 담긴 그릇이 있는지라 사람들이 신포주를 머금은 해융을 우슬초에 매어 예수의 입에 대니”(요19:28-29).
“저희가 쓸개를 나의 식물로 주며 갈할 때에 초로 마시웠사오니”(시 69:21).
그 옷을 제비 뽑아 나눔
“군병들이 서로 말하되 이것을 찢지 말고 누가 얻나 제비 뽑자하니”(요19:24).
“저희가 나를 주목하여 보고내 겉옷을 나누며 속옷을 제비 뽑나이나”(시22:17,18)
사람의 조롱거리가 되심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장로들과 함께 희롱하여 가로되...... 저가 하나님을 신뢰하니 하나님이 저를 기뻐하시면 이제 구원하실찌라 제 말이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였도다 하며”(마27:41-43).
“나는 벌레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의 훼방 거리요 백성의 조롱거리니이다 나를 보는 자는 다 비웃으며 입술을 비쭉이고 머리를 흔들며 말하되 저가 여호와께 의탁하실걸 저를 기뻐하시니 건지실 걸 하나이다”(시22:6-8).
이처럼 예수님의 죽으심은 돌발적인 사건이 아니라 이미 영원전에 하나님께서 계획하시고 또한 구약을 통하여 계시하여 주신 예언대로 죽으신 것이었다.
4. 죽음의 범위
하나님께서는 죽음의 형벌을 중보자에게 사법적으로 부과하셨는데, 그 이유는 중보자가 자발적으로 인류의 죄에 대한 형벌을 지불하셨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타락 후에 존재하고 있던 그 모든 연약성을 지닌 인성을 취하셨으며, 그리하여 모든 일에서 우리와 같이 되셨으므로 자연히 죽음은 처음부터 그 안에서 역사하였고 그가 굴복한 많은 고난들에서 그 자체를 나타내었다는 결론이 된다. 그는 슬픔의 사람이었고 질고를 아는 분이었다.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37조)은 정확히 말하기를, “그가 지상에 사셨을 때, 특히 그의 생애의 마지막에 그는 전 인류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신체와 영혼으로 받으셨다”
이 고난은 그의 십자가의 죽음에 뒤따라왔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그가 겟세마네 동산에서 고민하셨을 때와 그가 십자가에서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라고 부르짖으셨을 때 죽음을 내포적으로 당하시고 외연적으로 당하시지 않았을지라도 그는 육적인 죽음뿐만 아니라 영원한 죽음에도 굴복하셨다. 짧은 기간에 그는 끝까지 죄에 대한 무한한 진노를 받으셨으며 마침내 승리하셨다. 요컨데 우리는 이점에서 오류를 피하여야만 한다. 그리스도의 경우에 영원한 죽음은 로고스와 인성의 연합의 해소나 신성이 하나님에게서 기각을 당하는 것이나 또는 신적 사람이나 기쁘신 듯을 중보자의 인격에서 철수하는데 있지 않았다.
로고스는 육신이 무덤에 있었을 때에도 인성과 연합된채로 남아 있었으며 신성은 하나님에게서 버림을 받을 수 없었어며 도한 중보자의 인격은 신적 은혜의 대상이었으며 또한 지속되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버리심에 대한 느낌으로서의 중보자의 인적의식에 계시되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인성이 잠시동안 신적 로고스와의 연합에서 비롯될 의식적 위안과 신적 사람의 느낌을 잃어버리고 그것에 지워진 신적 진노의 충만함에 대하여 고통스럽게 의식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버립받았다고 부르짖는 어두은 시간에도 오히려ㅛ 절망하시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하셨다.
Ⅶ. 구원론적 기독론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
기독론에의 접근에 있어서 구원론적인 관점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직 구원론적 관점으로부터 만의 일방적인 기독론 구성은 자칫하면 인간적인 구원에의 욕구와 열망의 투사가 될 위험성이 있다.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아니한 의미나 현실에 기초하지 아니한 관념은 공허한 것이다. 기독론(넓은 의미의)은 구원신앙의 역사적 기초인 예수의 역사로부터 출발해야지 예수의 의미성으로부터 출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많은 신학자들과 기독교인들의 일방적인 공감대이다. 기독론과 구원론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으며 상호순환적인 상관성 속에 하나의 단일한 실재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기독론적 접근에 있어서 과거의 사실로서의 역사적 예수와 현재의 의미로서의 신앙의 그리스도는 상호순환적 연관성 속에 있는 기독론(넓은 의미의)의 타원의 두 초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면 오늘날 우리가 기독론의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역사적 예수와 기독론적(좁은 의미의) 접근과 현재의 신앙의 그리스도와의 실존적 구원론적 만남은 실제로 어떻게 가능한가? 전자는 주로 역사비평적 연구를 포함한 성서연구를 통한 예수의 역사적 현실의 탐구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후자는 주로 교회 공동체 안에서 선포되어지는 말씀과 성령 안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현재적인 임재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현실에의 접근은 그것에 대한 신앙고백적 증언인 성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역사적 탐구자도 신앙의 눈을 필요로 한다. 다른 한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케리그마적 선포와 신앙적 응답은 역사적 현실에 기초한 성서의 증언에 근거하여 의존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 두 가지 접근은 상호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며 상호교정적인 순환관계에 있다.
참고문헌
김희자(1998) / 교사론 /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방현덕(1993) / 기독교 가정교육론」 / 바울서신사
정정숙(2000) / 기독교교육학 / 서울: 도서출판 베다니
성경책(2004) / 아카페출판사
정웅섭(1982) / 기독교교육개설 / 호산나서적
최성대(2000) / 에덴의 축복으로부터 바벨탑까지 / 서울: 베다니 출판사
최재호(2003) / 대중문화와 성경적 세계관 /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허드슨 테일러 / 친교와 연합 /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황재식(1998) / 성경속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해한 연구 -부모의 자녀양육 태도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