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유럽의 선진기술도입
(ii) 생활문화의 개혁
(iii) 시민문자의 도입과 출판의 시작
(iv) 세속학교 제도의 도입과 학문의 발달
(vi) 뻬쩨르부르그의 건설
(vii) 뽈따바 전투의 승리
(viii) 궁정혁명
(ii) 생활문화의 개혁
(iii) 시민문자의 도입과 출판의 시작
(iv) 세속학교 제도의 도입과 학문의 발달
(vi) 뻬쩨르부르그의 건설
(vii) 뽈따바 전투의 승리
(viii) 궁정혁명
본문내용
산드르 2세의 암살(1881년)
(8) 알렉산드르 3세 (1881년--1894년)
(i) 모로조프 공장의 동맹파업(1885년)
(ii) 러시아의 위대한 학자들
(9) 니콜라이 2세 (1894년--
(i) 호드인까 들판의 비극(1896년 5월)
(ii) 러시아 맑스주의
* 짜리 정부와 인텔리겐챠 사이의 갭의 심화
* 체르니쉠스키의 '농민혁명사상'
뜨까쵸프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 서구와 다른 상이한 방법으로 사회주의를 실현
--> 오류? 농촌공동체가 붕괴되어 가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
* '러시아 맑스주의의 아버지'--쁠레하노프
러시아 농민(x)
자유주의적 부르죠아 + 산업쁘롤레따리아
* 1892년 공업화--> 러시아 맑스주의 전국적 확산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건설
산업쁘롤레따리아뜨의 생활여건 악화
1895년 '노동자 해방 투쟁'의 결성
(iii) 레닌의 출현
* 나로드니끼 사상을 비판--'인민의 벗은 누구인가?'
산업쁘롤레따리아뜨(노동자계급)+농민(농민계급)
* 1895년 귀국, 체포,
1897-1900년 유배.--'러시아 사회민주주의', '러시아에서의 자본주의 발달
(나로드니끼와 부르죠아에 대한 양보를 일체거부)
* 완만한 대중적 정당이 아닌 엄격히 훈련된 직업혁명가들의 소수정예당
* 1898년 러시아 맑스주의자들---'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1900년 기관지: '이스끄라( )'---> 레닌의 혁명관을 국내에 전파
지방비밀조직을 통한 자금의 염출
레닌의 민주적 중앙집권제
* 1903년 7월 부르셀--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
8월 런던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
(당강령--당의 최종목표--> 사회혁명과 쁘롤레따리아 독재)
(당규약--당원자격)
대중정당--당의 개방--------마르또프-------------> 멘셰비키
소수정예의 노동자계급의 전위대--쁠레하노프+레닌----> 볼세비키
* 1904년 멘셰비키의 당중앙위원회 장악.
볼셰비키의 당기관지 '브뻬료드( )'
(iv) 러일전쟁(1904년)
(v) 피의 일요일(1905년)
'러시아 공장 노동자회'
1905년 1월 9일 일요일---> 1905년--6년
1905년 볼쉐비끼--런던----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3차대회--당규약의 강화
기관지; '쁘롤레따리아뜨'
멘쉐비끼--제네바---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3차대회
1905년 10월 17일--- '두마( )'--제국의회
의회주의적 정당 --- 10월당, 입헌민주당.
'피의 일요일' 후의 러시아 혁명의 패턴은 3가지 부류로 나누어짐
(가) 젬스트보를 중심으로한 온건자유노선---부르죠아 민주주의적 요구의 관철
(나) 사회혁명당 노선---농민에게 토지를 보장하는 투쟁
(다) 노동자평의회(소비에트; )--무산계급의 정치적 대중조직
------> 1917년 '노동자. 병사 대표 소비에트'
소비에뜨 의 대다수는 멘쉐비끼가 주도 (1917년 10월 혁명전까지)---뜨로쯔끼
1905년 러시아로 돌아온 레닌---소비에뜨 내에 볼쉐비끼의 활동을 강화
뻬쩨르부르그 소비에트의 모든 대의원이 체포
모스크바 소비에트(볼쉐비끼가 주도)---> 무장봉기(1905년 12월)
레닌-- 핀란드에서 두마선거의 보이콧트를 결정
1906년 스톡홀롬-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4차대회--볼쉐비끼와 멘쉐비끼의 화합
// 중앙위원회의 다수---볼쉐비끼
1907년 제2두마의 강제해산
제3두마---짜리정부의 어용기관
1912년 제 4두마 -- 입헌민주당(다수파)
7명--멘쉐비끼
6명--볼쉐비끼-----4월: 볼쉐비끼 기관지 '쁘라우다'( )
1914년 레닌---> 스위스로
제 1차 세계대전
레닌---전쟁반대, '자본주의의 최고의 단계로서의 제국주의'--제국주의론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 국가에 의한 국가의 착취"
러시아군의 연전연패---> 짜리의 전제체제의 약화---> 짜리즘에 대한 불만
(vi) 2월 혁명 (제1차 러시아 혁명)
1917년 2월--군중시위의 격화
2월 26일 --니꼴라이2세--의회 해산
의회--> 집행위원회
노동자.병사 대표 소비에뜨---> 집행위원회
3월 2일 --- 니꼴라이 2세의 퇴위
* 3월 3일 ----- 제 1차 임시정부
소비에뜨 -- 다수파--사회혁명당
멘쉐비끼
볼쉐비끼
* 전쟁 수행 여부---임시정부----> 계속전쟁 수행
소비에뜨----> 전쟁반대
* 레닌의 4월테제---"모든 권력은 소비에뜨로!"
* 5월 5일 ---제 2차 임시정부(제2차 르보프 내각) --전쟁반대
(vii) 10월 혁명 (제2차 러시아 혁명)
* 6월 3일--제1차 전러시아.소비에뜨 대회 --- 사회혁명당 대의원: 285명
멘쉐비끼 대의원: 248명
볼쉐비끼 대의원: 105명
볼쉐비끼---꾸준한 당세확장과 대중에 대한 영향력 확대
뜨로쯔기의 볼쉐비끼 입당
* 7월 봉기---뻬쩨르부르그의 시위 (7월 4일)
시위대---> 소비에뜨 권력 장악을 요구
소비에뜨와 볼쉐비끼의 미온적 태도로 7월 봉기 무산
뜨로쯔기와 까메녜프 체포
레닌----> 핀란드로 도망
* 임시정부---께렌스키 수상---- 볼쉐비끼의 토벌
꼬르닐로프의 반란
볼쉐비끼---꼬르닐로프 반란 진압에 참여
* 레닌-- 멘쉐비끼+ 사회혁명당 ----> 소비에트를 중심으로 정부를 구성
입헌민주당
볼쉐비끼---소비에뜨의 다수파, 거의 모든 소비에뜨를 장악
9월 15일 당중앙위원회에 보낸 레닌의 서신---볼쉐비끼의 무장반란
* 10월 13일---소비에뜨 집행위원회---> 임시군사위원회 (위원장: 뜨로쯔키)
10월 10일---레닌은 변장을 하고 당중앙위원회에 참석
정치국의 창설
거사일--- 10월20일--'전러시아 노동자.병사 소비에뜨 대회'
거사일----> 10월 25일로---> 볼쉐비끼의 독재
10월 24일 께렌스키의 대반격
* 10월혁명의 시작 (1917년 10월 25일)
1917년 10월 26일--- 임시정부의 항복 ----> "소비에뜨 정부"의 수립
소브나르콤--인민위원회 --- 의장: 레닌
외무; 뜨로쯔끼
민족: 스딸린
교육: 루나차르스키
----> 독일과의 민주적 강화
교전국에 대한 즉각적인 휴전
'토지에 대한 포고'---농지의 사적 소유제 폐지
노동자, 농민에게 농지를 즉각 분배
반혁명탄압비상위원회(체까)---12월7일 창설
(8) 알렉산드르 3세 (1881년--1894년)
(i) 모로조프 공장의 동맹파업(1885년)
(ii) 러시아의 위대한 학자들
(9) 니콜라이 2세 (1894년--
(i) 호드인까 들판의 비극(1896년 5월)
(ii) 러시아 맑스주의
* 짜리 정부와 인텔리겐챠 사이의 갭의 심화
* 체르니쉠스키의 '농민혁명사상'
뜨까쵸프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 서구와 다른 상이한 방법으로 사회주의를 실현
--> 오류? 농촌공동체가 붕괴되어 가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
* '러시아 맑스주의의 아버지'--쁠레하노프
러시아 농민(x)
자유주의적 부르죠아 + 산업쁘롤레따리아
* 1892년 공업화--> 러시아 맑스주의 전국적 확산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건설
산업쁘롤레따리아뜨의 생활여건 악화
1895년 '노동자 해방 투쟁'의 결성
(iii) 레닌의 출현
* 나로드니끼 사상을 비판--'인민의 벗은 누구인가?'
산업쁘롤레따리아뜨(노동자계급)+농민(농민계급)
* 1895년 귀국, 체포,
1897-1900년 유배.--'러시아 사회민주주의', '러시아에서의 자본주의 발달
(나로드니끼와 부르죠아에 대한 양보를 일체거부)
* 완만한 대중적 정당이 아닌 엄격히 훈련된 직업혁명가들의 소수정예당
* 1898년 러시아 맑스주의자들---'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1900년 기관지: '이스끄라( )'---> 레닌의 혁명관을 국내에 전파
지방비밀조직을 통한 자금의 염출
레닌의 민주적 중앙집권제
* 1903년 7월 부르셀--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
8월 런던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대회
(당강령--당의 최종목표--> 사회혁명과 쁘롤레따리아 독재)
(당규약--당원자격)
대중정당--당의 개방--------마르또프-------------> 멘셰비키
소수정예의 노동자계급의 전위대--쁠레하노프+레닌----> 볼세비키
* 1904년 멘셰비키의 당중앙위원회 장악.
볼셰비키의 당기관지 '브뻬료드( )'
(iv) 러일전쟁(1904년)
(v) 피의 일요일(1905년)
'러시아 공장 노동자회'
1905년 1월 9일 일요일---> 1905년--6년
1905년 볼쉐비끼--런던----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3차대회--당규약의 강화
기관지; '쁘롤레따리아뜨'
멘쉐비끼--제네바---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3차대회
1905년 10월 17일--- '두마( )'--제국의회
의회주의적 정당 --- 10월당, 입헌민주당.
'피의 일요일' 후의 러시아 혁명의 패턴은 3가지 부류로 나누어짐
(가) 젬스트보를 중심으로한 온건자유노선---부르죠아 민주주의적 요구의 관철
(나) 사회혁명당 노선---농민에게 토지를 보장하는 투쟁
(다) 노동자평의회(소비에트; )--무산계급의 정치적 대중조직
------> 1917년 '노동자. 병사 대표 소비에트'
소비에뜨 의 대다수는 멘쉐비끼가 주도 (1917년 10월 혁명전까지)---뜨로쯔끼
1905년 러시아로 돌아온 레닌---소비에뜨 내에 볼쉐비끼의 활동을 강화
뻬쩨르부르그 소비에트의 모든 대의원이 체포
모스크바 소비에트(볼쉐비끼가 주도)---> 무장봉기(1905년 12월)
레닌-- 핀란드에서 두마선거의 보이콧트를 결정
1906년 스톡홀롬-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4차대회--볼쉐비끼와 멘쉐비끼의 화합
// 중앙위원회의 다수---볼쉐비끼
1907년 제2두마의 강제해산
제3두마---짜리정부의 어용기관
1912년 제 4두마 -- 입헌민주당(다수파)
7명--멘쉐비끼
6명--볼쉐비끼-----4월: 볼쉐비끼 기관지 '쁘라우다'( )
1914년 레닌---> 스위스로
제 1차 세계대전
레닌---전쟁반대, '자본주의의 최고의 단계로서의 제국주의'--제국주의론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 국가에 의한 국가의 착취"
러시아군의 연전연패---> 짜리의 전제체제의 약화---> 짜리즘에 대한 불만
(vi) 2월 혁명 (제1차 러시아 혁명)
1917년 2월--군중시위의 격화
2월 26일 --니꼴라이2세--의회 해산
의회--> 집행위원회
노동자.병사 대표 소비에뜨---> 집행위원회
3월 2일 --- 니꼴라이 2세의 퇴위
* 3월 3일 ----- 제 1차 임시정부
소비에뜨 -- 다수파--사회혁명당
멘쉐비끼
볼쉐비끼
* 전쟁 수행 여부---임시정부----> 계속전쟁 수행
소비에뜨----> 전쟁반대
* 레닌의 4월테제---"모든 권력은 소비에뜨로!"
* 5월 5일 ---제 2차 임시정부(제2차 르보프 내각) --전쟁반대
(vii) 10월 혁명 (제2차 러시아 혁명)
* 6월 3일--제1차 전러시아.소비에뜨 대회 --- 사회혁명당 대의원: 285명
멘쉐비끼 대의원: 248명
볼쉐비끼 대의원: 105명
볼쉐비끼---꾸준한 당세확장과 대중에 대한 영향력 확대
뜨로쯔기의 볼쉐비끼 입당
* 7월 봉기---뻬쩨르부르그의 시위 (7월 4일)
시위대---> 소비에뜨 권력 장악을 요구
소비에뜨와 볼쉐비끼의 미온적 태도로 7월 봉기 무산
뜨로쯔기와 까메녜프 체포
레닌----> 핀란드로 도망
* 임시정부---께렌스키 수상---- 볼쉐비끼의 토벌
꼬르닐로프의 반란
볼쉐비끼---꼬르닐로프 반란 진압에 참여
* 레닌-- 멘쉐비끼+ 사회혁명당 ----> 소비에트를 중심으로 정부를 구성
입헌민주당
볼쉐비끼---소비에뜨의 다수파, 거의 모든 소비에뜨를 장악
9월 15일 당중앙위원회에 보낸 레닌의 서신---볼쉐비끼의 무장반란
* 10월 13일---소비에뜨 집행위원회---> 임시군사위원회 (위원장: 뜨로쯔키)
10월 10일---레닌은 변장을 하고 당중앙위원회에 참석
정치국의 창설
거사일--- 10월20일--'전러시아 노동자.병사 소비에뜨 대회'
거사일----> 10월 25일로---> 볼쉐비끼의 독재
10월 24일 께렌스키의 대반격
* 10월혁명의 시작 (1917년 10월 25일)
1917년 10월 26일--- 임시정부의 항복 ----> "소비에뜨 정부"의 수립
소브나르콤--인민위원회 --- 의장: 레닌
외무; 뜨로쯔끼
민족: 스딸린
교육: 루나차르스키
----> 독일과의 민주적 강화
교전국에 대한 즉각적인 휴전
'토지에 대한 포고'---농지의 사적 소유제 폐지
노동자, 농민에게 농지를 즉각 분배
반혁명탄압비상위원회(체까)---12월7일 창설
키워드
추천자료
[러시아][한국과 러시아의 정치적 관계][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과정][러시아 대한반도정책 ...
[군사력][군사전략][러시아 군사전략][일본 군사전략][미국 군사전략]군사력과 군사전략 고찰...
러시아 미술의 기원, 러시아 중세 미술, 11세기~17세기, 근대 러시아 미술, 이콘, 이콘의 정...
러시아 의식주, 기후, 러시아인들의 옷, 음식, 주거생활,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시...
[러시아와 한반도(남북한), 외교, 등거리정책, 한인, 경제협력]러시아와 한반도(남북한)의 외...
[러시아, 기원, 인구, 기후, 자연대, 예술, 대중교통, 루터교회, 문학가]러시아의 기원, 러시...
소련(러시아, 소비에트연방) 미국(미소) 평화공존노선, 소련(러시아, 소비에트연방) 미국(미...
소비에트연방(러시아, 소련)의 보건의료, 소비에트연방(러시아, 소련)의 교육제도, 도시계획,...
[러시아][북한][북러][정치][정상회담]러시아와 북한(북러)의 정치적 특징, 러시아와 북한(북...
[러시아][러시아 기본정보][러시아 약력][러시아 종교][러시아 혁명][러시아 음식]러시아의 ...
[러시아정부][러시아][관제국민주의]러시아정부의 관제국민주의, 러시아정부의 노동력부족현...
[러시아노무관리][러시아노무관리 국가고용정책][러시아노무관리 대외관리]러시아노무관리의 ...
[러시아][러시아 상징주의][러시아 사실주의][관제국민주의][구성주의][집단주의]러시아의 상...
[러시아노무관리][실업률][이직률][러시아 노무관리 전략]러시아노무관리의 동향, 러시아노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