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악전
Ⅱ.화성(和聲)
Ⅲ. 음악형식
Ⅳ. 서양 음악사(시대별 작곡가 소개 포함)
Ⅴ.국악
Ⅱ.화성(和聲)
Ⅲ. 음악형식
Ⅳ. 서양 음악사(시대별 작곡가 소개 포함)
Ⅴ.국악
본문내용
로는정경태,김월하,이계석,유종구,박기옥 등이 있다.
ⅱ.속악
1.무악(巫樂)
신라시대의 선악에서부터 유래하였고 무당들이 굿을 하는 절차에 따라 악(樂),가(歌),무(舞)로 나눌 수 있다.
① 오귀굿-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한 굿
② 재수굿-안택굿이라고도 하며, 집안의 재수를 비는 굿
③ 별신굿-마을의 행운을 비는 굿
사용되는 악기는 장구,북,피리,대금,해금 등 삼현육각과 꽹가리,징,자바라 등의 금속타악기가 부가된다.
2.법악
법악은 불교의 의식에 쓰이는 각종 음악을 말하며,범패가 있다.인도소리,어산,범음이라고도 한다. 창법에 따라 홑소리와 짓소리로 구별하는데, 홑소리는 혼자서 간단하고 짧게 부르는 노래이며, 짓소리는 긴소리와 큰소리의 뜻으로 여러 사람이 복잡한 꾸밈음으로 길게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불교에서 쓰이는 의식 무용을 작법이라 하며 나비춤,바라춤,법고춤 등이 있다.
3.농악
옛날 삼국 시대 이전부터 농사를 지으며 전체 행동의 통일과 피로를 덜기 위하여 연주되어 온 향토 음악으로 각 고장마다 특색이 있다. 상쇠(꽹가리)가 지휘자격이며, 부쇠(꽹가리),소고,장구,북,징 등의 타아기로 연주되며 태평소가 유일한 선율악기이지만 때때로 나발,피리,대금 등도 곁들여지는 진푸리 농악도 있다.
4.산조
악기의 특성과 기법을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독주곡을 말하는데 김창조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휘모리,단모리 등의 장단에 따른 모음곡으로 매우 느린 속도에서 점점 빨라지며 계속된다. 장단은 북과 장구가 반주된다.
① 가야금 산조- 1880년경 김창조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산조의 효시를 이룬다.
② 거문고 산조-백낙준의 창시로 신쾌동과 박석기,한갑득에 의하여 계승되고 있다.
③ 대금 산조-박종기,강백천,한주환,김광식,편재준,한범수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④ 해금 산조-지용구에 의해 시작되어 지영회로 이어진다.
⑤ 단소 산조-전용선에 의해 이루어졌다.
⑥ 피리 산조- 이충선에 의해 이루어졌다.
⑦ 아쟁 산조-전추산,한일섭에 의해 이루어졌다.
5.판소리
조선 중엽 평민 문화의 발달로 하한담,최선달 등이 극적인 내용을 가진 긴 이야기를 음악화 한 것으로 한 사람이 북장단에 맞추어 노래하는 극적인 요소를 가진 곡을 말한다. 고수가 대사의 내용에 따라 산조와 같은 장단을 치는데 이 북장단과 추임새를 반주로 혼자 서서 노래부른다. 노래는 소리라 부르고, 소리와 소리 사이에 때로는 대사로 이어지는데 이것을 아니리라 하며 가사에 어울리게 한손에 부채를 들고 형용 동작을 섞어 진행하는데 이것을 발림이라 한다. 연주 시간이 짧은 것은 3시간 긴 것은 10시간이 넘는다. 판소리에는 12마당이 있었으나 이중 춘향전, 심청전, 박타령, 수궁가, 적벽가 5마당만 전해진다.
* 판소리 12마당
⑴ 춘향전 ⑵ 심청가 ⑶ 흥부가(박타령) ⑷ 수궁가(별주부타령, 토끼타령) ⑸ 적벽가(화용도)
⑹ 배비장전 ⑺ 옹고집전 ⑻ 가루지기타령(변강쇠타령) ⑼ 장끼타령 ⑽ 강늘 매화타령
⑾ 무숙이 타령(왈자 타령) ⑿ 가짜 신선 타령
6.시나위
시나위는 남도 지방의 무악에서부터 연유된 것으로 보는데 여러 사람이 여러 종류의 악기로 제각기 다른 산조 가락을 즉흥적으로 연주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합주곡을 말한다. 삼현육각의 편성이 정상적인 편성이다. 제나름대로의 가락을 연주하기 때문에 다선율적 음악이며,불협화한 음정과 마찰이 매력이다.
7.단가
판소리를 부르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하여 짤막하게 부르는 것을 단가라 한다. 서정적인 장편시나 판소리의 한 대목을 따로 부르는데 장단은 거의 중모리이다. 많이 불리워 지는 것은 강산풍월,고고천편,관경사,만고강산,몽유가,박석고개,백수산,범피중류,불수빈,사시풍경가,소상팔경,운담풍경,장부가,장부한,조어환주,죽장망해,진국명산,초한가,탐경가,편시춘,풍월강산,호남가 등이다.
8.병창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단가나 판소리의 한 부분이나 민요 등을 부르는 형태를 말한다.
9.속요
① 잡가 : 조선 중엽의 평민문화로 직업적인 음악인들에 의해 해학적인 긴 사설에 기교있는 꾸밈새를 더한 노래를 말한다.'경기 12잡가'와 '서도 잡가'로 구분된다.
② 선소리 : 잡가를 앉아서 부른다 하여 좌창이라 하는데, 선소리는 서서 부른다는 뜻이다. 원래는 사당패들의 노래로 여러 가지 가무잡희를 연출하면서 곁들여진 노래이다.
③ 민요 : 예로부터 불리워오는 향토 음악으로 선조들의 생활 감정을 노래로 읊은 것이며, 그 지방의 사투리나 말의 억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0.민요의 지방적 특징
⑴ 경기도-경쾌하고 가락이 부드럽고 서정적이다(닐리리야, 아리랑, 도라지타령, 양산도 등)
⑵ 강원도-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내려오는 선율이 많으며 순박하게 들린다(한 오백년, 정선 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등)
⑶ 경상도- 쾌활하고 활동적이며 억양이 강하다(밀양 아리랑, 쾌지나 칭칭 등)
⑷ 전라도- 구성지며 격렬하게 떠는 음과 꺽는 음을 많이 사용한다( 진도 아리랑, 농부가, 강강술래 등)
⑸ 제주도- 가락의 흐름이 특이하며 특유의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오돌또기, 해녀가 등)
⑹ 서도(평안도, 황해도)- 콧소리를 섞어 떨며 애수적이고 감성적이다(몽금포 타령, 수심가, 박연폭포 등)
ⅲ.우리 나라의 악기
1.국악기의 분류
〔연주법에 의한 분류〕
① 관악기 : 불어서 소리내는 악기
▶가로부는 악기 - 대금, 당적, 지
▶세로부는 악기 - 약, 저, 소, 퉁소, 단소
▶겹서(혀)로 된 악기 -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태평소
▶홑서로 된 악기 - 생황(포부)
▶토부 - 훈, 나각(소라), 금부 - 나발
② 현악기 : 줄을 뜯거나 튕기거나 마찰 시켜서 소리내는 악기
▶찰현악기 - 해금, 아쟁
▶발현악기 -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당비파, 금, 슬, 대쟁, 월금, 공후
▶타현악기 - 양금(금부)
③ 타악기
▶유율악기 - 편종, 특종, 방향, 운라<금부>, 편경, 특경<석부>
▶무율악기 - 자바라, 징, 소금(꽹가리)<금부>, 박, 축, 어<목부>, 부<토부>, 장구, 갈고, 진고, 절고, 좌고, 소고, 용고, 교방고, 노고, 노도, 뇌고, 뇌도, 영고, 영도, 건고, 삭고, 응고, 중고<혁부>
ⅱ.속악
1.무악(巫樂)
신라시대의 선악에서부터 유래하였고 무당들이 굿을 하는 절차에 따라 악(樂),가(歌),무(舞)로 나눌 수 있다.
① 오귀굿-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한 굿
② 재수굿-안택굿이라고도 하며, 집안의 재수를 비는 굿
③ 별신굿-마을의 행운을 비는 굿
사용되는 악기는 장구,북,피리,대금,해금 등 삼현육각과 꽹가리,징,자바라 등의 금속타악기가 부가된다.
2.법악
법악은 불교의 의식에 쓰이는 각종 음악을 말하며,범패가 있다.인도소리,어산,범음이라고도 한다. 창법에 따라 홑소리와 짓소리로 구별하는데, 홑소리는 혼자서 간단하고 짧게 부르는 노래이며, 짓소리는 긴소리와 큰소리의 뜻으로 여러 사람이 복잡한 꾸밈음으로 길게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불교에서 쓰이는 의식 무용을 작법이라 하며 나비춤,바라춤,법고춤 등이 있다.
3.농악
옛날 삼국 시대 이전부터 농사를 지으며 전체 행동의 통일과 피로를 덜기 위하여 연주되어 온 향토 음악으로 각 고장마다 특색이 있다. 상쇠(꽹가리)가 지휘자격이며, 부쇠(꽹가리),소고,장구,북,징 등의 타아기로 연주되며 태평소가 유일한 선율악기이지만 때때로 나발,피리,대금 등도 곁들여지는 진푸리 농악도 있다.
4.산조
악기의 특성과 기법을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독주곡을 말하는데 김창조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휘모리,단모리 등의 장단에 따른 모음곡으로 매우 느린 속도에서 점점 빨라지며 계속된다. 장단은 북과 장구가 반주된다.
① 가야금 산조- 1880년경 김창조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산조의 효시를 이룬다.
② 거문고 산조-백낙준의 창시로 신쾌동과 박석기,한갑득에 의하여 계승되고 있다.
③ 대금 산조-박종기,강백천,한주환,김광식,편재준,한범수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④ 해금 산조-지용구에 의해 시작되어 지영회로 이어진다.
⑤ 단소 산조-전용선에 의해 이루어졌다.
⑥ 피리 산조- 이충선에 의해 이루어졌다.
⑦ 아쟁 산조-전추산,한일섭에 의해 이루어졌다.
5.판소리
조선 중엽 평민 문화의 발달로 하한담,최선달 등이 극적인 내용을 가진 긴 이야기를 음악화 한 것으로 한 사람이 북장단에 맞추어 노래하는 극적인 요소를 가진 곡을 말한다. 고수가 대사의 내용에 따라 산조와 같은 장단을 치는데 이 북장단과 추임새를 반주로 혼자 서서 노래부른다. 노래는 소리라 부르고, 소리와 소리 사이에 때로는 대사로 이어지는데 이것을 아니리라 하며 가사에 어울리게 한손에 부채를 들고 형용 동작을 섞어 진행하는데 이것을 발림이라 한다. 연주 시간이 짧은 것은 3시간 긴 것은 10시간이 넘는다. 판소리에는 12마당이 있었으나 이중 춘향전, 심청전, 박타령, 수궁가, 적벽가 5마당만 전해진다.
* 판소리 12마당
⑴ 춘향전 ⑵ 심청가 ⑶ 흥부가(박타령) ⑷ 수궁가(별주부타령, 토끼타령) ⑸ 적벽가(화용도)
⑹ 배비장전 ⑺ 옹고집전 ⑻ 가루지기타령(변강쇠타령) ⑼ 장끼타령 ⑽ 강늘 매화타령
⑾ 무숙이 타령(왈자 타령) ⑿ 가짜 신선 타령
6.시나위
시나위는 남도 지방의 무악에서부터 연유된 것으로 보는데 여러 사람이 여러 종류의 악기로 제각기 다른 산조 가락을 즉흥적으로 연주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합주곡을 말한다. 삼현육각의 편성이 정상적인 편성이다. 제나름대로의 가락을 연주하기 때문에 다선율적 음악이며,불협화한 음정과 마찰이 매력이다.
7.단가
판소리를 부르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하여 짤막하게 부르는 것을 단가라 한다. 서정적인 장편시나 판소리의 한 대목을 따로 부르는데 장단은 거의 중모리이다. 많이 불리워 지는 것은 강산풍월,고고천편,관경사,만고강산,몽유가,박석고개,백수산,범피중류,불수빈,사시풍경가,소상팔경,운담풍경,장부가,장부한,조어환주,죽장망해,진국명산,초한가,탐경가,편시춘,풍월강산,호남가 등이다.
8.병창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단가나 판소리의 한 부분이나 민요 등을 부르는 형태를 말한다.
9.속요
① 잡가 : 조선 중엽의 평민문화로 직업적인 음악인들에 의해 해학적인 긴 사설에 기교있는 꾸밈새를 더한 노래를 말한다.'경기 12잡가'와 '서도 잡가'로 구분된다.
② 선소리 : 잡가를 앉아서 부른다 하여 좌창이라 하는데, 선소리는 서서 부른다는 뜻이다. 원래는 사당패들의 노래로 여러 가지 가무잡희를 연출하면서 곁들여진 노래이다.
③ 민요 : 예로부터 불리워오는 향토 음악으로 선조들의 생활 감정을 노래로 읊은 것이며, 그 지방의 사투리나 말의 억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0.민요의 지방적 특징
⑴ 경기도-경쾌하고 가락이 부드럽고 서정적이다(닐리리야, 아리랑, 도라지타령, 양산도 등)
⑵ 강원도-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내려오는 선율이 많으며 순박하게 들린다(한 오백년, 정선 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등)
⑶ 경상도- 쾌활하고 활동적이며 억양이 강하다(밀양 아리랑, 쾌지나 칭칭 등)
⑷ 전라도- 구성지며 격렬하게 떠는 음과 꺽는 음을 많이 사용한다( 진도 아리랑, 농부가, 강강술래 등)
⑸ 제주도- 가락의 흐름이 특이하며 특유의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오돌또기, 해녀가 등)
⑹ 서도(평안도, 황해도)- 콧소리를 섞어 떨며 애수적이고 감성적이다(몽금포 타령, 수심가, 박연폭포 등)
ⅲ.우리 나라의 악기
1.국악기의 분류
〔연주법에 의한 분류〕
① 관악기 : 불어서 소리내는 악기
▶가로부는 악기 - 대금, 당적, 지
▶세로부는 악기 - 약, 저, 소, 퉁소, 단소
▶겹서(혀)로 된 악기 -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태평소
▶홑서로 된 악기 - 생황(포부)
▶토부 - 훈, 나각(소라), 금부 - 나발
② 현악기 : 줄을 뜯거나 튕기거나 마찰 시켜서 소리내는 악기
▶찰현악기 - 해금, 아쟁
▶발현악기 -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당비파, 금, 슬, 대쟁, 월금, 공후
▶타현악기 - 양금(금부)
③ 타악기
▶유율악기 - 편종, 특종, 방향, 운라<금부>, 편경, 특경<석부>
▶무율악기 - 자바라, 징, 소금(꽹가리)<금부>, 박, 축, 어<목부>, 부<토부>, 장구, 갈고, 진고, 절고, 좌고, 소고, 용고, 교방고, 노고, 노도, 뇌고, 뇌도, 영고, 영도, 건고, 삭고, 응고, 중고<혁부>
추천자료
- 음악과 디지털 음악
- [유아교육과]2006우수논문 유아기의 음악교육
- 한국음악의 전통적 미의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와 연주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와 분류, 국악기(한국전...
-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과 이론적 배경, 국악(한국전통음악)...
- 국악(한국전통음악) 종류와 특징,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
-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 의의와 실태,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 내용과 실제, 국악교...
-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의의와 목표,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학년별 지도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