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비자의 생애
2. 한비자의 사상
1) 도덕에 대한 法의 우위
2) 법 운용의 기술(術) 1. 刑名參同의 설
3) 법 운용의 기술 2. 虛靜無僞
3. 한비자의 법가사상
4. 한비자의 내용
1) [이병(二柄)]편
2) [비내(備內)]편
3) [고분(孤憤)]편
4) [설난(說難)]편
5) [오두] 겅 [십과(十過)]편
5. 의의 및 영향
2. 한비자의 사상
1) 도덕에 대한 法의 우위
2) 법 운용의 기술(術) 1. 刑名參同의 설
3) 법 운용의 기술 2. 虛靜無僞
3. 한비자의 법가사상
4. 한비자의 내용
1) [이병(二柄)]편
2) [비내(備內)]편
3) [고분(孤憤)]편
4) [설난(說難)]편
5) [오두] 겅 [십과(十過)]편
5. 의의 및 영향
본문내용
게 서로 각자의 노리고 추구하는 이익이 일치하지 않는 인간 관계에 있어서, 특히 임금과 신하는 본래부터 각자의 이익을 위하여 이루어진 남과 남의 사이이며, 임금과 백성의 사이는 지배와 피지배자의 힘에 의한 관계이다. 그러한 신하들에게, 백성들에게 충성심만을 기대하는 정치란 성립할 수 없으며, 그러한 신하와 백성들을 仁義니 道德이니, 仁政이니, 恩愛니 하는 것으로써 다스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그들을 다스리는 최선의 방법은 법이 아닐 수 없다는 것이다. 법을 바르게 세우고 그것을 잘 운용한다면 천하의 臣民들은 법의 궤도 안에 매이게 되어 나라의 질서는 저절로 井然하게 될 것이다. 법이 잘 지켜지게 하기 위하여는 형벌을 엄하고 중하게 해서 백성으로 하여금 두려워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법을 잘 운용한다는 말은 법을 그야말로 만인에게 평등가게 적용하여 어떤 경우에도 추호만큼의 私도 두지 말아야 하며, 조금의 寬容이나 溫情도 개입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법의 정치 사상이다.
2. 법 운용의 기술(術) 1. 刑名參同의 설
법이 아무리 정비되었다 하더라도 결국 그것을 운용하는 것은 사람이다. 임금된 자는 이익이 상반할 수도 있는 신하들을 자기가 바라는 대로 오직 임금의 이익을 위하여 움직여 주도록 신하들을 잘 부려야 할 것이다. 그 신하를 잘 부리는 데는 術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術의 제 1은 형명참동이라 하는 것이다. 形은 구체적인 실질, 名은 표면의 名義라는 의미이어서, 名實이 일치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어느 직명을 가진 관리가 그 직명에 따라서 실적을 거두고 있는가 어떤가를 검토하는 것이, 즉 형명참동이다. 그 직명 보다도 이하의 실적을 거둔 경우에는 물론 벌하지만 그 직명을 벗어난 실적을 거둔 경우에도 벌한다. 이 직명을 넘은 실적이 있는 자를 벌한다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우스운 것 같지만 사실은 법의 일률적 적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근대법의 정신에 합치되는 것이다. 봉건시대의 법의 운용은 재판관의 인정에 의한 것이 모범이지만, 거기에는 재판관의 개성이라 하는 비합리적인 요소가 강해지고 법 적용의 공평이라는 점이 두드러지게 손상된다. 근대법은 이같은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인정이라고 하는 비합리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법문을 기계적 . 형식합리적으로 해석해서 적용하고자 한다. 한비자의 형명참동의 사상은 근대법의 정신을 앞서 가
2. 법 운용의 기술(術) 1. 刑名參同의 설
법이 아무리 정비되었다 하더라도 결국 그것을 운용하는 것은 사람이다. 임금된 자는 이익이 상반할 수도 있는 신하들을 자기가 바라는 대로 오직 임금의 이익을 위하여 움직여 주도록 신하들을 잘 부려야 할 것이다. 그 신하를 잘 부리는 데는 術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術의 제 1은 형명참동이라 하는 것이다. 形은 구체적인 실질, 名은 표면의 名義라는 의미이어서, 名實이 일치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어느 직명을 가진 관리가 그 직명에 따라서 실적을 거두고 있는가 어떤가를 검토하는 것이, 즉 형명참동이다. 그 직명 보다도 이하의 실적을 거둔 경우에는 물론 벌하지만 그 직명을 벗어난 실적을 거둔 경우에도 벌한다. 이 직명을 넘은 실적이 있는 자를 벌한다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우스운 것 같지만 사실은 법의 일률적 적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근대법의 정신에 합치되는 것이다. 봉건시대의 법의 운용은 재판관의 인정에 의한 것이 모범이지만, 거기에는 재판관의 개성이라 하는 비합리적인 요소가 강해지고 법 적용의 공평이라는 점이 두드러지게 손상된다. 근대법은 이같은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인정이라고 하는 비합리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법문을 기계적 . 형식합리적으로 해석해서 적용하고자 한다. 한비자의 형명참동의 사상은 근대법의 정신을 앞서 가
추천자료
[헨리 조지][토지논쟁][공동체적 토지공유사상][토지가치세]헨리 조지와 토지논쟁의 시작, 헨...
[동양][동양의 국가관][동양의 사상][동양의 이상사회][동양의 봉건제도][동양의 환경관][동...
[연암 박지원][박지원][실학사상][실학][평등안][열하일기][양반전]연암 박지원의 생애, 연암...
[칸트][칸트철학][칸트사상][비판철학][선천적 종합판단]칸트의 생애, 칸트의 시대적 배경과 ...
토마스 아퀴나스의 기독교 윤리설- 원시 기독교 윤리사상 과 아퀴나스의 윤리사상 (인간관, ...
[순자][순자사상][인간관][성악설][義(의)개념][理(이)개념][실학의 道(도)]순자의 일생, 순...
[공자][공자사상][인간상][학문관][예교육][시교육]공자의 이력, 공자의 사상, 공자의 인간상...
[서양][아테네][사상][르네상스][복식문화][건축][대학][테이블식사예절]서양의 아테네, 서양...
[흐름]계약사상의 흐름, 평화사상의 흐름, 남녀평등운동의 흐름, 여성해방론의 흐름, 교육의 ...
보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및 보육과정에 영향을 미친 사상가 중 자신이 가장 지지하는 사상가...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의 정치사상 (홉스의 리바이어던, 인간에 관하여, 국가에 관하여,...
17~20세기 여러 보육 사상가들의 아동중심사상을 찾아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