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계약사상의 흐름
Ⅱ. 평화사상의 흐름
Ⅲ. 남녀평등운동의 흐름
1. Gender 흐름
1) 1970년대 세계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2) Gender Mainstreeming(1997년 UN 경제사회위원회(ECOSOC)에서 정의내림)
3) 문제의식의 배경
2. 여성관련 세계 통계
3. ILO 노동기본권
1) 87번
2) 98번
3) 100번
4) 111번
5) 29번
6) 105번
7) 138번
8) 182번
4. 여성노동자현황
1) 세계적으로 여성은 전체노동자의 45%이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2) 여성노동자의 양적확대는 있으나 세계화 국면에서 질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3) 비정규직 문제
4) ILO조약 156번 “가사와 일을 병행하는 노동자를 위한 조약”
5) 인터넷 정보통신분야도 여성이 낮음
6) 외국인노동자 문제도 심각함
Ⅳ. 여성해방론의 흐름
1. 자유주의 여권론
1) 자유주의 여권론의 기본 논리
2) 자유주의 틀의 수정과 확대
2. 마르크스주의 여성 해방론
1) 노동, 역사, 계급
2) 여성 노동의 문제와 여성 해방의 전망
3. 급진적 여성 해방론
1) 생물학인가 정치인가
2) 양성성과 여성성
3) 남성 지향성을 넘어서 자매애로
4. 사회주의 여성 해방론
1) 이중 체제론
2) 통합 체제론
Ⅴ. 교육의 흐름
1. 고대의 교육
1) 그리스와 로마 문화의 특징을 비교
2)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교육을 비교
3)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관의 현대적 의의를 토론
2. 르네상스의 교육
1) 인문주의 교육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탐구
2) 인문주의가 교육에 미친 영향을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나누어 고찰
3)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
3. 종교교육과 교육
1) 종교개혁의 인문주의적 성격을 논의
2) 성서 번역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
3) 종교개혁 이후 신교의 교육 활동
4) 교육에 대한 국가적 책임론을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
4. 실학주의와 교육
1) 실학주의의 형성 배경과 발달 과정
2) 감각적 실학주의의 교육적 의의를 논의
3)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토론
5. 계몽주의와 교육
1) 계몽주의 사상의 형성 배경
2) 계몽시대 교육의 특징을 오늘의 교육 현실과 관련하여 논의
3) 루수의 자연주의적 교육관과 소극교육론에 대해 토론
4) 범애학파에 대한 루소와 계몽사조의 영향
6. 신인문주의와 교육
1) 신인문주의 형성의 시대적 배경을 고찰
2) 낭만주의
3) 페스탈로치의 전인교육론을 플라톤의 국가교육론과 비교
Ⅵ. 환경담론의 흐름
Ⅶ. 인터넷광고시장의 흐름
1. 닷컴 열풍
2. 닷컴 기업들의 명암 드러나다
Ⅷ. 인터넷마케팅의 흐름
Ⅸ. 국제금융시장의 흐름
1.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의 원인
2.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적변화 현상
1) 국제금융시장의 통합화
2) 국제금융의 증권화
3) 파생금융상품 및 부외거래의 급증
Ⅹ. 시민단체의 흐름
참고문헌
Ⅱ. 평화사상의 흐름
Ⅲ. 남녀평등운동의 흐름
1. Gender 흐름
1) 1970년대 세계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2) Gender Mainstreeming(1997년 UN 경제사회위원회(ECOSOC)에서 정의내림)
3) 문제의식의 배경
2. 여성관련 세계 통계
3. ILO 노동기본권
1) 87번
2) 98번
3) 100번
4) 111번
5) 29번
6) 105번
7) 138번
8) 182번
4. 여성노동자현황
1) 세계적으로 여성은 전체노동자의 45%이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2) 여성노동자의 양적확대는 있으나 세계화 국면에서 질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3) 비정규직 문제
4) ILO조약 156번 “가사와 일을 병행하는 노동자를 위한 조약”
5) 인터넷 정보통신분야도 여성이 낮음
6) 외국인노동자 문제도 심각함
Ⅳ. 여성해방론의 흐름
1. 자유주의 여권론
1) 자유주의 여권론의 기본 논리
2) 자유주의 틀의 수정과 확대
2. 마르크스주의 여성 해방론
1) 노동, 역사, 계급
2) 여성 노동의 문제와 여성 해방의 전망
3. 급진적 여성 해방론
1) 생물학인가 정치인가
2) 양성성과 여성성
3) 남성 지향성을 넘어서 자매애로
4. 사회주의 여성 해방론
1) 이중 체제론
2) 통합 체제론
Ⅴ. 교육의 흐름
1. 고대의 교육
1) 그리스와 로마 문화의 특징을 비교
2)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교육을 비교
3)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교육관의 현대적 의의를 토론
2. 르네상스의 교육
1) 인문주의 교육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탐구
2) 인문주의가 교육에 미친 영향을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나누어 고찰
3)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
3. 종교교육과 교육
1) 종교개혁의 인문주의적 성격을 논의
2) 성서 번역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
3) 종교개혁 이후 신교의 교육 활동
4) 교육에 대한 국가적 책임론을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
4. 실학주의와 교육
1) 실학주의의 형성 배경과 발달 과정
2) 감각적 실학주의의 교육적 의의를 논의
3)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토론
5. 계몽주의와 교육
1) 계몽주의 사상의 형성 배경
2) 계몽시대 교육의 특징을 오늘의 교육 현실과 관련하여 논의
3) 루수의 자연주의적 교육관과 소극교육론에 대해 토론
4) 범애학파에 대한 루소와 계몽사조의 영향
6. 신인문주의와 교육
1) 신인문주의 형성의 시대적 배경을 고찰
2) 낭만주의
3) 페스탈로치의 전인교육론을 플라톤의 국가교육론과 비교
Ⅵ. 환경담론의 흐름
Ⅶ. 인터넷광고시장의 흐름
1. 닷컴 열풍
2. 닷컴 기업들의 명암 드러나다
Ⅷ. 인터넷마케팅의 흐름
Ⅸ. 국제금융시장의 흐름
1.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의 원인
2.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적변화 현상
1) 국제금융시장의 통합화
2) 국제금융의 증권화
3) 파생금융상품 및 부외거래의 급증
Ⅹ. 시민단체의 흐름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한 신학자는 평화를 기독교의 가장 포괄적인 덕으로 본다. 예수가 강조한 사랑이 개인들간의 관계를 나타낸다면, 사랑이 사회적, 지구적으로 바뀐 것이 평화라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도 반전 평화운동이 한창이던 60-70년대의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당연히 그럴만한 시대적 필요성이 있었다. 예수자신도 평화란 말을 사용했다. “나는 평화를 주러 온 것이 아니고 칼을 주러 왔다”고 한 말은 위장된 평화가 아니고 선악의 싸움에서 악, 악마에 대한 승리(항마)에서 오는 평화를 추구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해석된다. 이처럼 종교에 따라 평화의 내용과 지향점이 적어도 표현상 같지는 않다.
어원적으로 살펴보아도 그렇다. 유대-기독교전통에서 샬롬(shalom)이라는 말은 ‘완전함’(completeness), ‘전체됨’(wholeness) 이라는 뜻으로 통일성을 강조하는 뉴앙스를 갖고 있고, 인도말(Sanskrit) 샨티(shanti)는 정신적, 내면적 만족함(안심)을 뜻하고 있는데 이것은 불교에서 수행목표로 삼는 열반적정으로 표현된다. 반면에 중국말 ’평화‘는 음양의 조화에서 보듯 여러 다양한 힘의 균형상태를 의미한다. 평화는 다양성과 일치(조화)(diversity in unity)를 다 포함하고 있지만, 일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요소들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보면, 일치보다는 다양성이 더 강조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완전성, 전체성만 강조하는 샬롬과 대조된다. 이 말은 자칫 완벽주의, 전체주의, 배타주의로 이끌어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동서양의 차이 같은 것이 드러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삼동윤리의 첫째 항목인 동원도리의 원리는 바로 ’평화’의 원래 의미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同源은 이질적인 다양함을 전제로 성립되기 때문이다. 꼭 一元化를 지향하는 것 같지는 않다. 이것은, 뒤에 상론하겠지만, 다원주의적 입장에 다름 아니다.
Ⅲ. 남녀평등운동의 흐름
1. Gender 흐름
1) 1970년대 세계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여성 교육, 금융지원 등 여성에 대한 우대조치가 늘어남. 그러나 이런 조치가 “왜 여성만 강조하나?“는 문제제기도 불러옴 → 여성이 고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면서
* 사회적 양성평등 “Gender”의 중요성이 커지게됨. 여성의 문제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의 변화
* GAD : Gender and Development
- 남성과의 관계 속의 여성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함.
* 경제문제만이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여성지위를 고민함.
2) Gender Mainstreeming(1997년 UN 경제사회위원회(ECOSOC)에서 정의내림)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혜택받아야함. 경제사회문화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위치를 가져야한다.
3) 문제의식의 배경
[UN Men\'s group for Gender Equality] 결성
Gender 문제에서 남성의 참여가 왜 낮은지 고민함. 그 결론으로 - 기회가 안주어졌다. 기회부족으로 정보가 부족했다. 참여가 안되는 장벽으로 두려움, 알지못함, 조직문화 등을 꼽았다.
이후 이들은 성명서를 발표하여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는 입장을 발표함.
2. 여성관련 세계 통계
장관급 여성 8%
국회의원 11%
기업내 사장 5% 미만
노조내 위원장(Top Position, 위수사) 10% 미만
UN 세계여성권리장전은 189개 회원국 중 176개 나라가 비준함. 26개국이 비준하지 않았는데 이중 17개국이 아태지역임.
3. ILO 노동기본권
8개 협약은 각 나라의 비준 여부와 상관없이 회원국이면 반드시 지켜야할 조항임. 구속력을 가짐
1) 87번
결사의 자유
2) 98번
단체협약 체결의 자유
3) 100번
동일임금(협약제정 50주년임)
4) 111번
차별금지
5) 29번
강제노동금지 협약
6) 105번
강제노동금지 협약
7) 138번
아동강제노동금지 협약
8) 182번
아동강제노동금지 협약(매춘, 전쟁터에 보내기 등 아주 나쁜 노동)
4. 여성노동자현황
1) 세계적으로 여성은 전체노동자의 45%이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노동시장의 여성화
2) 여성노동자의 양적확대는 있으나 세계화 국면에서 질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동일임금 - 여성의 임금이 남성의 70%를 넘는 나라가 없음 / 인도는 40% 대임
3) 비정규직 문제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최근 조직화된 노동운동이 타격을 받으면서 관심이 증폭되고 있음
인도 : 비정규직이 90%. 정규직은 공기업이나 관공서 노동자에 한정되어 잇음
일본 : 젠센 (조합원 약 60만)은 섬유노조로 출발했다가 최근 조직대상확대로 섬유, 화학, 서비스, 유통 등을 포괄. 비정규직을 성공적으로 조직화한 연맹 사례로 세계적으로 조합원을 늘린 몇 안되는 노조로 꼽힘.
4) ILO조약 156번 “가사와 일을 병행하는 노동자를 위한 조약”
아태지역 2개 나라만 비준함. 호주와 일본
5) 인터넷 정보통신분야도 여성이 낮음
일본 여성 중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가능한 여성은 27%, 중국은 7%임.
6) 외국인노동자 문제도 심각함
* 세계적으로 통계가 안나옴. 대략 1억 1,800만 명의 합법적인 외국인노동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됨. 이중 5,000만 명이 여성노동자임.
*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경우 외국에 나가는 노동자중 70%가 여성임.
Ⅳ. 여성해방론의 흐름
1. 자유주의 여권론
서구 여성 운동의 태동을 마련해 준 것은 자유주의였다.
1) 자유주의 여권론의 기본 논리
자유주의는 인간의 본성을 이성에서 찾으며, 만인은 이성적 존재로서 동등하다고 본다. 관습과 제도의 불합리성을 여성 차별의 주된 요인으로 강조하는 것이 자유주의적 입장의 특징이다. 자유주의 여권론의 또 다른 특징은 사회와 가정을 서로 분리된 영역으로 본다는 점이다.
2) 자유주의 틀의 수정과 확대
자유주의 여권론의 주류는 전통적인 틀을 고수하고 있다. 성차별에 대한 대응을 보자.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성차별적 법률과 정책을 철폐함으로써 동등한 경쟁 기회를 따 내는 데 역점을 둔다. 반면에, 복지론자들은 여성이 경쟁에 들어가기 이전에 이미 차별을 받아왔기
어원적으로 살펴보아도 그렇다. 유대-기독교전통에서 샬롬(shalom)이라는 말은 ‘완전함’(completeness), ‘전체됨’(wholeness) 이라는 뜻으로 통일성을 강조하는 뉴앙스를 갖고 있고, 인도말(Sanskrit) 샨티(shanti)는 정신적, 내면적 만족함(안심)을 뜻하고 있는데 이것은 불교에서 수행목표로 삼는 열반적정으로 표현된다. 반면에 중국말 ’평화‘는 음양의 조화에서 보듯 여러 다양한 힘의 균형상태를 의미한다. 평화는 다양성과 일치(조화)(diversity in unity)를 다 포함하고 있지만, 일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요소들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보면, 일치보다는 다양성이 더 강조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완전성, 전체성만 강조하는 샬롬과 대조된다. 이 말은 자칫 완벽주의, 전체주의, 배타주의로 이끌어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동서양의 차이 같은 것이 드러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삼동윤리의 첫째 항목인 동원도리의 원리는 바로 ’평화’의 원래 의미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同源은 이질적인 다양함을 전제로 성립되기 때문이다. 꼭 一元化를 지향하는 것 같지는 않다. 이것은, 뒤에 상론하겠지만, 다원주의적 입장에 다름 아니다.
Ⅲ. 남녀평등운동의 흐름
1. Gender 흐름
1) 1970년대 세계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여성 교육, 금융지원 등 여성에 대한 우대조치가 늘어남. 그러나 이런 조치가 “왜 여성만 강조하나?“는 문제제기도 불러옴 → 여성이 고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면서
* 사회적 양성평등 “Gender”의 중요성이 커지게됨. 여성의 문제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의 변화
* GAD : Gender and Development
- 남성과의 관계 속의 여성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함.
* 경제문제만이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여성지위를 고민함.
2) Gender Mainstreeming(1997년 UN 경제사회위원회(ECOSOC)에서 정의내림)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혜택받아야함. 경제사회문화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위치를 가져야한다.
3) 문제의식의 배경
[UN Men\'s group for Gender Equality] 결성
Gender 문제에서 남성의 참여가 왜 낮은지 고민함. 그 결론으로 - 기회가 안주어졌다. 기회부족으로 정보가 부족했다. 참여가 안되는 장벽으로 두려움, 알지못함, 조직문화 등을 꼽았다.
이후 이들은 성명서를 발표하여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는 입장을 발표함.
2. 여성관련 세계 통계
장관급 여성 8%
국회의원 11%
기업내 사장 5% 미만
노조내 위원장(Top Position, 위수사) 10% 미만
UN 세계여성권리장전은 189개 회원국 중 176개 나라가 비준함. 26개국이 비준하지 않았는데 이중 17개국이 아태지역임.
3. ILO 노동기본권
8개 협약은 각 나라의 비준 여부와 상관없이 회원국이면 반드시 지켜야할 조항임. 구속력을 가짐
1) 87번
결사의 자유
2) 98번
단체협약 체결의 자유
3) 100번
동일임금(협약제정 50주년임)
4) 111번
차별금지
5) 29번
강제노동금지 협약
6) 105번
강제노동금지 협약
7) 138번
아동강제노동금지 협약
8) 182번
아동강제노동금지 협약(매춘, 전쟁터에 보내기 등 아주 나쁜 노동)
4. 여성노동자현황
1) 세계적으로 여성은 전체노동자의 45%이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노동시장의 여성화
2) 여성노동자의 양적확대는 있으나 세계화 국면에서 질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동일임금 - 여성의 임금이 남성의 70%를 넘는 나라가 없음 / 인도는 40% 대임
3) 비정규직 문제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최근 조직화된 노동운동이 타격을 받으면서 관심이 증폭되고 있음
인도 : 비정규직이 90%. 정규직은 공기업이나 관공서 노동자에 한정되어 잇음
일본 : 젠센 (조합원 약 60만)은 섬유노조로 출발했다가 최근 조직대상확대로 섬유, 화학, 서비스, 유통 등을 포괄. 비정규직을 성공적으로 조직화한 연맹 사례로 세계적으로 조합원을 늘린 몇 안되는 노조로 꼽힘.
4) ILO조약 156번 “가사와 일을 병행하는 노동자를 위한 조약”
아태지역 2개 나라만 비준함. 호주와 일본
5) 인터넷 정보통신분야도 여성이 낮음
일본 여성 중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가능한 여성은 27%, 중국은 7%임.
6) 외국인노동자 문제도 심각함
* 세계적으로 통계가 안나옴. 대략 1억 1,800만 명의 합법적인 외국인노동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됨. 이중 5,000만 명이 여성노동자임.
*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경우 외국에 나가는 노동자중 70%가 여성임.
Ⅳ. 여성해방론의 흐름
1. 자유주의 여권론
서구 여성 운동의 태동을 마련해 준 것은 자유주의였다.
1) 자유주의 여권론의 기본 논리
자유주의는 인간의 본성을 이성에서 찾으며, 만인은 이성적 존재로서 동등하다고 본다. 관습과 제도의 불합리성을 여성 차별의 주된 요인으로 강조하는 것이 자유주의적 입장의 특징이다. 자유주의 여권론의 또 다른 특징은 사회와 가정을 서로 분리된 영역으로 본다는 점이다.
2) 자유주의 틀의 수정과 확대
자유주의 여권론의 주류는 전통적인 틀을 고수하고 있다. 성차별에 대한 대응을 보자.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성차별적 법률과 정책을 철폐함으로써 동등한 경쟁 기회를 따 내는 데 역점을 둔다. 반면에, 복지론자들은 여성이 경쟁에 들어가기 이전에 이미 차별을 받아왔기
추천자료
[여성운동][여성운동 뿌리][여성운동 이면][여성운동 약화][여성운동 현황][선진국 여성운동 ...
[여성운동][여성의 근대화][여성운동 주제][여성운동 사례][여성운동 관련 제언]여성의 근대...
[여성운동][한국여성운동][한국여성운동 추진과제][여성운동의 방향][여성인권][여성권리]여...
[한국여성운동][여성운동][여성문제][한국여성]한국여성운동의 특징, 20세기 초의 한국여성운...
[여성지원병제]여성지원병제 도입 논란에 대한 찬반양론 및 나의 견해, 여성지원병제도의 배...
여성노동문제의 배경, 여성노동문제의 실태, 여성노동문제와 노동조건불일치문제, 여성노동문...
[여성흡연][불임][임신][피부미용][여성흡연의 예방방안]여성흡연의 현황, 여성흡연의 영향, ...
여성친화도시 조성이 지자체별로 확산되고 있다. 여성친화도시의 개념, 여성친화도시를 조성...
<여성 사회참여> 여성의 사회진출 배경 및 현황, 여성의 사회참여 과정, 여성 사회참여의 기...
여성장애인의 현황과 차별 및 정책적 대안 ( 여성장애인의 현황, 여성장애인 차별, 장애여성 ...
여성장애인의 차별과 차별해소를 위한 방안 ( 여성장애인의 현황, 여성장애인 차별, 장애여성...
여성친화도시의 개념, 여성친화도시를 조성하게 된 배경, 여성친화도시 조성의 현황, 여성친...
다문화이주여성의 한국문화생활적응 프로그램(이주여성프로그램, 다문화이주여성프로그램, 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산업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여성경제활동의 실제, 경제활동 내에서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