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제 2 장 한국의 對중국 투자추이 1
제 1 절 한국의 대 중국투자추이와 대 해외투자추이의 비교 1
제 2 절 대 중국투자동기의 변화 3
제 3 장 중국 외자정책 변화에 따른 투자 환경변화 4
제 1 절 중국투자환경상의 장애요인 4
제 2 절 중국 외자정책의 변화 4
제 3 절 중국 외자정책변화의 전망 6
제 4 절 외자정책변화가 한국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6
제 4 장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시장 진출전략 7
제 1 절 중국 투자환경의 대응전략 7
제 2 절 중국외자정책변화의 대응전략 8
제 5 장 요약 및 결론 8
참 고 문 헌 9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제 2 장 한국의 對중국 투자추이 1
제 1 절 한국의 대 중국투자추이와 대 해외투자추이의 비교 1
제 2 절 대 중국투자동기의 변화 3
제 3 장 중국 외자정책 변화에 따른 투자 환경변화 4
제 1 절 중국투자환경상의 장애요인 4
제 2 절 중국 외자정책의 변화 4
제 3 절 중국 외자정책변화의 전망 6
제 4 절 외자정책변화가 한국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6
제 4 장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시장 진출전략 7
제 1 절 중국 투자환경의 대응전략 7
제 2 절 중국외자정책변화의 대응전략 8
제 5 장 요약 및 결론 8
참 고 문 헌 9
본문내용
,094
3,328
2000
777
37.4
710
14.0
2,079
5,065
2001
1,047
48.7
635
12.3
2,149
5,150
2002
1,382
55.6
1,019
27.7
2,487
3,687
2003
1,679
59.8
1,641
40.1
2,806
4,027
2004
2,150
57.0
2,287
38.5
3,772
5,942
2005
2,232
70.5
2,581
56.1
3,165
6,469
2006
1,762
45.7
2,403
32.2
3,854
7,455
2007
1,631
47.3
3,449
31.5
3,449
10,961
누계
16,419
54.9
19,380
26.1
30,483
69,424
주 : 2007년은 9월 누계 실행기준
자료: 한국수출입은행,「해외투자통계정보」 http://www.koreaexim.go.kr
제2절 대 중국투자동기의 변화
한국중소기업의 대중 투자 동기는 비용절감에서 시장개척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한국중소기업의 대중투자는 초기에는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한 생산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았으나 중국 내수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로 전환하고 있다.
중기중앙회의 2006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중소기업의 대 중국 진출 동기 중 1위는 중국시장개척 동기로서 이의 비중은 49.5%에 달하였고 이는 2004년 8월 24.5% 보다 훨씬 높다. 2위로는 28%를 차지한 인건비 등 비용절감 동기이고, 3위는 11.8%를 차지한 노동력 확보이고, 4위는 4.3%를 차지한 원자재 조달용이성이고, 나머지 기타 동기는 6.4%이다. 현재 한국기업이 대 중국 진출하여 흑자 내는 기업은 36.7%를 차지하고 25.5%인 회사는 적자 상태이며 손익분기점에 처하여 있는 기업은 37.8%에 달한다. 한국경제신문, 2006년 9월 27일, A14면.
비록 중국 현지의 한국중소기업은 대 중국 투자에 따르는 혜택의 감소 그리고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 기업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등 열악한 여건이 따르지만 한국시장의 침체와 중국 시장개방의 확대와 중국 내수시장의 활성화 등 원인으로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투자는 계속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많은 한국 중소기업이 원가절감형이나 자원확보형으로부터 시장개척형으로의 전환은 현지투자 한국 중소기업의 매출 구조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1993년 말 무역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투자한 제조업 현지법인 매출 중에서 중국시장 내수 판매의 비중은 26.4%에 불과했지만 그러던 것이 중국 내수판매가 1995년 31.7%이었고 1999년 후 내수매출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2000년은 46.6%를 기록하였고 2001년부터 50%를 넘어 대중투자기업의 내수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직접투자는 시장추구형과 생산효율추구형의 혼합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를 두 시기로 구분하여 보았을 경우 대 중국 FDI 초기(1988~97년)에는 중국의 국내시장규모보다는 중국의 저임금이 대 중국투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최근에 접어들면서 對중국 FDI는 저임금보다는 오히려 시장규모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 다른 나라의 투자패턴과도 일치하고 있다. 이홍식, \"韓國의 對中國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대외경제연구 제8권 제2호, KIEP, 2004년 12월, p.280~281.
현재 한국의 對중국 FDI는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는 초보단계의 직접투자에서 벗어나 중국의 방대한 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보다 적극적인 투자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중국 FDI 투자 초기에는 노동집약적인 산업 중심의 소규모 단위의 투자에서 점차 자본집약적인 산업중심 위주의 투자로 변모해가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기업 특히 저임금을 활용하기 위한 중소기업은 중국의 방대한 내수시장을 겨냥하기 위한 투자동기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제 3 장 중국 외자정책 변화에 따른 투자 환경변화
제 1 절 중국투자환경상의 장애요인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진출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은 중국자체 투자환경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는데 주요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중국정부의 간섭문제
중국정부의 외자기업에 대한 간섭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고용 및 해고, 임금수준, 노무관리, 기업 경영성과에 대한 간섭, 각종 준조세제도 등이 있는데 한국중소기업이 사업을 전개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
3,328
2000
777
37.4
710
14.0
2,079
5,065
2001
1,047
48.7
635
12.3
2,149
5,150
2002
1,382
55.6
1,019
27.7
2,487
3,687
2003
1,679
59.8
1,641
40.1
2,806
4,027
2004
2,150
57.0
2,287
38.5
3,772
5,942
2005
2,232
70.5
2,581
56.1
3,165
6,469
2006
1,762
45.7
2,403
32.2
3,854
7,455
2007
1,631
47.3
3,449
31.5
3,449
10,961
누계
16,419
54.9
19,380
26.1
30,483
69,424
주 : 2007년은 9월 누계 실행기준
자료: 한국수출입은행,「해외투자통계정보」 http://www.koreaexim.go.kr
제2절 대 중국투자동기의 변화
한국중소기업의 대중 투자 동기는 비용절감에서 시장개척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한국중소기업의 대중투자는 초기에는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한 생산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았으나 중국 내수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로 전환하고 있다.
중기중앙회의 2006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중소기업의 대 중국 진출 동기 중 1위는 중국시장개척 동기로서 이의 비중은 49.5%에 달하였고 이는 2004년 8월 24.5% 보다 훨씬 높다. 2위로는 28%를 차지한 인건비 등 비용절감 동기이고, 3위는 11.8%를 차지한 노동력 확보이고, 4위는 4.3%를 차지한 원자재 조달용이성이고, 나머지 기타 동기는 6.4%이다. 현재 한국기업이 대 중국 진출하여 흑자 내는 기업은 36.7%를 차지하고 25.5%인 회사는 적자 상태이며 손익분기점에 처하여 있는 기업은 37.8%에 달한다. 한국경제신문, 2006년 9월 27일, A14면.
비록 중국 현지의 한국중소기업은 대 중국 투자에 따르는 혜택의 감소 그리고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 기업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등 열악한 여건이 따르지만 한국시장의 침체와 중국 시장개방의 확대와 중국 내수시장의 활성화 등 원인으로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투자는 계속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많은 한국 중소기업이 원가절감형이나 자원확보형으로부터 시장개척형으로의 전환은 현지투자 한국 중소기업의 매출 구조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1993년 말 무역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투자한 제조업 현지법인 매출 중에서 중국시장 내수 판매의 비중은 26.4%에 불과했지만 그러던 것이 중국 내수판매가 1995년 31.7%이었고 1999년 후 내수매출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2000년은 46.6%를 기록하였고 2001년부터 50%를 넘어 대중투자기업의 내수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직접투자는 시장추구형과 생산효율추구형의 혼합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를 두 시기로 구분하여 보았을 경우 대 중국 FDI 초기(1988~97년)에는 중국의 국내시장규모보다는 중국의 저임금이 대 중국투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최근에 접어들면서 對중국 FDI는 저임금보다는 오히려 시장규모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 다른 나라의 투자패턴과도 일치하고 있다. 이홍식, \"韓國의 對中國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대외경제연구 제8권 제2호, KIEP, 2004년 12월, p.280~281.
현재 한국의 對중국 FDI는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는 초보단계의 직접투자에서 벗어나 중국의 방대한 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보다 적극적인 투자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중국 FDI 투자 초기에는 노동집약적인 산업 중심의 소규모 단위의 투자에서 점차 자본집약적인 산업중심 위주의 투자로 변모해가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기업 특히 저임금을 활용하기 위한 중소기업은 중국의 방대한 내수시장을 겨냥하기 위한 투자동기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제 3 장 중국 외자정책 변화에 따른 투자 환경변화
제 1 절 중국투자환경상의 장애요인
한국중소기업의 對중국 진출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은 중국자체 투자환경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는데 주요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중국정부의 간섭문제
중국정부의 외자기업에 대한 간섭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고용 및 해고, 임금수준, 노무관리, 기업 경영성과에 대한 간섭, 각종 준조세제도 등이 있는데 한국중소기업이 사업을 전개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
추천자료
(마케팅 전략 분석) 소비자 심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마케팅 전략 (SPT, 4P,...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락앤락(하나코비)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사례- 휴대폰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회계 세무 전략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의미,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종류와 특성,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중국의 외국인투자환경과 기업의 진출전략
[기업조직][기업][조직][일본 기업조직][중국 기업조직][미국 기업조직][한국 기업조직][일본...
[중소기업][기업][중국 중소기업][한국 중소기업][일본 중소기업][대만 중소기업][이탈리아 ...
[제조업][제조기업][한국 제조기업][미국 제조기업][중국 제조기업]한국의 제조업(제조기업),...
[기업시장][한국 기업시장][미국 기업시장][중국 기업시장][일본 기업시장]한국 기업시장, 미...
[해외투자론] 롯데마트 (Lotte Mart) 해외시장 진출 사례분석 (기업소개, 중국시장 환경 분석...
한국기업의 중국 및 일본시장 진출 사례
기업企業 비정규직사용비율 결정요인, 기업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 기업 전략구축 결정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