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 경제사상의 기본구조와 변화에 관한 체계적 인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머리말

2. 유학사상의 변천
1) 삼국시대 유학사상
2) 고구려의 유학사상
3) 백제의 유학사상
4) 신라의 유학사상
5) 고려의 유학사상

3. 유학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사
1) 조선후기 실학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2) 조선전기 성리학자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
3) 유학의 경제사상과 경제생활 및 경제정책의 관련성
4) 종합적 서술 연구
5) 체계적인 인식을 위한 연구 동향

4. 유학 경제사상의 기본구조와 변화
1) 유학 경제사상의 기본구조
2) 유학 경제사상의 변화
3) 유학 경제사상의 근대적 전환
4) 유학 경제사상의 현대적 의의와 시사점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하면, 경제적 동기인 사리 추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였으며, 그것이 경제사상을 어떻게 규정하였던가. 인의 등의 윤리도덕 관념과 경제적 동기의 관련성에 유의할 필요도 있다. 경제적 동기관은 인심도심관人心道心觀, 사단칠정론, 나아가 이기론에 연결되겠지만, 그 본격적인 분석은 철학 전공자와 협력 아래 수행될 필요가 있다. 경제사상은 어떠한 경제적 현실을 반영하는가. 구체적으로 말해 경제통합원리나 산업의 구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옹호하였던가.
경제사상과 경제생활의 상관성은 어떠하고, 경제사상은 경제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던가도 다룰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사상 형성의 국내적 계기뿐만 아니라 국외적 계기는 어떠한가. 구체적으로 중국.일본.서양의 사상과 경제 정보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던가.
참고문헌
權五榮, 『崔漢綺의 學問과 思想 硏究』(集文堂, 1999).
, 『조선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돌베개, 2003).
김광진.김광순.변낙주, 『한국경제사상사』(이성과현실에서 1989년에 영인).
金泳鎬, 「韓末西洋技術의 受容」,《亞細亞硏究》31號(1968).
金龍德, 「茶山의 商業觀 硏究」,《歷史學報》70(1976).
金容燮, 『韓國近代農業史硏究』(一潮閣, 1975).
, 『韓國後期農學史硏究』(一潮閣, 1988).
, 「朝鮮後期 兩班層의 農業生産」,《東方學志》64(1989).
金仁昊, 『高麗後期 士大夫의 經世論 硏究』(혜안, 1999).
金駿錫, 「朝鮮後期 國家再造論의 擡頭와 그 展開」(연세대 문학박사학위논문, 1990a).
, 「17세기 正統朱子學派의 政治社會論-宋時烈의 世道政治論과 賦稅制度釐正策」,《동방학지》67(1990b).
, 「柳馨遠의 變法觀과 實理論」,《東方學志》75(1992).
金泰永, 『실학의 국가 개혁론』(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朴平植, 「高麗末期의 商業問題와 弊論議」,《歷史敎育》68(1998).
, 「朝鮮初期의 商業認識과 抑末策」,《東方學志》104(1999).
박찬승, 「조선후기 사회.경제사상 연구현황」 『韓國中世社會解體期의 諸問題(上)』 10(1999).
白承哲, 『朝鮮後期 商業史硏究』(혜안, 2000).
宋柱永, 『韓國實學思想大要』(博英社, 1979).
宋贊植, 『朝鮮後期 社會經濟史의 硏究』(一潮閣, 1997).
申恒秀, 「李瀷(1681∼1763)의 經.史解釋과 現實認識」(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安秉直, 「茶山의 農業經營論」, 『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下(창작과 비평사, 1990).
유봉학, 『燕巖一派 北學思想 硏究』(一志社, 1995).
, 「正祖의 華城 건설과 산업진흥책」,《韓國實學硏究》2(2000).
尹絲淳, 『韓國儒學論究』(玄岩社, 1980).
, 「性理學과 實學, 그 根本思考의 同異性에 대한 考察」,《泰東文化硏究》19(2003).
李基俊, 『韓末西歐經濟學導入史硏究』(一潮閣, 1985).
李景植, 「16세기 場市의 成立과 그 基盤」,《韓國史硏究》57(1987)
, 「朝鮮前期의 土地改革論議」,《韓國史硏究》61.62(1988).
李東仁, 「栗谷의 經濟改革論」,《韓國學報》87(1997).
李東歡, 「洪湛軒의 世界觀의 두 局面 道學과 實學思想의 相須的 연계 관계의 한 양태」,《韓國實學硏究》創刊號(1999).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在地的 基盤」,《新羅伽倻文化》12(1981).
, 「古文書를 통해 본 朝鮮朝社會史의 一硏究 慶北地方 在地士族을 中心으로」,《韓國史學》9(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退溪李滉家門의 財産유래와 그 所有形態」,《歷史敎育論集》13.14(1990).
, 「晦齋李彦迪家門의 社會.經濟的 基盤」,《民族文化論叢》12(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1).
李佑成, 「18세기 서울의 都市的 樣相---燕巖學派.利用厚生學派의 成立背景」,《鄕土서울》17(1963).
, 「한국 社會經濟思想 序說」, 『韓國思想大系』 Ⅱ, 社會.經濟思想編(성균관대학교 大東文化硏究院, 1976).
李迎春, 「尤菴 宋時烈의 社會.經濟思想」,《道山學報》8(2001).
李榮薰, 「茶山의 井田制改革論과 王土主義」,《民族文化》19(1996).
, 「18∼19세기 小農社會와 實學」,《韓國實學硏究》4(2002).
, 「다산의 인간관계 범주구분과 사회인식」,《茶山學》4(2003).
李鍾英, 「李朝人의 貨幣觀」,《史學會誌》5(1964).
李宗祐, 『朝鮮時代의 經濟思想』(民俗苑, 1993).
李泰鎭, 『韓國社會史硏究』(지식산업사, 1986).
, 『朝鮮儒敎社會史論』(지식산업사, 1989).
,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 모델』(태학사, 2002).
全海宗, 「실학」, 『韓中關係史硏究』(一潮閣, 1970).
鄭萬祚, 「17세기 후반 漢黨의 정치활동과 國政運營論」,《韓國文化》23(1999).
정성철,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사회과학출판사, 1974)(한마당에서 1989년 영인).
池斗煥, 「朝鮮後期 實學硏究의 問題點과 방향」,《泰東古典硏究》3(1987)
, 「尤庵 宋時烈의 社會經濟思想」,《韓國學論叢》21(국민대, 1999).
, 「율곡 이이의 사회경제사상」,《한국사상과 문화》7(서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0).
, 「市南 兪棨의 社會經濟思想」 『최근묵교수정년기념논총』(2003).
, 「同春堂 宋浚吉의 經世思想」,《충청학연구》4(2003).
千寬宇, 「磻溪 柳馨遠 硏究」(상).(하),《歷史學報》제2.3輯(1952.1953).
崔潤晤, 「順庵 安鼎福의 土地論」,《韓國實學硏究》4(2002).
최홍규, 『우하영의 실학사상 연구』(일지사, 1995).
, 「醉石室 禹夏永의 향촌사회발전론」,《韓國實學硏究》2(2000).
韓明基, 「柳夢寅의 經世論 연구」,《韓國學報》67(1992).
, 『임진왜란과 한중관계』(역사비평사, 1999).
韓永愚, 『鄭道傳思想의 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73(1983 개정판)
, 『朝鮮前期 社會思想硏究』(知識産業社, 1983).
韓睿媛, 「星湖 李瀷의 貨幣觀을 통해 본 經世思想」,《韓國實學硏究》3(2001).
성균관대학교 大東文化硏究院, 『韓國思想大系』 Ⅱ, 社會.經濟思想編(1976).
須川英德, 「高麗後期における商業政策の展開 對外關係を中心に」,《朝鮮文化室紀要》4(東京大學文學部, 1997).
  • 가격3,2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8.09.0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