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2. 호칭과 '반올림#' - 이론 분석, 실제 용례 분석
2.1 호칭
2.1.1 대명사 호칭
2.1.2 성명과 직함
2.1.3 친족 호칭
3. 결론
※ 참고문헌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2. 호칭과 '반올림#' - 이론 분석, 실제 용례 분석
2.1 호칭
2.1.1 대명사 호칭
2.1.2 성명과 직함
2.1.3 친족 호칭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빠\'라고 호칭하는 것이 올바른 언어생활이라는 것은 아니다.
부부는 서열이 동등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로의 이름을 막 부를 만한 만만한 사이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만만한 사이의 기준은 아직도 모호하다.
는 아니다. 부부는 연령대면에서나 관계면 모두에서 이름을 부르기 쉬운 사이는 아니다. 그래서 가.예시문과 나.예시문에서 부부가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특이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는 경어법 선택의 기준 중 친밀도에 더 무게를 둔 발화로 보여 진다. 일반적인 호칭규칙에는 어긋나지만, 그 규칙을 벗어날 만큼 친밀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작가의 의도로 보인다. 필자의 부모님도 서로 이름을 부르실 때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므로 작가의 의도가 주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나.예시문에서 아버지가 자식들의 이름을 하나씩 부르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예이며, 이 드라마에서 세 자식 모두 성년이 되지 않은 어린 나이이고, 물론 결혼도 하지 않았기에 부모로서 매우 편하게 자식들의 이름을 부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 가. 엄마 이거 디게 비싼 개거든?
나. 이제 좋아졌어, 기를 거야, 아빠~.
물론 자식들은 부모에게 친족 호칭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 발화문에서는 친족호칭의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친족 호칭들과 달리 \'어머니\'와 \'아버지\'는 자식들이 어릴 때 부를 수 있는 호칭인 \'엄마\'와 \'아빠\'가 존재한다. 이 호칭은 예전에는 그 범위가 아주 어린자녀 미취학아동이거나 초등학교 학생일 때까지였는데, 그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여성의 경우 결혼한 후에도 \'엄마\', \'아빠\'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남성의 경우에도 결혼하기 전이면 \'엄마\', \'아빠\'를 쓰는 경우가 늘고 있다. \'엄마\', \'아빠\'가 여성에게 활용범위가 더 넓은 것은 여성이 서열보다 친밀도를 중시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지만, 남녀를 불문하고 평균 연령이 올라간 것만큼은 특이하게 볼 점이다. 이 자료에서도 중고등학생인 자식들은 이 호칭을 사용하는데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것 같다.
이 드라마는 형제간의 친족호칭 발화가 매우 적었는데, 맏이인 예림이 고등학교 수험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형제들과의 교류가 적고, 옥림과 하림은 쌍둥이 남매이기에 그 서열이 확고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결혼한 형제가 있거나 형제들의 연령이 높은 것도 아니기에 형제간에는 이름 또는 평칭이 사용되었다.
8) 가. 하림아! 밥 진짜 안 먹을꺼야? 오늘 반찬... (38회 #30)
나. 그럼 내가 소림이지 옥립이야? 뭐야 오빠 꿈꿨어?
한국어에서 친족 호칭은 그 등급보다 발화여부 그리고 다양성이 더욱 중요하다. 발화여부의 가장 중요한 변수는 항렬과 나이이고, 특수한 관계에서 예외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각 가정의 문화의 변수 또한 작용하기에 친족 호칭의 등급의 수가 적다고 해서 간단하다고 봐서는 안 된다. 최근 호칭에 의한 존대가 많이 흐려지고 있다. 나이차이가 작은 형제간에 호칭이 사라지는가 하면, 부부 사이에는 정식 호칭이 아닌 애칭을 쓰고, 친척들 간에는 종자명호칭의 사용으로 서로에 대한 직접적인 존대가 흐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앞으로 더욱 심화될지 혹은 누그러질지는 알 수 없다. 또 올바른 변화인지 언어 파괴인지에 대한 것도 확언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회 속에서 변화하는 언어의 변화가 끊임없이 진행 될 것만은 분명하다.
3. 결론
본고는 방송매체 중에서도 tv 그리고 그 중에서도 드라마, 그리고 그 중에서 청소년 드라마 \'반올림#\'을 중심으로 호칭에 대한 이론과 그 사용 양상을 알아보았다. 방송매체의 언어는 실제 언어생화의 양상과 그 선후를 밝히기 어려울 만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에, 많은 연구들이 언어생활에서 방송매체의 중요성과 방송매체가 올바른 언어생활을 선도하고 있지 않음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본 연구에서 방송 매체가 교육적으로 언어생활을 선도해야한다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언어는 변화한다. 아래의 글은 훈민정음 예의본에 글이다. 최대한 옛 표기로 쓰려고 하였으나, 지금의 자판으로 쓰기 어려운 글자가 많아, 아래의 글도 당신의 표기를 그대로 한 것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난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는 아래와 같은 표기도 어투도 어색하고 이상하다. 언어가 계속해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젼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빼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펴디 못할 노미 하니라
내 이랄위하야 어엿비너겨 새로 스믈 여
부부는 서열이 동등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로의 이름을 막 부를 만한 만만한 사이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만만한 사이의 기준은 아직도 모호하다.
는 아니다. 부부는 연령대면에서나 관계면 모두에서 이름을 부르기 쉬운 사이는 아니다. 그래서 가.예시문과 나.예시문에서 부부가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특이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는 경어법 선택의 기준 중 친밀도에 더 무게를 둔 발화로 보여 진다. 일반적인 호칭규칙에는 어긋나지만, 그 규칙을 벗어날 만큼 친밀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작가의 의도로 보인다. 필자의 부모님도 서로 이름을 부르실 때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므로 작가의 의도가 주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나.예시문에서 아버지가 자식들의 이름을 하나씩 부르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예이며, 이 드라마에서 세 자식 모두 성년이 되지 않은 어린 나이이고, 물론 결혼도 하지 않았기에 부모로서 매우 편하게 자식들의 이름을 부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 가. 엄마 이거 디게 비싼 개거든?
나. 이제 좋아졌어, 기를 거야, 아빠~.
물론 자식들은 부모에게 친족 호칭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 발화문에서는 친족호칭의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친족 호칭들과 달리 \'어머니\'와 \'아버지\'는 자식들이 어릴 때 부를 수 있는 호칭인 \'엄마\'와 \'아빠\'가 존재한다. 이 호칭은 예전에는 그 범위가 아주 어린자녀 미취학아동이거나 초등학교 학생일 때까지였는데, 그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여성의 경우 결혼한 후에도 \'엄마\', \'아빠\'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남성의 경우에도 결혼하기 전이면 \'엄마\', \'아빠\'를 쓰는 경우가 늘고 있다. \'엄마\', \'아빠\'가 여성에게 활용범위가 더 넓은 것은 여성이 서열보다 친밀도를 중시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지만, 남녀를 불문하고 평균 연령이 올라간 것만큼은 특이하게 볼 점이다. 이 자료에서도 중고등학생인 자식들은 이 호칭을 사용하는데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것 같다.
이 드라마는 형제간의 친족호칭 발화가 매우 적었는데, 맏이인 예림이 고등학교 수험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형제들과의 교류가 적고, 옥림과 하림은 쌍둥이 남매이기에 그 서열이 확고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결혼한 형제가 있거나 형제들의 연령이 높은 것도 아니기에 형제간에는 이름 또는 평칭이 사용되었다.
8) 가. 하림아! 밥 진짜 안 먹을꺼야? 오늘 반찬... (38회 #30)
나. 그럼 내가 소림이지 옥립이야? 뭐야 오빠 꿈꿨어?
한국어에서 친족 호칭은 그 등급보다 발화여부 그리고 다양성이 더욱 중요하다. 발화여부의 가장 중요한 변수는 항렬과 나이이고, 특수한 관계에서 예외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각 가정의 문화의 변수 또한 작용하기에 친족 호칭의 등급의 수가 적다고 해서 간단하다고 봐서는 안 된다. 최근 호칭에 의한 존대가 많이 흐려지고 있다. 나이차이가 작은 형제간에 호칭이 사라지는가 하면, 부부 사이에는 정식 호칭이 아닌 애칭을 쓰고, 친척들 간에는 종자명호칭의 사용으로 서로에 대한 직접적인 존대가 흐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앞으로 더욱 심화될지 혹은 누그러질지는 알 수 없다. 또 올바른 변화인지 언어 파괴인지에 대한 것도 확언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회 속에서 변화하는 언어의 변화가 끊임없이 진행 될 것만은 분명하다.
3. 결론
본고는 방송매체 중에서도 tv 그리고 그 중에서도 드라마, 그리고 그 중에서 청소년 드라마 \'반올림#\'을 중심으로 호칭에 대한 이론과 그 사용 양상을 알아보았다. 방송매체의 언어는 실제 언어생화의 양상과 그 선후를 밝히기 어려울 만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에, 많은 연구들이 언어생활에서 방송매체의 중요성과 방송매체가 올바른 언어생활을 선도하고 있지 않음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본 연구에서 방송 매체가 교육적으로 언어생활을 선도해야한다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언어는 변화한다. 아래의 글은 훈민정음 예의본에 글이다. 최대한 옛 표기로 쓰려고 하였으나, 지금의 자판으로 쓰기 어려운 글자가 많아, 아래의 글도 당신의 표기를 그대로 한 것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난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는 아래와 같은 표기도 어투도 어색하고 이상하다. 언어가 계속해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젼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빼이셔도
마참내 제 뜨들 시러펴디 못할 노미 하니라
내 이랄위하야 어엿비너겨 새로 스믈 여
키워드
추천자료
[놀이지도A형]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 비교분석
[인간행동과사회환경]성격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인지이론, 행동주의이론, 인본주의 이론의 ...
(A+, 놀이지도) 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의 비교 분석
(A+, 놀이지도) 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의 비교 분석
(A+, 인간과 심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프로...
(A+, 인간과 심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프로...
정신분석상담이론과 인간분석상담이론 기술,공헌점,비판점
아동발달의 이론 6가지 정리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 이론, 학습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
인간행동과사회환경A) 행동발달에 대한 정신분석이론의 입장과 요점(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
영유아 발달이론인 정신분석이론 중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을 간략하게 비교 설명하고, 보...
사회복지 영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정신분석이론, 심리사회이론, 인지행동이론의 각 ...
부모교육이론 중 한 이론을 선택하여 자신의 삶의 경험 혹은 가치관에 비추어 장점을 논하고,...
[놀이지도] 놀이 이론에 대한 이해 - 고전적 놀이 이론(잉여에너지이론, 휴식이론, 반복이론,...
정신분석상담이론의 주요개념과 상담과정과 기법을 설명하고 정신분석상담에 대한 학습자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