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고려가요
1. 속요
1) 개념 및 명칭
2) 성격과 특성
3) 속요의 역사적 전개
4) 형식상 특징
5) 내용상 특징
6) 현대까지 이어지는 고려속요의 정서
2. 경기체가
1) 개념 및 명칭
2) 시어상의 특징
3) 내용상의 특징
4) 경기체가의 쇠퇴
5) 경기체가 작품 소개
Ⅲ. 결론
Ⅱ. 고려가요
1. 속요
1) 개념 및 명칭
2) 성격과 특성
3) 속요의 역사적 전개
4) 형식상 특징
5) 내용상 특징
6) 현대까지 이어지는 고려속요의 정서
2. 경기체가
1) 개념 및 명칭
2) 시어상의 특징
3) 내용상의 특징
4) 경기체가의 쇠퇴
5) 경기체가 작품 소개
Ⅲ. 결론
본문내용
지 않았다. 또한 신흥사대부에 의해 신종 장르로 등장한 경기체가와 시조에 밀려 속요는 그 기반을 상실했다.
4) 형식상 특징
▶ 공통적 특징
① 여흠 혹은 후렴구 : 행과 행, 연과 연 사이에 후렴구를 삽입한다. 음악에 맞추어 흥을 돋우면서 한 편의 노래로서 형식적 동질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보기) <정읍사>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동동(動動)> 아으 동동다리
<서경별곡> 아즐가,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쌍화점>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청산별곡> 얄리얄리얄랑셩 얄라리얄라
<가시리> 나, 위증즐가 태평성대
<사모곡(思母曲)> 위 덩더둥셩
② 감탄사의 표현 : 조흥구의 역할, 즉 노래의 정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보기) <정읍사> “아으”
<처용가>, <정과정> “아으”, “아소 님하”
<사모곡> “위 덩더둥셩”, “이소”
<이상곡> “아소 님하”
▶ 구성상 특징
① 단련체 : 작품 전체가 하나의 연으로 되어있음.
<정읍사>, <정과정>, <사모곡>, <상저가(相杵歌)>, <유구곡(維鳩曲)>
② 분련체(연장체) : 속요의 나머지 대부분, 한 연을 노래하는 악곡에 맞추어 거듭되는 연들을 노래하는 형식이므로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다. 속요를 가리켜 장가(長歌)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l처럼 연을 거듭함으로써 길어지는 특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서경별곡>이 14연으로 가장 길고, <동동>이 그 다음으로 13연, <정석가>는 10연, <청산별곡>은 8연, <만전춘>은 6연, <쌍화점>과 <가시리>가 4연으로 되어 있다.
5) 내용상 특징
흔히 고려 속요를 사랑 노래 일색으로 보는데, 내용의 속성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려우며, 애정 일변도의 것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① 무가계통의 노래 : <처용가>
② 부모에 대한 애정을 노래 : <사모곡>, <상저가>
③ 노래하는 자체의 즐거움을 추구 : <유구곡>
④ 남녀 간의 쾌락 : <쌍화점>
⑤ 변치 않는 사랑과 지속적인 그리움을 노래 :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정석
6) 현대까지 이어지는 고려속요의 정서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가시겠습니까? ········)
리고 가시리잇고 나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대)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날더러는 어찌 살라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대)
잡와 두어리마 (붙잡아 둘 것이지만,-두고 싶지만)
선면 아니 올셰라 (서운하면 아니 올까 두렵구나)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대)
설온 님 보내노니 나 (서러운 임 보내드리니)
가시 도셔 오쇼셔 나 (가시는 것처럼 돌아서 오십시오.)
① 내용 연구
형식 : 전 4연. 각 2구의 분연체
운율 : 외재율. 332조 3음보
표현 : 반복법의 사용.
간결하고 소박한 함축적인 시어로 이별의 감정을 절묘하게 표현 .
주제 : 이별의 정한(情恨)
의의 : 함축성 있는 시어로 소박한 정조를 나타낸 이별가의 절조(絶調)
② 가시리 & 현대가요 비교
가 시 리
현대가요(G.O.D ‘네가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주인공이
처해있는
상 황
화자 - 여인인 것으로 보여짐.
여인은 사랑하는 임이 자신을 떠나려고 하는 상황에서 임을 잡지 못하고 있음.
*예성강곡의 배경설화 참고
화자 - 남자인 것으로 보여짐.
연인과 헤어진 상황에서 주위의 조롱에도 불구하고 연인이 돌아와 주기를 기다림.
처해있는
상황에
따 른
행 동
1연 - 여인은 임이 떠나는 것을 차마 믿지 못하겠다는 듯 이별의 사실을 거듭 확인.
2연 - 사랑하는 임이 떠나가면 어찌 살아가겠냐고 호소.
3연 - 떠나는 임을 붙잡고 싶지만 울고 매달리면 임이 영영 떠나버리지 않을까하는 염려. 임을 보내는 서러움을 절제.
4연 - 가시자마자 돌아오기를 기원. 떠난 임을 언제까지나 기다리겠다는 간절한 기다림의 정서.
임이 떠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소극적으로 나타내면서 기다림과 인고(忍苦)의 자세를 보임.
임이 떠난 사실을 은근히 원망하며 돌아오라고 호소함
떠난 임은 반드시 돌아올꺼라고 믿으며 기다림
돌아와달라는 여러 이유를 설명하며 호소하지만 자신감이 없음
인제라도 기다리겠다는 기다림과 인고의 자세를 보여줌
두
주인공의
차이점
이별을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임을 보내주고 있음.
“가시리”의 여인이 사랑하는 임은 화자인 여인에 대한 사랑이 식어 떠나는 것으로 보여짐.
임을 잡아두고 싶지만, 그러면 임이 영영 돌아오지 않을까 두려워 임에게 떠나지 말란 말을 하지 못함.
사랑의 무게가 떠나는 임보다 보내는 여인에게 더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보임. ‘임이 없으면 나는 살 수 없다’고 말하고 있음.
이 노래는 화자가 남자
임이 이미 떠난 상태
두
주인공의
공통점
이별의 상황에 놓여있음.
두 노래는 시간과 표현의 차이는 있지만 이별의 심정만은 비슷.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림.
임이 떠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면서 기다림과 인고의 자세를 보임
▶ 참고 자료 - 예성강곡(禮成江曲)
이병기는 가시리를 고려사 악지 속악조에 배경설화가 실린 예성강곡의 전편으로 추측함.
예성강곡의 설화 - 당나라에 바둑을 잘 두는 하두강이란 상인이 예성강에 갔다가 아름다운 미인을 보고 탐이 났다. 그는 그 여인의 남편과 바둑을 두어 일부러 져 주며 다음에 아내를 빼앗아 버리자 남편이 회한에 차서 이 노래를 불렀다. 배가 바다 가운데 이르러 움직이지 않아 점을 치니 절부(節婦)에 감동되었으니, 여인을 돌려 보내지 않으면 파선하리라 하였다. 뱃사공이 하두강을 설득하여 그녀를 돌려 보냈다. 그녀가 또한 노래를 지었는데 이것이 후편이다.
③ 전통시의 맥
전통적인 한국적 女心의 애소적 정조를 깔면서 별리(別離)의 정한을 나타낸 이 노래는 민요의 아리랑, 황진이의 시조어져 내일이야..., 김소월의 진달래꽃 등과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맥은 현대 가요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처용가
(前腔) 新羅聖代 昭聖代
天下大平 羅侯德
處容아바
以是人生애 相不語시란
以是人生애 相不語시란
(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샷다
(中葉) 어와 아
4) 형식상 특징
▶ 공통적 특징
① 여흠 혹은 후렴구 : 행과 행, 연과 연 사이에 후렴구를 삽입한다. 음악에 맞추어 흥을 돋우면서 한 편의 노래로서 형식적 동질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보기) <정읍사>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동동(動動)> 아으 동동다리
<서경별곡> 아즐가,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쌍화점>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청산별곡> 얄리얄리얄랑셩 얄라리얄라
<가시리> 나, 위증즐가 태평성대
<사모곡(思母曲)> 위 덩더둥셩
② 감탄사의 표현 : 조흥구의 역할, 즉 노래의 정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보기) <정읍사> “아으”
<처용가>, <정과정> “아으”, “아소 님하”
<사모곡> “위 덩더둥셩”, “이소”
<이상곡> “아소 님하”
▶ 구성상 특징
① 단련체 : 작품 전체가 하나의 연으로 되어있음.
<정읍사>, <정과정>, <사모곡>, <상저가(相杵歌)>, <유구곡(維鳩曲)>
② 분련체(연장체) : 속요의 나머지 대부분, 한 연을 노래하는 악곡에 맞추어 거듭되는 연들을 노래하는 형식이므로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다. 속요를 가리켜 장가(長歌)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l처럼 연을 거듭함으로써 길어지는 특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서경별곡>이 14연으로 가장 길고, <동동>이 그 다음으로 13연, <정석가>는 10연, <청산별곡>은 8연, <만전춘>은 6연, <쌍화점>과 <가시리>가 4연으로 되어 있다.
5) 내용상 특징
흔히 고려 속요를 사랑 노래 일색으로 보는데, 내용의 속성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려우며, 애정 일변도의 것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① 무가계통의 노래 : <처용가>
② 부모에 대한 애정을 노래 : <사모곡>, <상저가>
③ 노래하는 자체의 즐거움을 추구 : <유구곡>
④ 남녀 간의 쾌락 : <쌍화점>
⑤ 변치 않는 사랑과 지속적인 그리움을 노래 :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정석
6) 현대까지 이어지는 고려속요의 정서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가시겠습니까? ········)
리고 가시리잇고 나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대)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날더러는 어찌 살라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대)
잡와 두어리마 (붙잡아 둘 것이지만,-두고 싶지만)
선면 아니 올셰라 (서운하면 아니 올까 두렵구나)
위 증즐가 大平盛代(대평성대)
설온 님 보내노니 나 (서러운 임 보내드리니)
가시 도셔 오쇼셔 나 (가시는 것처럼 돌아서 오십시오.)
① 내용 연구
형식 : 전 4연. 각 2구의 분연체
운율 : 외재율. 332조 3음보
표현 : 반복법의 사용.
간결하고 소박한 함축적인 시어로 이별의 감정을 절묘하게 표현 .
주제 : 이별의 정한(情恨)
의의 : 함축성 있는 시어로 소박한 정조를 나타낸 이별가의 절조(絶調)
② 가시리 & 현대가요 비교
가 시 리
현대가요(G.O.D ‘네가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주인공이
처해있는
상 황
화자 - 여인인 것으로 보여짐.
여인은 사랑하는 임이 자신을 떠나려고 하는 상황에서 임을 잡지 못하고 있음.
*예성강곡의 배경설화 참고
화자 - 남자인 것으로 보여짐.
연인과 헤어진 상황에서 주위의 조롱에도 불구하고 연인이 돌아와 주기를 기다림.
처해있는
상황에
따 른
행 동
1연 - 여인은 임이 떠나는 것을 차마 믿지 못하겠다는 듯 이별의 사실을 거듭 확인.
2연 - 사랑하는 임이 떠나가면 어찌 살아가겠냐고 호소.
3연 - 떠나는 임을 붙잡고 싶지만 울고 매달리면 임이 영영 떠나버리지 않을까하는 염려. 임을 보내는 서러움을 절제.
4연 - 가시자마자 돌아오기를 기원. 떠난 임을 언제까지나 기다리겠다는 간절한 기다림의 정서.
임이 떠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소극적으로 나타내면서 기다림과 인고(忍苦)의 자세를 보임.
임이 떠난 사실을 은근히 원망하며 돌아오라고 호소함
떠난 임은 반드시 돌아올꺼라고 믿으며 기다림
돌아와달라는 여러 이유를 설명하며 호소하지만 자신감이 없음
인제라도 기다리겠다는 기다림과 인고의 자세를 보여줌
두
주인공의
차이점
이별을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임을 보내주고 있음.
“가시리”의 여인이 사랑하는 임은 화자인 여인에 대한 사랑이 식어 떠나는 것으로 보여짐.
임을 잡아두고 싶지만, 그러면 임이 영영 돌아오지 않을까 두려워 임에게 떠나지 말란 말을 하지 못함.
사랑의 무게가 떠나는 임보다 보내는 여인에게 더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보임. ‘임이 없으면 나는 살 수 없다’고 말하고 있음.
이 노래는 화자가 남자
임이 이미 떠난 상태
두
주인공의
공통점
이별의 상황에 놓여있음.
두 노래는 시간과 표현의 차이는 있지만 이별의 심정만은 비슷.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림.
임이 떠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면서 기다림과 인고의 자세를 보임
▶ 참고 자료 - 예성강곡(禮成江曲)
이병기는 가시리를 고려사 악지 속악조에 배경설화가 실린 예성강곡의 전편으로 추측함.
예성강곡의 설화 - 당나라에 바둑을 잘 두는 하두강이란 상인이 예성강에 갔다가 아름다운 미인을 보고 탐이 났다. 그는 그 여인의 남편과 바둑을 두어 일부러 져 주며 다음에 아내를 빼앗아 버리자 남편이 회한에 차서 이 노래를 불렀다. 배가 바다 가운데 이르러 움직이지 않아 점을 치니 절부(節婦)에 감동되었으니, 여인을 돌려 보내지 않으면 파선하리라 하였다. 뱃사공이 하두강을 설득하여 그녀를 돌려 보냈다. 그녀가 또한 노래를 지었는데 이것이 후편이다.
③ 전통시의 맥
전통적인 한국적 女心의 애소적 정조를 깔면서 별리(別離)의 정한을 나타낸 이 노래는 민요의 아리랑, 황진이의 시조어져 내일이야..., 김소월의 진달래꽃 등과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맥은 현대 가요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처용가
(前腔) 新羅聖代 昭聖代
天下大平 羅侯德
處容아바
以是人生애 相不語시란
以是人生애 相不語시란
(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샷다
(中葉) 어와 아
추천자료
한국인의 생활사 (한국인의 대중 가요 발달사)
남한정권의 통합적인 프로파간다 (건전 가요와 새마을 운동을 중심으로_
우리나라 가요계에서 음반제작기획
고대 가요
대중가요와 생활사 기말 레포트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나는 남녀 언어 특징과 변화
한국의 대중가요와 생활사 1차 과제
대중 가요와 언어
시대, 정치, 사회적 상황과 사건을 반영한 대중가요
고전시가와 현대가요 속 여성의 삶
영남대 인강 대중가요와 생활사
대중가요 의의(역사,사회문화,예술),대주가요의 시대별특징,아이돌 걸그룹,10대 가수,브랜드...
『해동가요(海東歌謠])』의 김수장 시조에서 나타난 몽환적 세계와 현대 가요에서 나타난 몽...
“대중 가요 가사의 문제점, 대책”
소개글